예술, 문화 Art, Culture/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한국의 서원, Seowon, Korean Neo-Confucian Academies

Jobs9 2022. 9. 17. 14:20
반응형

한국의 서원, Seowon, Korean Neo-Confucian Academies

국가 : 대한민국(Republic of Korea)

위치 : 경상북도 영주시(소수서원), 경상남도 함양군(남계서원), 경상북도 경주시(옥산서원), 경상북도 안동시(도산서원), 전라남도 장성군(필암서원), 대구광역시 달성군(도동서원), 경상북도 안동시(병산서원), 전라북도 정읍시(무성서원), 충청남도 논산시(돈암서원)
등재연도 : 2019년


한국의 서원은 조선시대 성리학 교육 시설의 한 유형으로, 16세기 중반부터 17세기 중반에까지 향촌 지식인인 사림에 의해 건립되었다. 이 유산은 교육을 기초로 형성된 성리학에 기반한 한국 사회 문화 전통의 특출한 증거이다. 이 유산은 동아시아 성리학 교육기관의 한 유형인 서원의 한국적 특성을 나타낸다.

등재기준
기준 (iii) 신청유산은 조선시대 교육 및 사회적 활동에서 널리 보편화되었던 성리학의 탁월한 증거이다. 이 유산은 16세기 중반부터 17세기 중반 사이에 건립되었으며, 교육을 기초로 형성된 독특한 역사 전통과 성리학의 가치를 나타낸다. 향촌 지식인들은 이 유산을 통해 성리학 교육을 적절하게 수행하기 위한 교육 체계와 건축물을 창조하였으며, 전국에 걸쳐 성리학이 전파되는데 기여하였다. 

탁월한 보편적 가치
신청유산은 향촌 지식인들에 의해 16세기 중반부터 17세기 중반 사이에 건립되었다. 이 유산은 소수서원, 남계서원, 옥산서원, 도산서원, 필암서원, 도동서원, 병산서원, 무성서원, 돈암서원의 9개로 구성되었으며, 이들은 전국에 걸쳐 분포되어 있다. 

이 유산은 중국으로부터 전래되어 한국 사회의 많은 부분에 기초가 되었던 성리학 교육을 증진한 교육기관의 탁월한 증거이다. 서원에서 향촌 지식인들은 교육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교육 체계와 유형적 구조물들을 창조하였다. 그들은 성리학 경전과 연구를 수행하였고, 세계에 대한 이해와 이상적 인간형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였다. 그들은 향촌사회의 선현들을 제향하였고, 제향인물을 통해 강한 학문적 계보를 형성하였다. 또한, 향촌 지식인들은 이 유산을 기초로 다양한 사회적·정치적 활동들을 통해 성리학이 사회 전반에 전파되는데 기여하였다. 

이 유산은 동아시아에 전파되었던 성리학이 지역화되고 변영된 톡특한 과정을 통합적으로 보여준다. 이 유산은 한국에서 서원 건축의 정형화에 의해 완성된 독특한 문화전통을 나타낸다. 9개로 구성된 이 유산은 한국 서원의 특성과 발전을 보여주며, 서원이 건축적으로 어떠한 과정을 통해 발전하였는지 각각의 과정을 통해 보여준다. 

완전성 
신청유산은 한국의 성리학의 발전과 서원 유형의 정립과정을 증명하는 가장 중요한 서원 9개로 구성되어 있다. 각 구성요소는 집합적으로 신청유산의 탁월한 보편적 가치를 보여주며, 각각 하나의 온전한 서원으로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완전성을 갖추고 있다. 

신청유산은 조선시대 서원의 필수 공간 요소인 제향공간, 강학공간, 교류와 유식공간을 구성하는 각 건축물뿐만 아니라 원래의 지형, 주변환경을 온전하게 유지하고 있다. 제향공간을 구성하는 사우와 사우 내부의 위패, 전사청 등이 온전하게 존재하며, 강학공간을 구성하는 강당과 재사, 도서관, 각 건물의 편액 등이 온전하다. 누각 등 회합 및 유식공간의 구성요소 역시 온전하며, 주변의 경관, 지형 등이 온전한 모습으로 남아 있다. 서원 주변의 경관 중 유산의 탁월한 보편적 가치를 입증할 중요한 부분은 모두 유산구역이나 완충구역에 포함되어 있다. 

