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 Humanities/깨달음, 종교 Enlightenment, Religion

파스칼의 내기, Pascal's Wager, 철학/기독교 변증법, 가정 망각의 오류, 폰 노이만

Jobs 9 2025. 1. 21. 03:42
반응형

파스칼의 내기, Pascal's Wager
Pari de Pascal

 

Wager
/ˈwājər/
verb
1.risk (a sum of money or valued item) against someone else's on the basis of the outcome of an unpredictable event; bet.
Similar: bet
gamble
lay a wager
place/make/lay a bet
2.informal
used to express certainty.
"I'll wager she makes that trip to Virginia"



프랑스의 수학자이자 철학자 블레즈 파스칼이 제시한 철학/기독교 변증법.
신이 존재하지 않지만 신을 믿을 경우 잃을 것은 아무것도 없지만 신이 존재하고 신을 믿으면, 다시 말해 옳은 선택을 했다면 영원한 행복을 얻을 것이다.
반면 신이 존재하지 않고 신을 믿지 않는다면 얻는 것이 하나도 없으나 신이 존재하는데 신을 믿지 않으면 지옥으로 떨어질 것이다.

신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와 신이 존재할 경우, 두 가지 중 후자의 확률이 아무리 희박하더라도, 신이 실제로 존재할 경우 신의 존재를 부인하는 것이 궁극적으로 큰 손실을 가져다준다는 것이 요지.

종교뿐만 아니라 확률론, 실존주의 등에도 골고루 영향을 끼친 논제다.

 


비종교적 비판

 

파스칼의 내기의 중요한 오류 중 하나는 기독교적 세계관만을 전제로 하고 있다는 점이다. 즉, 기독교 외의 다른 종교들의 신을 고려하지 않았다.

현실에는 기독교 외에도 이슬람교, 불교, 힌두교 외에도 여러 고대 종교와 신화들, 여러 이단, 사이비 종교 등의 수많은 종교와 다양한 종파, 신이 있다. 또 내기에서 가정하는 기독교 내에서도 가톨릭 · 정교회 · 다양한 개신교 교파같은 식으로 종파가 나뉘어 있으며, 일부 종파는 서로를 이단으로 여기는 경우도 있기에 제대로 따지려면 우리가 생각하지도 못한 "신"의 경우도 따져야 한다. 

또한 이 주장은 주장 자체가 17세기 유럽에서 시작된 만큼 아예 그리스도교적 가르침을 기본적인 전제로 깔고 시작한다. 애초에 하느님을 믿지 않으면 지옥에 간다는 것을 누가 정했는가? 상단의 예시 문장에서 '하느님' 부분만 아무 것으로나 바꿔서 생각해 보면 된다. 논리적 오류 중 하나로, 이름을 하나 제시하자면 바로 이런 걸 "가정 망각의 오류"라고 부른다.

이 내기에는 중요한 부분이 빠져 있다. 내기의 내용의 손익계산은 '유신/무신' x '신앙/무신앙'인데, 정작 현실의 경우에는 '유신/무신' x '신앙/무신앙' x '믿음의 대가 유/무'로서, 믿는다고 해서 손해볼 게 없다고 하지만 이는 틀렸다. 가볍게는 신앙생활을 하면서 시간이나 심력, 재산 등을 투자해야 하고 종교 규율을 따르려는 노력이나 제약이 따른다. 무겁게는 종교로 인한 여러 가지 사회적 문제점들을 감수해야 하는 대가도 치러야 한다. 만약 당신이 사이비 종교를 믿는다면 대가는 더욱 커질 것이다. 또한 위에 언급된 것처럼 전능한 하느님이 기독교인을 혐오하는 하느님이라는 가정 등이 언급되고는 한다. 이 경우에는 같은 논리로 안 믿는 것이 이득이다! 

또, 종교의 문제가 아니더라도 파스칼의 내기에 따르면 그 확률이 아무리 낮아도 보상만 충분하다면 모두 해야하는 것이 합리적이라는 것으로 생각되는 것도 존재한다. 예를 들어서 로또를 예로 들어보자. 로또도 동일한 논리적인 이유로 로또를 사야하는 이유가 완성되는 것이다. 아무리 확률이 낮아도 그 대상이 크다면 거기에 투자해야할 근거를 마련해주며 로또를 사지 않으면 큰 손해를 볼 것이라고 생각되기도 하며 심지어 로또같은 것이 아니더라도 도박같은 것도 합리화되기도 한다. 

