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스 한국사/조선

조선 전기 문학, 동문선, 금오신화, 용비어천가

Jobs 9 2024. 1. 2. 09:49
반응형

 Q  조선 전기 문화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어우야담'을 비롯한 야담․잡기류가 성행하였다. 
② 유서(類書)로 불리는 백과사전이 널리 편찬되었다. 
③ '동문선'이 편찬되어 우리 문학의 독자성을 강조하였다. 
④ 중인층을 중심으로 시사가 결성되어 문학 활동을 벌였다. 

 

【해설】 정답 ③
① 어유야담(유몽인)은 오산집(차천로) 등과 함께 17세기에 등장한 야담, 잡기류이다. 특히 17세기 중엽에 이르면 그 이전까지의 야사, 야담류 57종을 모아 대동야승이라는 책이 엮어져 나오기도 하였다. 
②, ④ 모두 조선 후기 

 


조선 전기의 문학

▶ 한문학 발달(서거정 "동문선"), 한글 작품("용비어천가", "월인천강지곡", "석보상절")

 

특징

  • 이 시기는 성리학 중심의 유교 문화를 확립한 시기로, 문학 역시 유교적 이념을 바탕으로 한 귀족 문학이 주류를 이루었다. 따라서 한문학이 발달하였고, 최초의 한문 소설인 "금오신화"가 창작되기도 하였다. 그렇지만 이 시기에 훈민정음이 창제되면서 각종 구비 문학이 한글로 정착되었고, 문학 창작의 주체 확대와 한글로 지어진 작품의 출현으로 이후 한글 문학의 기틀을 다지게 되었다.

 

전개 양상

1. 가전·몽유록의 전승과 발달

  • 가전(假傳): 고려 말 발생했던 가전의 전통을 이어받아 허구성이 가미된 의인화 소설이 생겨났다.

 

◇ 주요 작품과 작가

작품 작가 특징
포절군전
(抱節君傳)
정수강 대나무를 의인화한 '포절군'의 선계(先系)와 그의 일대기를 서술한 전형적 전기 형식의 작품으로, 정변과 사화로 인해 더럽혀진 관료 사회의 현실을 비판하면서 선비의 자세를 드러냄
수성지(愁城誌) 임제 마음, 술 등을 '주인옹', '국 장군'등으로 의인화한 작품으로, 당시 문란한 사회ㆍ정치상을 비판함
천군전(天君傳) 김우웅 심성(心性)을 의인화한 작품으로, 위정자가 갖추어야 할 도리와 태도를 교훈적으로 드러냄

 

  • 몽유록(夢遊錄): 꿈에서 겪은 일을 내용으로 한 문학으로, 꿈속의 일은 허구지만, 그 내용은 역사적 사실을 비판적으로 해석한 것이다.

 

◇ 주요 작품과 작가

작품 작가 특징
대관재몽유록
(大觀齊夢遊錄)
심의 주인공이 꿈속에서 최치원이 천자가 되어 있는 왕국에 가서 부귀영화(富貴榮華)를 누리게 된다는 이야기로, 문인들이 차지한 왕국의 이야기를 통해 인생의 허무함을 교훈으로 제시함
원생몽유록
(元生夢遊錄)
임제 원자허라는 인물이 꿈속에서 단종과 사육신을 만나 토론하였다는 이야기

 

2. 패관 문학의 융성

고려 때부터 발달한 패관 문학은 훈민정음(訓民正音)이 창제된 후에 더욱 전문화되고 영역별로 분화되었다. 패관 문학은 가전체를 거쳐 소설의 발생과 발달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주요 작품집과 작가

작품집 작가 특징
동인시화(東人詩話) 서거정 역대 시문에 대한 일화, 수필, 시화 등을 모은 비평서로, 신라에서 조선 시대에 이르는 시인들의 시를 품평하고, 작가의 시론(詩論)을 기술함
태평한화골계전
(太平閑話滑稽傳)
서거정 시정에 떠돌아다니는 이야기를 수집ㆍ기록한 일화집으로, 역사적 인물의 일화(逸話)를 해학적으로 풀어 낸 이야기가 주를 이룸
용재총화(傭齋叢話) 성현 문담(文談)·시화(詩話)·서화(書畵)와 인물평(人物評)·사화(史話)·실력담(實歷談) 등을 모아 엮은 책
패관잡기(稗官雜記) 어숙권 요동(遼東)·일본 등지에 관련된 유사(遺事)·풍속, 사환(仕宦)·일사(逸士)·시인·묵객들의 언행과 재인·기예(技藝) 등에 관한 사실들을 보고 들은 대로 기술한 글을 모은 수필집
순오지(旬五志) 홍만종 각종 시화를 곁들인 문학 평론집으로, 역대의 문장가와 시인에 얽힌 재미있는 이야기가 많은 부분을 차지함

 

3. 한문 소설의 발생

기존의 설화와 가전체 등을 바탕으로 중국 명나라에서 들어온 소설의 영향을 받아 한문 소설이 발생하였다. 전대의 설화적인 단순성을 지양하고 허구성을 갖추어 내용을 한층 발전시켰으며, 전기적(傳奇的)요소가 많은 것이 특징이다.

 

◇ 주요 작품과 작가

작품 작가 특징
금오신화
(金鰲新話)
김시습 '만복사저포기(萬福寺樗蒲記)', '이생규장전(李生窺牆傳)'을 비롯한 총 5편의 작품이 실린 단편 소설집으로, 한국 전기체 소설의 효시로 알려져 있음
설공찬전
(薛公瓚傳)
채수 주인공 '공찬'의 혼령이 전하는 저승 소식을 통해 당대의 정치와 사회 및 유교 이념의 한계를 비판
화사(花史) 임제 매화(梅花)·모란(牡丹)·부용(芙蓉)의 세 꽃을 의인화하여 국가의 흥망성쇠(興亡盛衰)를 그림

 

4. 한문학의 발달

정도전·권근 등이 밑바탕을 마련한 조선 전기의 한문학은 사장(詞章)을 중시한 훈구파와 도학(道學)을 중시한 사림파에 의해 두 갈래로 나뉘어 전개되었다.

  • 관각 문학(館閣文學, 사장파의 문학) : 홍문관·예문관과 같은 관각 출신의 문인들이 주도한 문학으로, 성리학과 문학 두 가지를 모두 소중히 여겼으며, 당·송의 고문(古文)을 모범으로 삼았다. 서거정에 와서 전성기를 이루었으며, 이후 성현, 남곤, 이행 등의 학자가 뒤를 이었다.
  • 사림 문학(士林文學, 도학파의 문학) : 지방의 사대부들이 주도한 문학으로, 자기 성찰적인 태도와 표현보다는 흥취를 중시하였다. 길재, 김종직, 김일손, 김굉필, 조광조, 서경덕, 이황, 이이 등이 속한다.
  • 방외인 문학(方外人文學) : 세상을 멀리했던 선비들이 주도한 문학으로, 관각 문학, 사림 문학과 함께 조선 전기 한문학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대표적 작가에 김시습, 정희량, 남효온, 어무적 등이 있다.

 


잡스9급
 PDF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유튜브 강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