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회경제사학[유물사관]
안확 : 조선문명사
백남운 : 세계사적 발전법칙에 맞춰 우리역사 체계화 (조선사회경제사, 조선봉건사회경제사)
일본의 '정체성론'비판(마르크스이론에 대입)
● 신민족주의 사학 : <신민족 안.소.니.홍>
안재홍, 손진태. 이인영, 홍이섭
문헌고증을 토대로, 사회경제사학 수용, 민족주의 계승 "화합" 계급협조와 계급공생을 목표, 균등과 단결을 중시
● 진단학회 (36) <진~이 이손조신>
유물사관, 민족주의 사관 모두 거부. 실증주의 사학 도입
이병도. 이상백. 이윤재. 손진태. 조윤제. 신석호
기출 문제
Q 다음 주장을 한 인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계급투쟁은 민족의 내부 분열을 초래할 것이며, 민족의 내쟁은 필연적으로 민족의 약화에 따르는 다른 민족으로 부터의 수모를 초래할 것이다. 계급투쟁의 길은 우리가 반드시 취해야 할 필요는 없고, 민족 균등이 실현되는 날 그것은 자연 해소되는 문제다.
…(중략)…
이 세계적 기운과 민족적 요청에서 민족사관은 출발하는 것이며, 민족사는 그 향로와 방법을 명백하게 과학적으로 지시 하여야 할 것이다. -조선민족사 개론-
① .조선상고사.와 .조선사연구초.를 저술하였다.
② 대동사상을 수용한 유교 구신론을 주장하였다.
③ .진단학보.를 발간한 진단학회의 발기인으로 활동하였다.
④ 5천년간 조선의 얼 이라는 글을 동아일보에 연재하였다.
【해설】 [정답] ③
손진태의 [조선민족사 개론]의 내용. 손진태는 신민족주의 사관을 제시하였고, 진단학회의 발기인.
① 신채호 ② 박은식 ④ 정인보
✽ 진단학회 (36) : 유물사관, 민족주의 사관 모두 거부. 실증주의 사학 도입
<진~이 이손조신> - 이병도. 이상백. 이윤재. 손진태. 조윤제. 신석호
✽신민족주의 사학 : <신민족 안.소.니.홍> - 안재홍, 손진태. 이인영, 홍이섭
문헌고증을 토대로, 사회경제사학 연구, 민족주의 계승 "화합"
✽조선학 운동 : 우리 문화의 고유성을 찾고자~
<조운 백정문안> - 백남운. 정인보, 문일평, 안재홍.
-문일평 : <호암전집>
-안재홍 : <조선상고사감> <홍시-감>
-정인보 : <조선사연구>
-신채호 : 독사신론, 조선상고사, 조선사연구초, 조선혁명선언
-박은식의 유교구신론 : 유교의 제왕중심 비판. 양명학 계승 (민중중심)
-홍이섭 : <조선과학사>
-현채 : <유년필독>
Q 밑줄 친 ‘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나의 조선경제사의 기도(企圖)는 사회의 경제적 구성을 기축으로 대체로 다음과 같은 제 문제를 취급하려 하였다.
제1. 원시 씨족 공산체의 태양(態樣)
제2. 삼국의 정립 시대의 노예 경제
제3. 삼국 시대 말기 경부터 최근세에 이르기까지의 아시아적 봉건 사회의 특질
제4. 아시아적 봉건국가의 붕괴 과정과 자본주의 맹아 형태
제5. 외래 자본주의 발전의 일정과 국제적 관계
제6. 이데올로기 발전의 총 과정
① 우리 고대사를 중국 민족에 필적하는 강건한 민족의 역사로 서술했다.
② 일제 식민사학의 정체성론을 극복하는 근거를 제공하였다.
③ 실학에서 자주적인 근대 사상과 우리 학문의 주체성을 찾으려 하였다.
④ 순수 학문을 표방하면서 식민주의 사학에 학문적으로 대항하려 하였다.
【해설】 정답 ②
‘나’는 사회경제사학자 백남운
사회경제사학은 세계사 발전 법칙에 입각하여 한국사를 연구하여 일본의 식민사학의 정체성론을 극복하는 근거를 제공
● 진단학회 (36) <진~이 이손조신>
유물사관, 민족주의 사관 모두 거부. 실증주의 사학 도입
이병도. 이상백. 이윤재. 손진태. 조윤제. 신석호
● 신민족주의 사학 : <신민족 안.소.니.홍>
안재홍, 손진태. 이인영, 홍이섭
문헌고증을 토대로, 사회경제사학 수용, 민족주의 계승 "화합" 계급협조와 계급공생을 목표, 균등과 단결을 중시
● 사회경제사학[유물사관]
-안확 : 조선문명사
-백남운 : 세계사적 발전법칙에 맞춰 우리역사 체계화 (조선사회경제사, 조선봉건사회경제사)
일본의 '정체성론'비판(마르크스이론에 대입)
Q 다음의 인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모두 고른 것은?
1930년대 '조선사회경제사','조선봉건사회경제사' 등을 저술하여 유물사관의 입장에서 한국사를 체계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보 기>
ㄱ. 진단학회의 결성과 진단학보의 발행을 주도하였다.
