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스 국어/고전문학

일야구도하기(一夜九渡河記), 박지원

Jobs 9 2022. 7. 27. 10:47
반응형

일야구도하기(一夜九渡河記)

박지원

 

나의 거처는 산중(山中)에 있었는데, 바로 문앞에 큰 시내가 있었다. 해마다 여름철이 되어 큰 비가 한 번 지나가면, 시냇물이 갑자기 불어서 마냥 전차(戰車)와 기마(騎馬), 대포(大砲)와 북 소리를 듣게 되어,그것이 이미 귀에 젖어 버렸다. 
나는 옛날에, 문을 닫고 누운 채 그 소리들을 구분해 본 적이 있었다. 깊은 소나무에서 나오는 바람 같은 소리, 이것은 듣는 사람이 청아(淸雅)한 까닭이며, 산이 찢어지고 언덕이 무너져 내리는 듯한 소리, 이것은 듣는 사람이 흥분(興奮)한 까닭이며, 뭇 개구리들이 다투어 우는 듯한 소리, 이것은 듣는 사람이 교만(驕慢)한 까닭이며, 수많은 축(筑)의 격한 가락인 듯한 소리, 이것은 듣는 사람이 노한 까닭이다. 그리고, 우르릉쾅쾅 하는 천둥과 벼락 같은 소리는 듣는 사람이 놀라 까닭이고, 찻물이 보글보글 끓는 듯한 소리는 듣는 사람이 운치(韻致)있는 성격인 까닭이고, 거문고가 궁우(宮羽)에 맞는 듯한 소리는 듣는 사람이 슬픈 까닭이고, 종이창에 바람이 우는 듯한 소리는 듣는 사람이 의심(疑心)하고 있기 때문인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모든 소리는, 올바른 소리가 아니라 다만 자기 흉중에 품고 있는 뜻대로 귀에 들리는 소리를 받아들인 것에 지나지 않는다.

마음(심리)의 상태에 따라 다르게 들리는 물소리


그런데, 나는 어제 하룻밤 사이에 한 강(江)을 아홉 번이나 건넜다. 강은 새외(塞外)로부터 나와서 장성(長城)을 뚫고 유하, 조하, 황화, 진천 등의 여러 줄기와 어울려 밀운성 밑을 지나 백하(白河)가 되었다. 내가 어제 두 번째 배로 백하를 건넜는데, 이것은 바로 이 강의 하류였다.

하룻밤 동안에 강을 아홉 번 건넘

 

내가 아직 요동 땅에 들어오지 못했을 무렵, 바야흐로 한여름의 뙤약볕 밑을 지척지척 걸었는데, 홀연히 큰 강이 앞을 가로막아 붉은 물결이 산같이 일어나서 끝을 볼 수 없었다. 아마 천 리 밖에서 폭우로 홍수가 났었기 때문일 것이다. 물을 건널 때에는 사람들이 모두들 고개를 쳐들고 하늘을 우러러보고 있기에, 나는 그들이 모두 하늘을 향하여 묵도(默禱)를 올리고 있으려니 생각했었다. 
그러나, 오랜 뒤에야 비로소 알았지만, 그 때 내 생각은 틀린 생각이었다. 물을 건너는 사람들이 탕탕(蕩蕩)히 돌아 흐르는 물을 보면, 굼실거리고 으르렁거리는 물결에 몸이 거슬러 올라가는 것 같아서 갑자기 현기(眩氣)가 일면서 물에 빠지기 쉽기 때문에, 그 얼굴을 젖힌 것은 하늘에 기도하는 것이 아니라, 숫제 물을 피하여 보지 않기 위함이었다. 사실, 어느 겨를에 그 잠깐 동안의 목숨을 위하여 기도할 수 있었으랴!

강을 건널 때 사람들이 하늘을 보는 이유


그건 그렇고, 그 위험이 이와 같은데도, 이상스럽게 물이 성나 울어 대진 않았다. 배에 탄 모든 사람들은 요동의 들이 넓고 평평해서 물이 크게 성나 울어 대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것은 물을 잘 알지 못하는 까닭에서 나온 오해인 것이다. 요하(遼河)가 어찌하여 울지 않았을 것인가? 그건 밤에 건너지 않았기 때문이다. 낮에는 눈으로 물을 볼 수 있으므로 그 위험한 곳을 보고 있는 눈에만 온 정신이 팔려 오히려 눈이 있는 것을 걱정해야만 할 판에, 무슨 소리가 귀에 들어온다는 말인가? 그런데, 이젠 전과는 반대로 밤중에 물을 건너니, 눈엔 위험한 광경이 보이지 않고, 오직 귀로만 위험한 느낌이 쏠려, 귀로 듣는 것이 무서워서 견딜 수 없는 것이다. 

