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덕궁, Changdeokgung Palace Complex
국가 : 대한민국(Korea, Republic of)
위치 : 서울시(Seoul City)
좌표 : N37 32 60, E126 58 60
등재연도 : 1997년
창덕궁(昌德宮)은 서울시 종로구에 위치한 조선 시대의 궁궐이다. 건축과 조경이 잘 조화된 종합 환경디자인 사례이면서 동시에 한국적인 공간 분위기를 읽게 하는 중요한 문화유산이다. 15세기 초에 정궁인 경복궁 동쪽에 이궁으로 조성되었으며, 그에 따라 애초의 건립 목적이나 도성 내에 자리한 입지도 경복궁과 차이가 있었다.
창덕궁이 자리한 곳은 언덕 지형으로 평탄한 곳이 많지 않다. 풍수지리 사상에 따라 이러한 불규칙한 지형지세를 이용해 궁궐 건물을 경내 남쪽에 배치하고, 북쪽 넓은 구릉에는 비원이라고도 불리는 후원을 조성하였다. 자연 지형을 이용해 건물을 세운 까닭에 궁궐 건축의 전형적인 격식에서 벗어나 주변 환경과 뛰어난 조화를 이루는 특색을 지녔다.
창덕궁은 경복궁의 이궁으로 조선 전기의 약 200년 동안 왕의 통치 공간으로 사용되었으나 16세기 말 임진왜란으로 소실되었고, 소실된 도성 내 궁궐 중 가장 먼저 중건되며 이후 약 250년 동안 조선왕조의 정궁 역할을 했다. 건축사에 있어 조선 시대 궁궐의 한 전형을 보여 주며, 후원의 조경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왕실 정원으로서 가치가 높다.
등재기준
기준 (ⅱ) : 창덕궁은 유교 예제에 입각한 궁궐 건축의 기본 양식을 따르면서도 건물의 배치나 진입 방식에서는 우리나라 궁궐 건축의 다양한 특성을 보여 준다. 궁궐의 정문인 돈화문은 서남쪽 모퉁이에 위치해 있으며, 정문의 진입로에서 직각으로 두 차례 방향을 틀어야 정전에 도달할 수 있는 구조이다. 지형지세에 따라 조성된 이러한 진입로의 배치는 남북 방향의 일직선 중심축을 따르는 경복궁이나 중국의 궁궐과는 차이가 있다. 건물과 주변 환경이 잘 조화된 창덕궁의 궁궐 배치는 우리나라와 중국의 궁궐 건축양식의 상호 교류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우리나라 궁궐 건축의 창의성을 보여 준다.
기준 (ⅲ) : 창덕궁은 전통 풍수지리 사상과 조선왕조가 정치적 이념으로 삼은 유교가 적절히 조화된 대표적인 건축물이다. 전통 풍수에 입각하여 선정된 입지와 유교 이념에 따라 상징적, 기능적으로 배치된 창덕궁의 건물들은 조선 시대 고유의 독특한 유교적 세계관을 보여 준다.
기준 (ⅳ) : 창덕궁은 원래의 자연 지형을 존중하기 위해 궁궐 건축의 전통을 이탈하지 않으면서도 창조적 변형을 가해서 지어졌다는 점에서 탁월하다. 자연적인 산세와 지형을 그대로 살리기 위해 정형성을 벗어나 자유롭게 건물을 배치해 건축과 조경을 하나의 환경적 전체로 통일시킨 훌륭한 사례이다.
완전성
창덕궁의 공간 구성과 건축물의 배치, 원림은 오랜 역사를 통해 형성된 우리나라 궁궐건축의 형식과 유교 예제가 요구하는 내용을 모두 갖추고 있다. 창덕궁은 조정의 관료들이 왕을 보좌하며 업무를 본 외조, 왕이 신하를 만나며 국정을 수행한 치조, 왕과 가족들이 취침하는 침조, 왕이 휴식을 취하는 후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체 건물과 조경, 자연지형이 창덕궁 경내에 잘 어우러져 있으며 궁 전체가 국가 지정 문화재로 보호되고 있다.
진정성
창덕궁의 건물과 후원의 원림은 조선후기 축조 당시의 모습을 온전히 유지하고 있으며 궁궐의 지형과 경관 또한 원래의 모습으로 보존되고 있다. 일제강점기에 변형되었거나 노후한 시설에 대한 복원과 수리는 공인된 장인들이 관련 문헌과 연구를 바탕으로 전통 재료와 기법을 사용해 진행하고 있다.
역사적 배경
조선왕조의 초기에 수도는 개성과 한양(현재의 서울)으로 번갈아 이전되었다. 조선의 3대 왕 태종(재위 1400∼1418)은 그의 아버지 태조의 뜻에 따라 1405년에 한양을 수도로 정했다. 기존의 경복궁이 길하지 못하다고 여긴 태종은 새로운 궁궐의 건축을 명하고 이를 창덕궁이라 이름 붙였다.