ㄴ. 국민당 창당을 주도하고 미군정에서 민정 장관을 역임하였다.
ㄷ. 조선민족의 진로 라는 글에서 ‘연합성 신민주주의’를제창하였다.
ㄹ. 한국사가 정체적이며 타율적이라 주장하는 식민사학을 비판하였다.
① ㄱ, ㄴ ② ㄴ, ㄷ ③ ㄷ, ㄹ ④ ㄱ, ㄹ
【해설】 [정답] ③
자료의 인물은 사회경제사학자 백남운
ㄷ. 백남운은 1946년 4월에 "조선민족의 진로"를 발표하여 연합성 신민주주의를 주장했다.
백남운은 연합성 신민주주의에서 민주 정치와 민주 경제는 표리 관계라 동시에 시행해야 하며 그러기 위해서는 토지 문제의 해결 등이 중요하다고 하였다.
ㄹ. 백남운, 이청원 등의 사회경제사학자들은 유물사관에 입각하여 한국사도 세계사적인 발전 과정을 따라 발전해 왔음을 주장하면서 일제 식민사관의 타율성론과 정체성론을 비판하였다.
[오답 분석]
ㄱ. 백남운은 진단학회에 참여하지 않았다 진단학회는 이병도 손진태 등이 주도하였다.
ㄴ.안재홍에 대한 설명이다 안재홍은 1945년 조선건국위원회의 부위원장이 되었으나, 단체가 공산주의자들에게 점거 당하자 같은 해 9월 국민당을 결성하여 당수가 되었다. 그는 1947년에는 과도입법의원 의원이 되고 미군정청 민정장관이 되어 활동하기도 하였다.
Q 밑줄 친 ‘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나의 조선경제사의 기도(企圖)는 사회의 경제적 구성을 기축으로 대체로 다음과 같은 제 문제를 취급하려 하였다.
제1. 원시 씨족 공산체의 태양(態樣)
제2. 삼국의 정립 시대의 노예 경제
제3. 삼국 시대 말기 경부터 최근세에 이르기까지의 아시아적 봉건 사회의 특질
제4. 아시아적 봉건국가의 붕괴 과정과 자본주의 맹아 형태
제5. 외래 자본주의 발전의 일정과 국제적 관계
제6. 이데올로기 발전의 총 과정
① 우리 고대사를 중국 민족에 필적하는 강건한 민족의 역사로 서술했다.
② 일제 식민사학의 정체성론을 극복하는 근거를 제공하였다.
③ 실학에서 자주적인 근대 사상과 우리 학문의 주체성을 찾으려 하였다.
④ 순수 학문을 표방하면서 식민주의 사학에 학문적으로 대항하려 하였다.
【해설】 정답 ②
‘나’는 사회경제사학자 백남운
사회경제사학은 세계사 발전 법칙에 입각하여 한국사를 연구하여 일본의 식민사학의 정체성론을 극복하는 근거를 제공
Q 다음 주장을 한 인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계급투쟁은 민족의 내부 분열을 초래할 것이며, 민족의 내쟁은 필연적으로 민족의 약화에 따르는 다른 민족으로 부터의 수모를 초래할 것이다. 계급투쟁의 길은 우리가 반드시 취해야 할 필요는 없고, 민족 균등이 실현되는 날 그것은 자연 해소되는 문제다.
…(중략)…
이 세계적 기운과 민족적 요청에서 민족사관은 출발하는 것이며, 민족사는 그 향로와 방법을 명백하게 과학적으로 지시 하여야 할 것이다. -조선민족사 개론
① .조선상고사.와 .조선사연구초.를 저술하였다.
② 대동사상을 수용한 유교 구신론을 주장하였다.
③ .진단학보.를 발간한 진단학회의 발기인으로 활동하였다.
④ 5천년간 조선의 얼 이라는 글을 동아일보에 연재하였다.
【해설】 [정답] ③
손진태의 [조선민족사 개론]의 내용. 손진태는 신민족주의 사관을 제시하였고, 진단학회의 발기인.
① 신채호 ② 박은식 ④ 정인보
✽ 진단학회 (36) : 유물사관, 민족주의 사관 모두 거부. 실증주의 사학 도입
<진~이 이손조신> - 이병도. 이상백. 이윤재. 손진태. 조윤제. 신석호
✽신민족주의 사학 : <신민족 안.소.니.홍> - 안재홍, 손진태. 이인영, 홍이섭
문헌고증을 토대로, 사회경제사학 연구, 민족주의 계승 "화합"
✽조선학 운동 : 우리 문화의 고유성을 찾고자~
<조운 백정문안> - 백남운. 정인보, 문일평, 안재홍.
-문일평 : <호암전집>
-안재홍 : <조선상고사감> <홍시-감>
-정인보 : <조선사연구>
-신채호 : 독사신론, 조선상고사, 조선사연구초, 조선혁명선언
-박은식의 유교구신론 : 유교의 제왕중심 비판. 양명학 계승 (민중중심)
-홍이섭 : <조선과학사>
-현채 : <유년필독>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