낮에 강을 건널 때와 밤에 건널 때의 차이


아, 나는 이제야 도(道)를 알았도다. 마음을 잠잠하게 하는 자는 귀와 눈이 누(累)가 되지 않고, 귀와 눈만을 믿는 자는 보고 듣는 것이 더욱 밝아져서 큰 병이 된다는 것을 깨달았다.

깨달음


이제까지 나를 시중해 주던 마부(馬夫)가 말한테 발을 밟혔기 때문에, 그를 뒷수레에 실어 놓고, 이젠 내 손수 고삐를 붙들고 강 위에 떠 안장 위에 무릎을 구부리고 발을 모아 앉았는데, 한번 말에서 떨어지면 곧 물인 것이다. 거기로 떨어지는 경우에는 물로 땅을 삼고, 물로 옷을 삼고, 물로 몸을 삼고, 물로 성정(性情)을 삼을 것이리라. 이러한 마음의 판단이 한번 내려지자, 내 귓속에선 강물 소리가 마침내 그치고 말았다. 그리하여, 무려 아홉 번이나 강을 건넜는데도 두려움이 없고 태연할 수 있어, 마치 방 안의 의자 위에서 좌와(坐臥)하고 기거하는 것 같았다. 
옛적에 우(禹)가 강을 건너는데, 누런 용이 배를 등으로 져서 지극히 위험했다 한다. 그러나, 생사의 판단이 일단 마음 속에 정해지자, 용이거나 지렁이거나, 혹은 그것이 크거나 작거나 간에 아무런 관계도 될 바가 없었다 한다. 소리와 빛은 모두 외물(外物)이다. 이 외물이 항상 사람의 이목(耳目)에 누(累)가 되어, 보고 듣는 기능을 마비시켜 버린다. 그것이 이와 같은데, 하물며 강물보다 훨씬 더 험하고 위태한 인생의 길을 건너갈 적에 보고 듣는 것이야말로 얼마나 치명적인 병이 될 것인가?

마음가짐에 따라 모든 것이 달라짐.


나는 또 나의 산중으로 돌아가 앞내의 물 소리를 다시 들으면서 이것을 경험해 볼 것이려니와, 몸 가지는 데 교묘하고 스스로 총명한 것을 자신하는 자에게 이를 경계하고자 하는 것이다.

외물에 치우친 삶의 태도를 경계함.



* 전차와 기마, 대포와 북 소리 : 시냇물 흘러가는 소리
* 깊은 소나무에서 나오는 바람 같은 소리 : 그윽하고 맑은 소리
* 산이 찢어지고 언덕이 무너져 내리는 듯한 소리 : 요란하고 불안정한 소리
* 뭇 개구리들이 다투어 우는 듯한 소리 : 경쟁이라도 하듯 싸우는 소리
* 축 : 비파와 유사한 현악기의 한 종류
* 찻물이 보글보글 끓는 듯한 소리 : 평온하고 여유가 느껴지는 소리
* 궁우 : 옛날의 음계명, 동양 음악의 5음인 궁상각치우 중에서 궁음과 우음.
* 거문고가 궁우에 맞는 듯한 소리 : 고요하면서 쓸쓸한 소리
* 종이창에 바람이 우는 듯한 소리 : 가늘게 떨리는 소리
* 새외 : 만리장성의 바깥, 변방
* 묵도 : 눈을 감은 채 소리내지 않고 마음 속으로 하는 기도
* 탕탕히 : 물살이 매우 거세게
* 굼실거리고 : 구불구불 물결을 이루며 자꾸 넘실거리고
* 숫제 : 아예
* 잠깐 동안의 목숨 : 목숨이 매우 위급한 상황
* 성정 : 성질과 심정
* 좌와 : 앉거나 누움
* 외물 : 외부 세계로부터의 자극이나 영향
* 몸 가지는 데 교묘하고 스스로 총명한 것을 자신하는 자 : 내적 진실성이 없고 남을 현혹하는 사람.