공사를 감독하기 위해 궁궐 건축을 관장하는 직책이 만들어졌고, 건축 공사는 전통적 개념의 원칙, 특히 전조후시(前朝後市:궁궐이 앞에, 저자거리는 뒤에)와 삼문삼조(三門三朝:문 3개, 궁궐 3개)의 원칙에 따라 실행되었다. 또한 삼조제도(三朝制度), 즉 앞쪽에 신하들의 공간인 외조(外朝), 중앙에 임금이 정무를 보는 치조(治朝), 뒤에 왕의 처소와 왕비의 처소인 연조(燕朝)가 있어야 한다는 원칙에 따랐다.
궁궐은 주요 건축물과 비원의 두 부분으로 나뉜다. 정원은 잔디, 나무와 꽃, 연못으로 꾸몄으며, 숲이 우거진 후면 가까이에 정자를 세웠다. 주요 건물(어좌가 있는 방, 국사를 돌보는 방, 왕족의 생활공간)은 1405년에 완성되었다. 전체적으로 너무 좁다고 생각해, 이후 7년 동안 중요한 다른 요소들을 추가한다. 1462년에는 북서쪽으로 확장되었다. 1592년 임진왜란 때, 한양에 있는 중요한 건물들과 함께 궁궐도 불태워졌다. 7년 동안의 전쟁이 끝난 후 창덕궁은 폐허가 되었다. 임진왜란 당시의 왕 선조는 1607년에 궁궐의 재건에 착수했으며 1610년, 선조의 왕위를 이은 광해군 때 공사가 끝났다.
궁궐은 다시 통치의 중심지이자 왕실의 거주지가 되었으며, 청의 침략에 의한 병자호란(1636), 프랑스 함선이 강화도를 점령한 병인양요(1866), 미국 군대에 의한 신미양요(1871)에 걸쳐 주로 화재를 입는 시련을 겪으면서도 258년 동안 유지되었다. 그럼에도 재건축할 때마다 원래의 설계를 충실히 따랐다. 수세기 동안 궁 전체에 걸쳐 몇몇 건축물이 추가되었다. 1828년 순조는 전아(典雅)한 스타일의 건물을 짓게 했고, 1846년 헌종은 궁궐 외딴 곳에 낙선재라는 이름의 왕실 거처를 지었다. 마지막으로 추가된 건물은 1921년에 세운 선원전(璿源殿)인데, 역대 왕의 어진(御眞)을 모신 곳이다. 처음에는 인정전과 가까운 곳에 있었으나 일제강점기에 궁궐의 북서쪽 방향에 있는 덜 중요한 장소로 이전되었다.
보존 및 관리체계
창덕궁은 문화재보호법에 따라 궁궐 전 영역과 주요 건물 및 식재가 국가 지정 문화재로 보존 관리되고 있다. 또한 문화재 및 보호구역 경계로부터 100m 이내 지역은 문화재보호법과 종로구 조례에 의거 ‘역사문화환경보존지역’으로 보호받고 있으며, 따라서 해당 구역 내 모든 건설 행위에 대한 사전 심의가 의무화되어 있다. 이외에도 창덕궁 후원은 자연환경보전법에 따라 생태경관보전지역으로 지정되어 있다.
문화재청은 창덕궁의 보존과 관리를 책임지고 있는 정부기관으로 창덕궁의 건물 및 시설물 보수정비, 발굴, 예산 지원 등의 업무를 총괄한다. 또한 40명가량의 직원들이 배치된 창덕궁관리소는 현장에서 직접 유산을 관리하고 있다. 상시 모니터링이 진행되고 있으며 3, 4년 주기로 전문가들이 정밀 모니터링을 실시한다.
서울시는 도시계획과, 도시교통과, 문화재과가 협력하여 창덕궁 주변 지역을 관리하고 있다. 서울시는 주기적으로 기본 경관 계획, 지구 단위 계획을 수립하여 주변 지역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 방안 및 사업 계획을 제시하고 있다. 창덕궁의 보존 관리 상태는 매우 양호하다. 창덕궁의 문화재 수리는 해당 분야별 문화재수리기술자 자격시험에 합격한 공인된 문화재수리기술자가 진행한다. 창덕궁 보존의 가장 큰 위협 요소는 목조건축물의 화재 위험이다. 이와 관련해 문화재청은 2009년부터 ‘5대궁 및 종묘 종합경비시스템구축사업’을 추진하여 화재를 비롯한 문화재 훼손과 재난에 대비하고 있다.
