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조선 시대의 관리 선발 제도
1. 과거 제도
▶ 원칙적으로 양인 이상은 누구나 응시 가능(현실에서는 신분에 따라 응시 과목이 제한됨)
문과(대과) | 문관 선발 | 가장 중시됨 | 주로 양반이 응시 |
무과 | 무관 선발 | 조선 시대에 본격 실시 | 주로 상민, 향리의 자제가 응시 |
잡과 | 기술관 선발 | 역과, 율과, 의과, 음양과 | 주로 중인이 응시 |
- 정기 시험과 특별 시험: 정기 시험이 3년마다 있었으며 특별 시험이 수시로 시행되었음
- 승과폐지: 조선의 불교 억압 정책과 관련 있음
- 무과 실시: 고려와 달리 무과가 정기적으로 시행되었음
- 소과: 문과의 소과는 생원과 진사의 자격을 얻는 시험으로, 여기에 합격하면 성균관에 입학할 수 있었음
2. 과거 이외의 인재 등용
▶ 음서(3품 이상 관리의 자손으로 제한), 천거(유능한 인재를 추천)
PDF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 유튜브
- 공무원 국어 PDF 다운로드
- 공무원 영어 PDF 다운로드
- 공무원 한국사 PDF 다운로드
- 공무원 행정학 PDF 다운로드
- 공무원 행정법 PDF 다운로드
- 헌법, 형법, 형소법, 경찰학 PDF 다운로드
- 소방관계법규, 소방학개론 PDF 다운로드
- 경영학, 경제학, 회계학 PDF 다운로드
- 교육학개론 PDF 다운로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