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산순서, 견적종류, 원칙
적산의 일반적인 원칙
① 설계도면 및 시방서에 의거하여 산출한다.
② 주관적 판단이 개입되지 않아야 한다.
③ 공사량 산출 시 시공기술 기준은 가능한 낮게 반영해야 추후 공사 금액을 줄일 수 있다.
적산 순서
① 실별이나, 바닥, 벽, 천장 등 부위별로 산출한다.
② 시공 순서대로 하며, 구체공사는 기초부에서 상부로, 마무리공사는 지하층부터 상부층으로 산출한다.
③ 내부에서 외부로 산출한다.
④ 수평방향에서 수직방향으로 산출한다.
⑤ 큰 곳에서 작은 곳으로 산출한다.
⑥ 아파트의 경우, 단위세대에서 전체로 산출한다.
견적의 일반적인 원칙
① 실제 상황의 반영
② 모든 비용 요소의 포함
③ 가변성 있는 양식으로 작성
④ 직접비와 간접비의 구분
⑤ 변동비용과 고정비용의 구분
⑥ 불확실성에 대한 예비비 포함
견적의 종류 - 명세견적
① 설계의 최종단계 또는 공사입찰이나 시공계획단계에서 수행되기 때문에 최종견적, 명세견적, 입찰견적 등으로 표현하기도 한다.
② 상세설계의 출력인 일련의 완성된 도면과 시방서에 근거하여 건설공사를 수행하는 데 소요되는 재료, 노무, 장비 등에 대한 상세한 수량과 비용을 결정하는 것이다.
③ 상세설계단계에서 견적기술자가 공사예정가격을 결정하기 위하여 수행하거나 계약자가 입찰서를 제출하고 시공계획을 수립하기 위하여 수행한다.
견적의 종류 - 개산견적
① 설계가 시작되기 전에 프로젝트의 실행 가능성을 알아보거나 설계의 초기단계 또는 진행단계에서 여러 설계대안의 경제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된다.
② 개략적인 공사금액을 예측한다는 의미에서 개념견적, 기본견적, 예산견적 등으로 표현하기도 한다.
③ 설계도면과 시방서가 준비되지 않은 상태에서 공사비를 예측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전의 유사한 공사에서 얻을 수 있는 자료와 건설공사 참여자로부터 얻을수 있는 가능한 정보를 토대로 견적자의 경험과 판단에 의해 수행된다.
주택관리사 두문자 암기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