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스 한국사/조선

조선 후기 통치 체제, 비변사, 5군영, 3사, 진관, 제승방략, 속오군, 훈련도감

Jobs 9 2022. 5. 13. 04:22
반응형

비변사

- 삼포왜란 - 비변사 임시기구

- 을묘왜변 - 비변사 상설기구화

- 임진왜란 - 비변사 기능 강화, 최고기구화

- 흥선대원군 - 비변사 혁파

 

조선 후기 통치 체제 변화

 

1) 정치 구조 변화

 비변사의 기능 강화

    설치 : 3포왜란(1510) 이후 국방문제 처리 임시기구

    상설기구: 을묘왜변(1555) 후

    최고기구(임진왜란 후): 군사, 외교, 사회, 인사 문제 등 총괄, 최고기구로 발전,  →붕당 간의 이해관계 조정 기능 담당

     결과 : 왕권 약화, 의정부·6조 기능 유명무실, 19세기 세도 정치의 중심 기구 역할

② 3사와 전랑의 기능 변질

    3사 기능 : 공론의 반영이 아닌 각 붕당의 이해 관계를 대변, 상대 세력에 대한 비판을 통한 자기 세력 유지와 상대 세력의 견제

    이·병조의 전랑 : 중하급 문·무관원의 인사권, 후임자 추천권을 행사  통해 자기 세력의 확대, 상대 세력 견제

    영향 : 붕당간의 대립 격화, 탕평기(영·정조대)를 거치면서 혁파됨 

 

2) 군사 제도 변화

 ① 군제의 개편 : 조선 전기 (5위, 영진군, 진관 체제) → 조선 후기 (5군영,속오군, 속오군 체제) 

 ② 5군영 - 중앙군(임기응변으로 설치), 17세기말 완성

    훈련도감(선조 1593) : 삼수병(포수, 살수, 사수), 일정한 급료를 받는 상비군, 직업 군인의 성격

    군영 추가 설치 : 어영청·총융청·수어청(후금과의 항쟁), 금위영(숙종 1682)

    기능 : 국방력 강화, 서인 정권의 군사적 기반  훈련도감

 ③ 속오군 - 지방군 : 양인과 천민을 묶어(束) 대오(隊伍)를 이루는 군대(軍)

     방어 체제의 변화 : 진관 체제 → 제승방략 체제 → 진관 체제 복귀, 속오군 체제

    편제 : 양반 ∼ 노비 (실제로는 평민과 노비로 구성)

    특징 : 농한기 훈련·평상시 생업에 종사·유사시 동원, 양반 기피, 상민·노비군화 

 

 

 

진관 체제/제승방략체제

진관(鎭管)

고을마다 진, 관 설치

부산포 진관과 다대포 진관

향토 단위의 소규모 방어위주의 전략

 

제승방략(制勝方略)

초기 진관이 군사부족으로 유지 어려워, 제승방략으로 변화, 임란 실패후 다시 진관, 속오군

군사거점이나 집결지에 모은 뒤, 서울의 장수가 내려와 이들을 지휘

 

 

잡스9급 PDF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