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오 결과 제 상 고
제물포 조약
조청상민
고문 파견
'임제상고 갑한텐'
임오군란(1882)
1. 배경
- 정부의 개화 정책에 대한 불만, 개항 이후 일본의 경제적 침탈로 다량의 곡식 유출, 쌀값 폭등 → 구식 군인, 도시 빈민층의 불만 고조
2. 계기
- 구식 군인들의 실직, 구식 군인에 대한 차별 대우 심화
3. 전개 과정
구식 군인의 봉기, 도시 빈민층 가세
→민씨 정부의 고관집 습격
→일본 공사관 공격
→왕궁 습격(명성 황후 피신)
→흥선 대원군 재집권
→민씨 일파의 원군 요청으로 청군 출병
→청군의 흥선 대원군 압송
→민씨 일파의 친청 정권 수립
4. 결과
- 청의 내정 간섭 심화:서울에 군대 주둔 및 군권 장악(위안스카이), 마젠창과 묄렌도르프를 고문으로 파견(조선의 내정과 외교 간섭), 조·청 상민 수륙 무역 장정 체결(청이 조선의 종주국임을 명기, 청의 경제적 침탈 심화)
- 일본의 영향력 확대:제물포 조약 체결 → 일본군이 서울에 주둔
5. 임오군란 이후 체결된 조약
조∙청 상민 수륙 무역 장정 | 청 상인의 내륙 진출 허용 → 청 상인이 조선에서 마음대로 장사할 수 있는 특권을 부여, 치외 법권 인정 |
제물포 조약 | 일본에 배상금 지급, 일본군이 공사관 호위 명목으로 서울에 주둔하는 것을 허용 |
조∙일 수호 조규 속약 | 일본 상인의 내륙 진출과 일본 외교관의 내륙 여행 허용 |
▶ 제물포 조약
|
→ 임오군란으로 공사관이 불타고 10여 명의 사상자가 나온 일본은 조선에 임오군란의 책임을 묻고 사후 처리를 위한 협상을 요구하였다. 결국, 조선은 일본과 제물포 조약을 체결하였는데, 이 조약에 따라 조선은 배상금을 지급하였으며, 공사관에 일본 경비병이 주둔하는 것을 허용하였다. 이로써 일본은 조선에 공식적으로 군대를 주둔시킬 기회를 얻게 되었음
Q 빈칸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1. 배경 - 민씨 정부의 개화 정책에 대한 반발 - 별기군에 대한 우대 정책 2. 경과 - 무기고 파괴, 민씨 정권 고관 살해 - 흥선대원군 재집권 - 청군 개입해 난 진압 3. 결과 : [ ] |
<보 기> ㄱ.일본이 공사관에 경비병을 주둔시켰다. ㄴ.김홍집이 수신사로 일본에 파견되었다. ㄷ.조․청 상민 수륙 무역 장정이 체결되었다. ㄹ.5군영이 2영으로 통합되고 통리기무아문이 신설되었다. |
①ㄱ, ㄷ ② ㄱ, ㄹ ③ ㄴ, ㄷ ④ ㄴ, ㄹ
【해설】 정답 ①
임오군란에 대한 설명
㉠ 임오군란의 결과로 일본과 제물포조약으로 일본이 공사관에 경비병을 주둔하였다.
㉢ 임오군란의 결과 청나라 상인의 통상 특권과 조선을 청나라에 속방으로 규정한 조청상민수륙무역장정이 체결
㉡ 김홍집은 조일수호조규에서의 방곡과 무관세 항목을 수정하기 위해 2차 수신사로 파견되었다.
㉣ 임오군란은 5군영이 2영으로 통합되고 통리기무아문이 설치되어 이를 배경으로 일어났다.
'수일(이는) 미수(다) 이 규약(은) 무역 통일(이다)'
수일 조일수호조규, 강화도조약 처음밟지요 천팔치유1876
미수 조미수호통상조약 1882 조미 임오 조청 빨리1882
이(임) 임오군란 한발빨리 1882
규약 조일수호조규속약, 제물포조약 임오군란 후속대책으로 같은날 조인
무역 조청상민수륙무역장정 82
통일 조일통상상정 83
임오 결과 제 상 고
제물포 조약
조청상민
고문 파견
'임제상고 갑한텐'
잡스9급 PDF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