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로그 News-log

의원 철수해라, 요원 끌어내라

Jobs 9 2025. 1. 24. 14:59
반응형

 

 

 

이재명 요원, 우원식 요원?…“요원 끌어내라” 발언 패러디 봇물


지난달 3일 비상 계엄 사태 당시 “(국회에서) 의원이 아닌 요원을 끌어내라고 했다”는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의 발언을 두고 정치권과 누리꾼들 사이에서 황당하다는 반응이 나오고 있다. 이들은 ‘요원은 대체 누구냐’며 김 전 장관의 발언을 비판했다. 

김 전 장관은 지난 23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 탄핵 재판 4차 변론에서 윤 대통령 대리인단이 “곽종근 전 특전사령관이 김병주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유도질문에 넘어간 것이 아니냐. 의원이 아니라 요원을 빼내라고 한 것 아니냐”고 묻자 “그렇다”라고 답했다. 

‘끌어내라고 한 것은 의원이 아닌 요원‘이라는 김 전 장관의 발언이 알려지자 정치권에서는 비판이 쏟아졌다. 

천하람 개혁신당 대표는 24일 문화방송(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나와 “의원이 아니라 요원을 끌어낸다면, 군인 요원들끼리 서로 뒷목 잡고 끌어낸다는 얘기냐”며 “군인 요원은 끌어낼 필요 없고 그냥 철수해라고 (김 전 장관이) 명령하면 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물리력을 행사하는 군인이 의원을 끌어낸다는 것이 자연스럽다”며 “지금 이런 말장난을 하고 ‘바이든 날리면 시즌2’를 하냐 국민이 불쾌하다”고 말했다. 

유승민 전 국민의힘 의원도 에스비에스(SBS) 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에서 “도대체 요원이 누구냐. 요원이 군인들하고 경찰들이라면 자기들이 들어가 놓고 자기들을 끌어내라는 말이냐”고 비판했다. 

박지원 더불어민주당 의원 역시 불교방송(BBS) 라디오 ‘신인규의 아침저널’ 인터뷰에서 “(보통) 국회요원이라고 하면 국회 사무처 직원을 의미하는데, (본회의장 안에 있었던 인원은) 불과 12∼15명이었다”며 “그 요원들을 잡아내려고 계엄군 280명이 왔나”라고 말했다. 그는 “박지원이 국회의원인 줄 알았는데 국회요원이 됐다”고 말했다. 

누리꾼들의 패러디도 이어졌다.

누리꾼들은 “이요원이요? 저요원이요? 조용원인가?” “이재명 요원, 우원식 요원, 김민석 요원, 뭐 그런 거야?” “그날 국회에 있던 한동훈은 의원이 아니었으니 요원이 맞다” “계엄이 아니라 게임을 했다고 해라” “의원=요원, 바이든=날리면, 유지=Yuji, 듣기평가 진짜 어렵네요”는 반응을 보였다. 

 



尹 측 ‘요원 끌어내라’ 주장에 권성동 “대통령이 방어권 행사한 것”
“부정선거 동의하지 않아… 선거 시스템 전반 살펴볼 필요 있어”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윤석열 대통령 측이 12·3 비상계엄 당시 국회의원 체포 지시 의혹에 ‘의원이 아니라 군 병력 요원을 빼내려 한 것’이란 취지로 주장한 데 대해 “대통령이 방어권을 행사하는 차원에서 이야기한 것”이라고 했다.

권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원내대책회의 후 기자들과 만나 ‘윤 대통령 측의 탄핵 심판 진술에 대한 입장’을 묻자 “당으로서 공식적인 입장은 없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비상계엄 선포와 관련된 수사나 탄핵 심판에 관해서는 대통령이 방어권을 행사하는 차원에서 이야기한 것”이라며 “사실 관계는 제가 정확히 알 수 없다. 모르는 상태에서 언급하는 것 자체가 적절하지 않다”고 덧붙였다. 

앞서 전날(23일) 윤 대통령 탄핵심판 4차 변론기일에서 윤 대통령 측은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에게 비상계엄 당일 국회에 투입된 체포조에 대해 “(국회에서) ‘요원’을 빼내라고 한 게 ‘의원’을 빼내라고 한 걸로 둔갑된 것이죠”라고 물었고, 김 전 장관은 “맞습니다”라고 답했다. 그간 국회 증언과 검찰 수사 등에서 드러난 계엄 관련자들의 진술과 배치되는 주장이다. 


권 원내대표는 당내 일각에서 제기되는 ‘부정선거론’에 대해선 일축했다. 그는 “기본적으로는 부정선거에 대해서는 증거 발견된 것이 없지 않나”며 “당의 입장은 부정선거가 있다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의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다만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선거관리 시스템 문제는 개선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고 밝혔다. 권 원내대표는 “선거관리위원회의 부정 채용 등으로 인해 국민의 불신을 받고 있고, 국정원과의 합동 점검 결과, 선거관리 시스템과 서버에 보안이나 방어가 취약하단 부분이 있었다. 선거 시스템 전반에 대해서는 한번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