 

 

반론


파스칼의 내기의 핵심은 종교적 신념보다 불확실한 상황에서의 논리적 선택 원칙을 다룬다. 신앙심이 별로 없었던 존 폰 노이만이 이 논리적인 이유에서 신을 믿었다. 파스칼의 논증은 "정확한 확률을 모르고 혹여 확률이 작더라도 그게 손실이 적고 무한한 보상이 가능하다면 기댓값이 큰 것이니, 이를 추구하는 것이 합리적"이라는 실용적 논리로 본다. 파스칼의 내기는 실용적인 추론에 기반한 것이고 무한한 보상은 단순한 개념적 도구일 뿐이다. 무한한 보상이 실제로 존재하지 않을 가능성도 있지만, 파스칼은 극도로 큰 보상을 상정해도 여전히 그 보상에 대한 확률적 기대값이 크다. 만약 보상이 크고 손실이 적다면, 확률이 적더라도 이를 추구하는 것이 더 합리적이라는 점을 강조하는 것이다.

신앙 생활에 대한 부분도 파스칼의 내기는 비용과 이익을 모두 고려한 것이다. 신을 믿지 않을 때의 손실에 비하면, 신앙 생활에 들어가는 비용은 상대적으로 미미하다. 외부적인 신앙 생활을 반드시 해야하는 것은 아니며 그냥 신을 믿는 것에 10원 한장 들지 않기 때문일 뿐더러 오히려 심리적인 안정과 소속감, 등의 이득적인 면도 존재한다. 

기독교인만을 혐오하는 신같은 논리는 무신론적인 착각에 불과하다.
또한 저 논리는 전형적인 Ad Hoc(반박을 위한 반박)의 논리이며 기독교의 신과 가장의 존재의 확률이 동등할 것이라는 이상한 가정이 필요해진다. 이는 신이라는 것에 대한 개념의 의심이 들게함과 동시에 저런 것을 신이라고 정의해도 되는 지에 대한 신학적인 논의 없이 만들어진 것이다. 만약 저런 게 신이라면 간단하다. 그런 신은 부정하고 다른 신을 믿으면 된다.  
동일한 논리로 기독교인만 혐오하는 신이 있을 확률과 기독교의 신이 아니지만 기독교에게 옹호적인 신도 있을 가능성도 존재한다. 

또한 기독교 내의 종파 문제같은 것은 중요하지 않다. 
파스칼의 내기는 신을 믿으라는 것이 주된 목적이지 개신교를 믿어라, 가톨릭을 믿어라하고 하는 게 파스칼의 내기가 아니기 때문이다. 그리고 무종교적인 논리로 치자면 사이비같이 내기에서의 그 비용이 커질 경우 다른 종파로 옮기면 그만이며 심지어 종교가 없어도 유신론적이기만 하면 된다는 것이다. 

그리고 파스칼의 내기는 기독교적인 면이 강하지만 다른 신을 믿는다고 해도 비기독교적인 논리라면 큰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 

 

 

종교적 비판


내가 하느님의 말씀을 받아 전할 수 있다 하더라도 온갖 신비를 환히 꿰뚫어 보고 모든 지식을 가졌다 하더라도 산을 옮길 만한 완전한 믿음을 가졌다 하더라도 사랑이 없으면 나는 아무것도 아닙니다. 
고린도전서 13장 2절 (공동번역) 

우선 종교적 신념이 손익 계산의 대상이 될 수 있느냐는 질문과 함께, 설령 이런 계산 끝에 종교를 가진다고 한들, 모든 것을 볼 수 있다는 그 전능하신 하느님이 이것을 '진정한 신앙'으로 여길 것인가에 대해서는 의문의 여지가 남는다. 왜냐, 저 말대로라면 하느님을 믿는 것이 진실된 믿음이 아니라 자기가 혹시라도 지옥 안 가고 하느님이 진짜 있으면 이익이니 하느님을 믿자는 건데, 그게 하느님을 제대로 믿는 거냐는 반론이 있기 때문이다. 일각에서는 파스칼이 이 말을 한 것이 하느님의 존재증명과는 큰 관계가 없다고도 한다.

게다가 분명히 믿음의 대가가 있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이 문제는 전형적인 give and take의 경우에 해당하는지라 사후세계의 보상이 무엇인지 정확히 파악하여 이러한 대가들과 비교해 보아야 하게 된다는 것도 문제가 된다. 즉, 논의 자체가 상당히 계산적으로 변하는 바람에, 정작 종교에서 말하는 신실함과는 십만 광년쯤 떨어진 이야기가 된다는 것. 그리고 애초에 이러한 이유 때문에 종교를 믿는다는 사실은 종교의 본질과 좀 거리가 있는 선택이다. 당장 기독교만 봐도 그렇게 진심이 없고 단순히 합리적인 생각으로 그런다면 진심으로 믿기는 어렵기 때문. 

