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운영체제
- 컴퓨터의 주기억장치 내에 상주하면서 컴퓨터의 효율적인 운영을 담당하는 시스템 소프트웨어
- 시스템의 자원(중앙처리장치, 주기억장치, 보조기억장치, 입출력장치, 네트워크 등)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운영함으로써 인간과 컴퓨터 간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담당
- 어떤 종류의 컴퓨터에도 반드시 운영체제가 존재함
운영체제의 목표
-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자원들을 관리하고 제어
- 사용자에게 편리한 인터페이스 제공
- 수행 중인 프로그램들의 효율적인 운영을 도움
- 작업 처리 과정 중에 데이터를 공유
- 입출력에서 보조적인 기능을 수행
- 오류가 발생하면 원활하게 처리
운영체제의 자원 관리
- 프로세스 관리 : 프로세스의 생성과 삭제, 중지와 계속 등을 관리
- 작업 관리 : 작업과 관련된 순서, 우선순위, 프로세스 할당 등을 관리
- 주기억장치 관리 : 주기억장치의 할당과 회수를 담당
- 보조기억장치 관리 : 보조기억 장치의 효율적인 사용을 관리
- 입출력 장치 관리 : 입출력 장치들을 관리
- 파일 관리 : 파일의 관리를 담당
- 보안 관리 : 보안과 관련된 사항들을 관리
프로세스 : 작업 도중 필요한 정보나 스케쥴에 필요한 여러 정보를 기억하고 있는 구조체
- 중앙처리장치, 파일, 입출력 장치 등과 관련된 역할을 수행
- 실행 중인 프로그램과 주기억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PCB(Process Control Block)와 결합된 형태의 코드를 말함
- 프로세스는 작업 스케쥴러에 의해 생성되며 주기억장치에 진입함
- 프로세스느 처리기를 의미하는 프로세서와는 다름
커널
- 자원을 관리하는 모듈의 집합으로 운영체제 기능의 핵심적인 부분을 모아 놓은 부분
- 메모리 관리 및 스케쥴링 인터럽트 처리 등의 기능을 담당
- 사용자는 직접 커널을 제어할 수 없고, Shell에 의뢰하여 전달함
- 꼭 필요한 부분으로 항상 메모리에 적재되어 있음
운영체제의 유형
- 일괄 처리(Batch Processing) : 여러 사용자들의 작업을 모아서 일괄적으로 순서대로 처리하는 방식
- 대화 처리(Interactive Processing) : 중앙의 대형 컴퓨터에 여러 개의 단말기를 연결하여 여러 사용자들의 요구를 대화식으로 처리
- 다중 처리(Multi Processing) : 두 개 이상의 프로세서로 구성된 시스템의 운영체제로서 단일 처리 시스템보다 많은 양의 작업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음
- 다중 프로그래밍(Multi Programming) : 여러 개의 프로그램들을 동시에 주기억장치에 적재하여 한 프로그램이 입출력 등의 작업을 할 때 중앙처리장치를 쉬게 하지 않고 다른 프로그램을 처리하게 하여 전체적인 처리 속도를 향상시키는 방식
최근 운영체제의 주요 특징
- 멀티미디어 자원의 관리 : 텍스트 뿐만 아니라 MIDI, MPEG, JPEG 등의 멀티미디어 파일들을 관리하고 처리
- Windows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반화 : Windows의 메뉴와 마우스 클릭으로 컴퓨터와 인간의 편리한 상호작용이 가능
- 보안 기술 강화 : 컴퓨터들이 네트워크를 통해 개방형으로 운영되므로 접근 제어 기술 및 보안 기술이 강화됨
- 객체지향 기술 이용 : GUI, OLE 등의 기술에서 객체지향 기술이 일부 적용됨
- UNIX의 기능 확장 및 다중화 : UNIX의 기능이 확장되었고 다양한 버전이 출현함
- Windows의 대중화 : Windows 제품군이 대중화되어 PC들 사이에 호환성이 유지됨
- Linux 사용의 확대 : PC용 UNIX라고 할 수 있는 Linux가 소스 공개(오픈 소스)를 바탕으로 급속히 확산되어 서버 시장의 상당 부분을 차지
DOS(Disk Operation System)