창덕궁은 수세기 동안 한국의 건축과 정원, 조경 설계, 관련 미술의 발달에 큰 영향을 미쳤다. 창덕궁은 아름다운 주변 환경과 어우러져 세련된 건축적 가치를 보여 준다. 복합 건축물인 창덕궁은 극동 지역의 건축과 정원 설계의 우수 사례로서 주변 환경에 조화를 이루고 있고, 해당 지형에 적합하게 지어졌으며, 자생종의 수목들을 보존하고 있다는 점 등에서 탁월하다고 평가된다.
조선왕조의 초기에 수도는 개성과 한양(현재의 서울)으로 번갈아 이전되었다. 1405년, 태종(재위 1400∼1418)은 수도를 다시 한양으로 옮겼다. 기존의 경복궁이 길하지 못하다고 여긴 태종은 새로운 궁궐의 건축을 명하고 이를 창덕궁이라 이름 붙였다. 창덕궁은 풍수지리에서 서울 북쪽을 수호하는 산인 응봉산 자락에 있는 58㏊의 불규칙한 직사각형 지대에 있다.
궁궐의 건축을 위해 만든 궁궐조성도감(宮闕造成都監)은 전통적 설계 원칙에 따라 업무용과 주거용 건물로 구성된 복합 건축물을 지었다. 창덕궁은 전면의 궁궐, 후면의 비원, 세 개의 문과 더불어 정사, 주거, 의전을 위한 세 개의 건물 등으로 구성된다. 주 건물들(인정전, 선정전, 희정당, 대조전 등)은 1405년에 완공되었으며, 이후 7년 동안 나머지 주요 요소들이 추가되었다.
창덕궁은 1462년에 북서쪽으로 확장되었다. 임진왜란 당시인 1592년에는 한양의 다른 중요 건축물들과 함께 불에 타 허물어지기도 했다. 선조가 1607년에 창덕궁의 재건축을 명하여 1610년에 완료되자 창덕궁은 정사를 돌보고 임금과 왕비가 거주하는 곳이 되어 258년 동안 그 기능을 유지하였다. 이후 다소 변화가 있었지만, 재건축 작업은 항상 원래의 설계에 충실하게 따랐다.
2층으로 된 돈화문(敦化門)은 창덕궁의 정문으로 1406년에 지어졌고, 화재를 입어 1607년에 재건축되었다. 돈화문과 동일한 양식으로 지은 1층짜리 인정문(仁政門)은 정사를 돌보는 데 쓰이던 정전으로 연결된다. 1592년과 1803년에 화재로 파손되었던 웅장한 정전인 인정전(仁政殿)이 바로 그 안에 있다. 인정전은 두 겹의 단 위에 지은 2층 건물로, 네 개의 거대한 기둥들로 지탱되고 있다. 인정전 안의 조각을 새긴 천장 보개(寶蓋) 아래 연단에는 정교한 어좌가 놓여 있으며, 그 용마루에는 독수리와 용 같은 수호 동물이 조각되어 있다. 위로 올라가는 주 계단은 신화 속 수호 동물들의 조각상이 장식되어 있다. 인정전 동쪽에는 왕이 일상 업무를 보던 선정전(宣政殿)이 있는데, 푸른 기와를 올린 소박한 건축물이다. 그 옆에는 또 다른 소박한 건물인 희정당(熙政堂)이 있는데, 이곳에는 왕의 침전과 신하들의 침실이 있었다.
근처의 대조전(大造殿)은 왕비를 위한 건물이다. 대조전의 정원은 잔디, 나무, 꽃, 연꽃 연못, 수목을 배경으로 한 정자 등으로 꾸몄다. 정원에는 자생종 나무 100종 26,000개 표본과 함께, 주목(朱木), 돌소나무(stone pine), 스트로부스 소나무, 은행나무, 향나무 등 외래종 나무 15종 23,000개의 표본을 심었다.
Changdeokgung Palace Complex
In the early 15th century, the King Taejong ordered the construction of a new palace at an auspicious site. A Bureau of Palace Construction was set up to create the complex, consisting of a number of official and residential buildings set in a garden that was cleverly adapted to the uneven topography of the 58-ha site. The result is an exceptional example of Far Eastern palace architecture and design, blending harmoniously with the surrounding landscape.
Outstanding Universal Value
Brief synthesis
Constructed in the 15th century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Changdeokgung Palace Complex occupies a 57.9 ha site in Jongno-gu, in northern Seoul at the foot of Ungbong Peak of Mount Baegaksan, the main geomantic guardian mountain.
Changdeokgung is an exceptional example of official and residential buildings that were integrated into and harmonized with their natural setting. The complex was originally built as a secondary palace to the main palace of Gyeongbokgung, differentiated from it in its purpose and spatial layout within the capital. Situated at the foot of a mountain range, it was designed to embrace the topography in accordance with pungsu principles, by placing the palace structures to the south and incorporating an extensive rear garden to the north called Biwon, the Secret Garden. Adaptation to the natural terrain distinguished Changdeokgung from conventional palace architecture.