진정성
신청유산은 형태와 디자인, 자재와 구성물질, 전통적 기법과 관리체계, 입지와 주변환경 측면에서높은 수준의 진정성을 확보하고 있다. 신청유산은 서원 설립운동의 초기에 해당하는 16세기 중반부터 약 1세기 기간 동안 건립된 대표적 서원으로서, 역사발전 과정에서 훼철되지 않고 원형을 유지하였다. 제향자의 연고 및 경관을 포함하는 입지 환경, 제향공간, 강학공간, 교류와 유식공간의 건축 배치, 각 건물의 유형적 형태, 목재와 기와를 사용하는 물질 구성, 보존 관리의 체계 등을 원래의 모습으로 유지하고 있다. 

형태와 디자인 측면에서 신청유산은 서원 역사의 건축적 구현을 보여준다. 한국의 서원은 제향, 강학, 교류와 유식 공간의 유기적 결합을 하나의 전형적인 형태로 완성하였고, 이를 지금까지 변형 없이 완벽하게 유지하고 있다. 또한 한국의 목조 건축기법과 좌식형 생활 관습을 바탕으로 독자적인 건축 형태를 만들어 내었다. 

자재와 구성물질, 전통적 기법과 관리체계 측면에서, 신청유산은 서원 설립 당시의 건축적 결과물을 그대로 입증하고 있다. 현재까지도 조선시대 건축기법과 자재로 최소한의 보수를 해오고 있으며, 진정성과 완전성을 해치지 않도록 관리하고 있다. 전통적인 기법으로 영건하였던 원형을 따라 현재는 공인된 기술인력과 훈련받은 장인들에 의해 최소한의 보수를 행한다. 신청유산은 문화재청과 해당 지방자치단체가 직접 관리하며, 전승되어오는 전통 기술을 적용한다. 목조건축에 위해를 줄 수 있는 흰개미, 부식, 화재 등에 대해 공인된 전문집단의 관리를 받고, 예방조치를 한다. 

신청유산은 기록유산, 무형유산에 속하는 것들도 잘 보존, 전승하고 있다. 서원을 거쳐간 인물들이 남긴 전적, 문집, 기문, 목판 등은 잘 보호 관리되고 있으며, 제향은 지금까지 창건 당시의 모습 그대로 계승되어 시행되고 있다. 기록유산과 무형유산 모두 개별 유산들이 지속된 전통을 보여준다. 

보존 및 관리체계
신청유산인 한국의 서원은 9개의 서원으로 구성된 연속유산이다. 신청유산은 탁월한 보편적 가치를 구성하는 모든 요소를 온전히 포함하고 서원의 진정성과 완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경계가 설정되었다. 또한 서원의 보호·관리는 대한민국의 문화재보호법과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관련 조례 등을 통해 법적 보호를 받고 있으며, 이미 국가 사적으로 각각 지정되어 해당 서원은 물론 주변 지역까지도 보호·관리되고 있다. 

신청유산은 제향-강학-교류와 유식이라는 기능과 유기적인 공간구성을 통해 서원의 가치를 나타내고 있다. 이에 각각의 기능에 해당되는 건축물과 시설물들이 유산구역에 포함되었고, 서원의 입지와 주변 환경 등을 고려한 산림, 농경지, 강, 계곡 등이 완충구역에 포함되어 보호·관리되고 있다. 

현재까지 신청유산을 위협하는 개발 및 환경압력 등 유산에 영향을 미치는 심각한 요인은 경미하다. 이는 문화재보호법에 의해 주변 지역의 토지 이용과 개발 행위가 엄격히 제한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신청유산 대부분이 목재 건축물인 점을 감안한다면 잠정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화재에 대비해야 하기 때문에 소화설비 및 상시 감시체계를 구축하여 재해 및 재난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세계유산 등재 이후 방문객과 관광 산업에 의한 서원의 보호・관리에 대한 영향은 향후 증대할 것으로 예상되나 해당 서원과 지방자치단체에서 서원 보존관리 계획을 수립하여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다각적인 대책을 강구하고 있다. 



Seowon, Korean Neo-Confucian Academies
The property is located in central and southern parts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comprises nine seowon, representing a type of Neo-Confucian academy of the Joseon dynasty (15th -19th centuries CE). Learning, veneration of scholars and interaction with the environment were the essential functions of the seowons, expressed in their design. Situated near mountains and water sources, they favoured the appreciation of nature and cultivation of mind and body. The pavilion-style buildings were intended to facilitate connections to the landscape. The seowons illustrate a historical process in which Neo-Confucianism from China was adapted to Korean conditions. 