이해 및 감상
똑같은 경험을 하더라도 사람에 따라 깨달음이나 얻는 것이 다른 경우를 보게 되는데, 그 차이는 서로 사고하는 방식이 다른 데서 비롯된다. '일야구도하기'는 바로 그러한 독특하고 개성적인 사고가 드러나는 글로, 우리에게 많은 시사점을 준다. <열하일기> 중, '산장잡기'에 들어 있는 이 작품은 하룻밤 사이에 한 강을 아홉 번이나 건넜던 체험을 통해서 사물의 외부적인 현상이나 주관적 감각에 의해 판단이 흐려지는 경우를 경계하고, 사물의 본질에 대한 예리한 깨달음을 전하는 글이다. 이 글에서는 큰 강물을 건너게 되면서 누구나 겁을 먹기 마련인데, 그것은 강물의 흐름이나 그 소리만을 염두에 두기 때문임을 깨닫는 과정이 잘 그려져 있다. 그리고 사람이 살아가면서 어떻게 살아가야 진실한 삶이 될 수 있는가 하는 본질적인 질문에 대한 글쓴이 나름대로의 답도 밝히고 있다. 이목에 구애됨이 없이 마음을 평온하게 가지면 외물이 사람에게 누가 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인생의 길을 걸을 때에도 외물에 현혹되지 않도록 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요점 정리
- 갈래 및 성격 : 고전 수필, 기행 수필, 한문 수필.  (사색적, 교훈적, 비유적)
- 문체 : 번역체, 만연체, 우유체
- 출전 : <열하일기> 중 "산장잡기(山莊雜記)"
- 주제 : 외물(外物)에 현혹되지 않는 삶의 자세
- 표현상의 특징
* 치밀한 관찰력과 사색으로 사물의 본질을 통찰한, 이지적이고 사색적인 글임.
* 평범한 소재로 인생을 관조해 가면서 주관적 진술에만 그치지 않고, 구체적 체험을 바탕으로 객관성을 유지하면서 결론을 이끌어 냄.
* 적절한 예시와 묘사를 통하여 작자 자신의 주장을 뚜렷이 드러냄.
 
참고 : 『열하일기』에 대해
1780년(정조4) 청나라 황제 고종의 만수절을 축하하기 위해 사신으로 가는 종형 박명원을 수행하여 연경, 열하 등지에 가서 4개월 간 돌아보며 그 곳의 문물 제도를 기록한 26권으로 구성된 견문기로, 명확한 정본(定本)이 없고 당시 판본(板本)도 없이 많은 전사본만이 전해져 온다. 연암은 1637년 인조가 청 태종에게 군신의 예를 올린 삼전도의 치욕 이후 효종이 추진했던 북벌론의 의지가 강하게 지배하고 있던 당시, 본질은 사라진 채 권력자들의 당리당략을 위한 논쟁으로 전락하게 되자 비록 적대적인 감정이 쌓여 있는 상황이지만 그들의 발전된 문명을 수용함으로써 조선의 현실을 개혁하고자 했다. 
비록 박지원이 18세기 사람이지만, 이용후생(利用厚生)에 뜻을 두고 실생활을 중심으로 이야기를 풀어나가는 품이 상당히 세밀하고 사실적인 느낌을 준다. 예컨대 집을 지을 때 기와 잇는 방법, 기와를 굽는 가마의 차이, 굴뚝 만드는 방식 등 중국인들의 실생활 속에서 우리가 배워야 할 점들을 포착해 내는 눈썰미가 보통이 아니다. 또한 우리 나라 온돌의 단점 6가지를 집어내는 날카로운 안목을 보여준다. <열하일기>를 읽다 보면 글 속의 장면이 그림처럼 떠오르곤 하는데, 이처럼 자신의 생각과 본 것을 그대로 표현하는 사실주의적 입장과 빼어난 비유 때문에 사람들에게 설득력을 얻고 있다. 