The official and residential buildings that make up the complex were designed in accordance with traditional palace layout principles. The buildings and structures include three gates and three courts (an administrative court, royal residential court and official audience court), with the residential area to rear of the administrative area reflecting the principles of ‘sammun samjo (三門三朝)’ and ‘jeonjo huchim (前朝後寢)’. The buildings are constructed of wood and set on stone platforms, and many feature tiled hipped roofs with a corbelled multi-bracket system and ornamental carvings.
The garden was landscaped with a series of terraces planted with lawns, flowering trees, flowers, a lotus pool and pavilions set against a wooded background. There are over 56,000 specimens of various species of trees and plants in the garden, including walnut, white oak, zelkova, plum, maple, chestnut, hornbeam, yew, gingko, and pine.
Changdeokgung was used as the secondary palace to Gyeongbokgung for 200 years, but after the palaces were burnt down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in the late 16th century, it was the first to be reconstructed and since then served as the main seat of the dynasty for 250 years. The property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Korean architecture, garden and landscape planning, and related arts, for many centuries. It reflects sophisticated architectural values, harmonized with beautiful surroundings.
Criterion (ii): Changdeokgung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Korean architecture, garden design and landscape planning, and related arts for many centuries.
Criterion (iii): Changdeokgung exemplifies the traditional pungsu principles and Confucianism through its architecture and landscape. The site selection and setting of the palace were based upon pungsu principles, whilst the buildings were laid out both functionally and symbolically in accordance to Confucian ideology that together portrays the Joseon Dynasty’s unique outlook on the world.
Criterion (iv): Changdeokgung is an outstanding example of East Asian palace architecture and garden design, exceptional for the way in which the buildings are integrated into and harmonized with the natural setting, adapting to the topography and retaining indigenous tree cover.
Integrity
Changdeokgung incorporates all key components required in Korean palace architecture and conforms to Confucian principles and protocols in its spatial layout, arrangement of buildings, gardens and forested mountain landscape at the rear of the palace. All the palace components are still intact, including the Oejo, the royal court of the dynasty; Chijo, the administrative quarters of the palace; Chimjo, the residence of the royal family; and the garden intended for the king’s leisure. The entire architectural complex and natural setting of Changdeokgung are included within the boundaries of the property.
The principal threat to the physical integrity of the buildings is fire. The wooden structures have been destroyed by fire on successive occasions throughout their history.
Authenticity
The buildings of Changdeokgung Palace Complex were destroyed by fire and have undergone successive reconstructions, and some additions were made to the complex in the centuries following its construction. However, when judged against the philosophy and practices that are standard in Asia, the complex has a high level of authenticity. The buildings and natural elements of the rear garden have sustained their original forms, which generally date from the latter part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ir relationship with the natural terrain and landscape. Most recently, work has been undertaken to reverse the changes made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during the early 20th century. This work is being carried out using traditional methods and materials, and is based on historical evidence and research.
Protection and management requirements
The entire area of the Changdeokgung Palace Complex, including the individual buildings and plantings within the complex, has been designated as a State-designated Cultural Heritage under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In addition, a number of the buildings of the complex have been designated as National Treasures or Treasures (Injeongjon Hall, Injeongmun Gate, Seonjeongjeon Hall, Huijeongdang Hall, Daejojeon Hall, Old Seonwonjeon Shrine and Donhwamun Gate) or as Natural Monuments (the Chinese juniper tree and the Actinidia arguta plum tree). These designations impose strict control over any alterations to the property.
The area extending 100 m from the boundary of the Changdeokgung Palace Complex has been designated as a Historic Cultural Environment Protection Area under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and all construction work and alterations within the area require the authorization of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through the Jongno-gu district office. The Rear Garden of Changdeokgung has been designated as an Ecological Scenery Conservation Area under the Natural Environment Conservation Act.
At the national level,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CHA) is responsible for establishing and enforcing policies for the protection and management of Changdeokgung, and for allocating financial resources for its conservation. The Changdeokgung Management Office, with approximately 40 employees, is in charge of day-to-day management. Regular day-to-day monitoring is carried out and in-depth professional monitoring is conducted on a 3-to-4 year basis.
The area around Changdeokgung is managed co-operatively by the Urban Planning Division, Traffic Policy Division and Cultural Heritage Division of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Seoul City‘s Basic Scenery Plan and District Unit Plan for the areas surrounding Changdeokgung, which are periodically revised and updated, provide the framework for management and work planning in the buffer zone.
Conservation works in Changdeokgung are conducted by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Specialists who have passed the National Certification Exams in their individual fields of expertise. The CHA is implementing the Integrated Security System Establishment Plan for the 5 Palaces and Jongmyo, in place since 2009, in preparation for accidents and/or disasters that could impair the integrity of the proper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