한 종교인은 파스칼의 내기를 부정하진 않았지만 "신앙은 평생에 걸쳐 쌓아 올리는 것인데, 평생 믿지 않았던 것을 죽을 때가 됐으니 믿자고 자신의 마음을 가볍게 바꿀 수 있겠느냐?"며 돌려서 깠다. 실제로 존 폰 노이만은 죽음에 대한 공포와 큰 고통으로 말년에 어떻게든 가톨릭에 귀의해보려 했으나, 그리 큰 위안을 받지 못하고 사망했기 때문이다. 

 

 

 


여러 가지 논박이 있지만 죽음을 눈앞에 둔 상황에서는 설득력 있게 느껴지기도 하는 모양이다. 머리 좋기로는 세상에서 둘째가라면 서러워 할 존 폰 노이만도 죽기 직전에 가톨릭으로 귀의하면서 파스칼의 내기에 큰 영향을 받았다고 고백할 정도였으니. 다만 이 역시 살날이 얼마 남지 않은 만큼 젊었을 때부터 믿는 것에 비해 종교를 믿기 위한 누적 비용이 적어 비용 대비 효용이 커진 부분도 있을 수 밖에 없다. 

파스칼은 어디까지나 인간 사고방식의 예시를 든 것뿐이며, 본인 또한 이미 믿는 사람에게만 주로 먹히는 논리이며 그렇게 좋은 기독교 논증법이 아니라는 것을 인정했다. 파스칼은 10대에 이미 계산기를 발명하고 그 데카르트와 학문적으로 맞다이를 깼던 사람이다. 

파스칼이 도박의 해악을 경계하여 한 말로 알려진 "도박하는 모든 사람은 불확실한 것을 얻기 위해서 확실한 것에 돈을 건다."도 사실은 파스칼의 내기와 관련이 있는데, "어차피 모든 도박은 불확실하므로..."라는 의미.  

지구 온난화 같은 문제 또한 파스칼의 내기에 비교하기도 한다. 환경 보호에 투자해서 얻는 이익이 긍극적으로는 지구가 황폐화되는 것보다 낫다는 논리. 

이슬람의 알가잘리도 저서 <행복의 연금술>에 비슷한 얘기를 남겼다. 
그러나 만일 그가 내세의 삶은 가능하지만 그 가르침에 의심스러운 부분과 신비로운 것들이 깃들어 있어서 그것이 사실인지 아닌지 결정하기가 어렵다고 말한다고 하자. 그러면 그에게는 이렇게 말할 수 있다. "그렇다면, 그런 의심에서 이익을 보는 편이 낫다. 그대가 어떤 음식을 먹으려고 하는데 어떤 사람이 그대에게 그 음식에 뱀의 독이 들어 있다고 말한다. 아마도 그대는 그 음식을 먹지 않고 배고픔을 견딜 것이다. 그대에게 그 말을 해 준 사람이 장난을 하거나 거짓말을 한 것일 수 있다 하더라도 말이다. 또는, 그대가 병이 들었는데 부적을 만드는 사람이 '나에게 1루피를 준다면 그대가 목에 두를 부적을 써 주어 낫게 해 주겠다'고 한다면, 그대는 부적으로 병이 나을 수 있으리라는 기대 때문에 그에게 1루피를 줄 것이다. 아니면 어떤 점성가가 '달이 이러저러한 위치에 자리하게 될 때에 이런저런 약을 먹으면 그대는 낫게 될 것이다'라고 말한다면, 그대가 점성술을 믿지 않는다 하더라도 그 말이 맞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으로 실험해 보게 될 것이다. 그렇다면, 부적 만드는 사람이나 점성가의 말을 믿는 것과 마찬가지로, 내세에 대한 확신을 가졌던 예언자들, 성인들, 거룩한 사람들의 말을 믿을 수도 있지 않은가? 사람들은 눈앞의 이익을 볼 수 있는 가능성만을 위해서도 배를 타고 위험한 여행을 하기도 하는데, 그대는 나중에 영원한 즐거움을 누리기 위하여 지금 절제하는 약간의 고통을 견디지 않겠는가?" 
- 《행복의 연금술》, 누멘 출판사, 안소근 옮김, p.75-77

약 400년 후 로코의 바실리스크라는 이름으로 이 논증이 뜬금없이 부활한 적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