 

 


 Q  다음 중 아래 글에 대한 이해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어떤 사람은 이곳이 옛 전쟁터였기 때문에 물소리가 그렇다고 말하나 그래서가 아니라 물소리는 듣기 여하에 달린 것이다.나의 집이 있는 산속 바로 문 앞에 큰 내가 있다. 해마다 여름철 폭우가 한바탕 지나가고 나면 냇물이 갑자기 불어나 늘 수레와 말, 대포와 북의 소리를 듣게 되어 마침내 귀에 못이 박힐 정도가 되어버렸다. 나는 문을 닫고 드러누워 그 냇물 소리를 구별해서 들어 본 적이 있었다. 깊숙한 솔숲에서 울려 나오는 솔바람 같은 소리, 이 소리는 청아하게 들린다. 산이 찢어지고 언덕이 무너지는 듯한 소리, 이 소리는 격분해 있는 것처럼 들린다. 뭇 개구리 들이 다투어 우는 듯한 소리, 이 소리는 교만한 것처럼 들린다. 수많은 축(筑)이 번갈아 울리는 듯한 소리, 이 소리는 노기에 차 있는 것처럼 들린다. 별안간 떨어지는 천둥 같은 소리, 이 소리는 놀란 듯이 들린다. 약하기도 세기도 한 불에 찻물이 끓는 듯한 소리, 이 소리는 분위기 있게 들린다. 거문고가 궁조 (宮調)ㆍ우조(羽調)로 울려 나오는 듯한 소리, 이 소리는 슬픔에 젖어 있는 듯이 들린다. 종이 바른 창문에 바람이 우는 듯 한 소리, 이 소리는 회의(懷疑)스러운 듯 들린다. 그러나 이 모두가 똑바로 듣지 못한 것이다. 단지 마음속에 품은 뜻이 귀로 소리를 받아들여 만들어 낸 것일 따름이다.

-박지원, <일야구도하기> 중에서

 

① 직유와 은유를 활용하여 대상을 묘사하였다.

② 세심한 관찰을 통해 사물의 본질을 이해할 수 있음을 역설하였다.

③ 일상에서의 경험을 자기 생각의 근거로 제시하였다.

④ 다른 이의 생각을 반박하기 위하여 서술하였다.

【해설】 정답 

작가는 냇물 소리를 ‘귀에 못이 박힐 정도’로 들으며 이를 구별해 본 적이 있었다고 서술하고 있다. 그러나 이 모두가 ‘단지 마음속에 품은 뜻이 귀로 소리를 받아들여 만들어 낸 것일 따름’이라고 하였으므로 관찰을 통해 사물의 본질을 이해할 수 있다는 내용이 아니다. 오히려 사물의 본질은 ‘마음’에 달려 있다는 것이 주제

① 둘째 문단에서 여름철 불어난 냇물 소리를 ‘수레와 말, 대포와 북의 소리’ 라고 하며 은유를 활용하여 묘사. 또한 셋째 문단의 ‘~같은’, ‘~듯 한’을 사용한 표현에서 직유를 통해 대상을 묘사

③ 셋째 문단에서 작가 자신의 집 앞에 흐르는 냇물 소리를 주의 깊게 들어 본 일상의 경험을 서술하고 있다. 이를 통해 물소리는 ‘마음속에 품은 뜻이 귀로 소리를 받아들여 만들어 낸 것’이라는 자신의 생각을 뒷받침하고 있다.

④ 첫째 문단에서 ‘이곳이 옛 전쟁터였기 때문에 물소리가 그렇다’고 하는 다른 이의 생각을 반박하기 위해 이 글을 서술

일야구도하기(一夜九渡河記), 박지원

- 갈래 및 성격 : 고전 수필, 기행 수필, 한문 수필.  (사색적, 교훈적, 비유적)
- 문체 : 번역체, 만연체, 우유체
- 출전 : <열하일기> 중 "산장잡기(山莊雜記)"
- 주제 : 외물(外物)에 현혹되지 않는 삶의 자세
- 표현상의 특징
* 치밀한 관찰력과 사색으로 사물의 본질을 통찰한, 이지적이고 사색적인 글임.
* 평범한 소재로 인생을 관조해 가면서 주관적 진술에만 그치지 않고, 구체적 체험을 바탕으로 객관성을 유지하면서 결론을 이끌어 냄.
* 적절한 예시와 묘사를 통하여 작자 자신의 주장을 뚜렷이 드러냄.

 

 

잡스9급 PDF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