Outstanding Universal Value
Brief synthesis

The Seowon, Korean Neo-Confucian Academies is a serial property which comprises nine seowon representing a type of Neo-Confucian academy of the Joseon Dynasty (from the mid-16th to mid-17th centuries CE). It is an exceptional testimony to cultural traditions associated with Neo-Confucianism in Korea. 

The components are Sosu-seowon, Namgye-seowon, Oksan-seowon, Dosan-seowon, Piram-seowon, Dodong-seowon, Byeongsan-seowon, Museong-seowon and Donam-seowon, and these are located across the central and southern parts of the Republic of Korea. 

The property exhibits an outstanding testimony to thriving Neo-Confucian academies that promoted learning of Neo-Confucianism, which was introduced from China and became fundamental to every aspect of Korea. 

The local literati at seowon created educational system and tangible structures conducive to fully commit themselves to learning. Learning, veneration and interaction were the essential functions of the seowon which are closely reflected in their design. The seowon were led by sarim or the class of local intellectuals. The seowon developed and flourished as centres for the interests of the sarim. 

The primary factor in siting the seowon was the association with venerated scholars. The second factor was the landscape, and seowon are located near mountains and water as part of appreciating nature and cultivating the mind and body. Pavilion style buildings in the seowon facilitated connections to the landscape. 

The scholars studied Neo-Confucian classics and literary works and endeavoured in understanding the universe and becoming ideal person. They venerated late contemporary Neo-Confucian figures, and formed strong academic lineage spearheaded by venerated scholars. Furthermore, local literati made significant contribution to disseminating principles of Neo-Confucianism through various social and political activities based on the property. 

Criterion (iii): The Seowon, Korean Neo-Confucian Academies are exceptional testimony to cultural traditions associated with Neo-Confucianism in Korea, in the form of educational and social practices, many of which continue. The seowon illustrate an historical process in which Neo-Confucianism from China was tailored to Korean local conditions resulting in academies which are exceptional testimony of this transformative and localising process in terms of function, planning and architecture. 

Integrity

The property retains all attributes that reflect the Outstanding Universal Value of the property. These are the buildings and constructions constituting the seowon, ancillary buildings, entrance gate, dismounting stele, commemorative stele, immediate environments including hills, streams, roads, plantings and visual catchments. The attributes of the property are generally in excellent condition. 

The major pressures on the property, development, insect damage, fire, earthquakes and visitors, are being adequately managed. However, they should continue to be monitored. 

Authenticity

The property meets the requirements of authenticity. The form and design, and materials and substance are basically intact. The use and function of the seowon, and their traditions, are largely as they were through history, although noting that the educational role has been largely diminished. The location and setting of the seowon have been generally retained, although it is noted that two components have been relocated in the historical past. The intangible heritage, and the spirit and feeling of the seowon have been generally retained. 

Management and protection requirements

The primary protection of the property is provided by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with additional protection offered by other heritage laws enacted by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of Korea. These other laws are the Act on Cultural Heritage Maintenance, Etc. and the Act on the Safeguarding and Promo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e laws are supported by Presidential decrees and ministerial orders. 

The nine components are all state-designated heritage.

These legal instruments play a major role in ensuring the systematic conservation of the property in terms of carrying out repairs and safeguarding venerations. 

The relevant provinces have also prepared heritage protection ordinances based on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These ordinances also offer a basis for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an organisation for the integrated management of the property. 

The management system comprises the Seowon Foundation, seowon steering committees, and central and local (provincial and municipal) governments.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requires the property to be managed by the relevant local government or seowon community. The Seowon Foundation is in charge of integrated management of the property. The components are managed on a daily basis by government and seowon personnel, with the seowon steering committee responsible for operations and management. 

The central government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provides support and supervision. Local governments also provide support to the Foundation. Conservation expertise is available from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s well as the relevant local governments. 

Each seowon has a comprehensive maintenance plan which is equivalent to a management plan. In addition, there are a range of key conservation and management manuals and guidelines. An integrated management document is being developed. 

Some risk preparedness exists, and additional planning and systems are being developed. 

Current visitor management arrangements are satisfactory although a better integrated presentation of the nine components as a single property is needed.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