- 디스크에서 구동되는 시스템이라는 뜻을 가진 단일 사용자-단일 태스크 운영체제
- IBM이 개발한 PC에서 마이크로소프트사와 손잡고 새로운 운영체제인 MS-DOS를 채택
- 마이크로소프트사의 MS-DOS는 지금까지 전 세계적으로 수십억 명이 사용
- 텍스트 기반으로 명령어를 직접 입력(CLI)하는 방식으로 작동
Windows OS : 마이크로소프트사에서 만든 GUI 운영체제
Windows의 역사
- 1985년 : Windows 초기 버전(1.0) 발표
- 1995년 : Windows 95 발포, DOS와 분리
- 1998년 : 인터넷을 강화시킨 98버전 출시
- 2001년 10월 : Windows XP 출시
- 2009년 10월 : Windows 7 출시
- 2012년 10월 : Windows 8 출시
- 2015년 7월 : Windows 10 출시
Windows XP
- 2001년 Windows ME의 편리함과 Windows 2000의 안정성을 합쳐서 만들어짐
- 2000년 초반부터 2015년 정도까지 MacOS 외에 세계적으로 거의 독점으로 사용
- 과거 버전에 비해 뛰어난 안정성
- 화면에 보이는 인터페이스와 그 기능을 중심으로 화려한 인터페이스 사용
- 인터넷을 사용하는 것을 기반으로 제작, 프로그램이 추가되고 개선됨
- 펜티엄 3 450MHz, 128MB이상의 메모리 요구
- 2018년부터 MS에서 XP에 대한 보안 업데이트 중단
Windows 7
- 2009년 출시, 빠르고 안정적인 성능과 함께 보다 편리한 방법으로 PC를 사용할 수 있게 설계
- 1GHz 이상의 32비트 또는 64비트 프로세서, 1/2GB RAM 필요, 최소 16GB(32비트) 또는 20GB(64비트) 저장공간
- WDDM 1.0 이상의 드라이버가 있는 DirectX 9 그래픽 장치
- XP에 비해 속도가 빠르고 최소 설치 요구사항이 가벼워짐
- 네트워킹 기능이 단순화되고 향상, BitLocker가 기본으로 탑재되어 보안 강화
- 가상화 기능으로 호환성 강화, 사용자 인터페이스 개선 및 장애우를 위한 기능 향상
- 멀티미디어 기능이 크게 향상
Windows 7의 주요 기능
- 홈 그룹 기능 : Windows 7을 실행하는 PC를 두 개 이상 연결하는 홈 그룹을 통해 음악, 사진 등을 서로 공유
- 바탕화면 기능 : Aero Shake, Aero Peek, Snap을 통해 복잡한 바탕화면을 간편하게 정리
-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 : 다른 PC, TV, 스피커 등으로 음악 및 비디오를 재생할 수 있게 함
Windows 8
- 2012년 발표, Windows 7의 성능을 약간 개량하였으나 큰 차이는 없음
- 윈도우폰에 쓰인 Metro UI가 PC에 적용됨
- PC, 노트북 외에 태블릿,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기기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최초의 통합 운영체제
- 한 번의 클릭으로 원하는 어플리케이션과 콘텐츠에 바로 접근
- 터치에 최적화된 익스플로러 10을 탑재, 클라우드 서비스인 SkyDrive도 기본으로 제공
Windows 10
- 2015년 7월 말에 발표,Windows 7과 8의 성능 개량
- Windows 7과 8의 시작버튼을 혼합시킨 새로운 형태의 시작 버튼
- 창 화면으로 작동되는 메트로 앱
- 새로운 테스크 뷰 버튼과 멀티 데스크톱
- 스냅 기능과 빠른 파일 검색
UNIX 운영체제
- 역사가 매우 오래된 운영체제로, 대기업의 서버 컴퓨터와 통신용 서버 컴퓨터에 많이 사용됨
- 1960년대 초 : MIT, Bell Lab, GE 등이 공동으로 MULTICS을 개발
- 1969년 : Bell Lab에서 Ken Thompson이 MULTICS의 소형화를 시도, Dennis Ritchie와 함께 첫 버전을 개발하여 UNICS로 명명
- 1973년 : Dennis Ritches가 C언어로 UNICS를 다시 개발
- 1976년 : 미국의 각 대학에 퍼짐, BSD 계열과 System V 계열로 나뉨
- 1978년 : 버클리 대학의 Bill Joy가 기능을 확장하여 3BSC(Berkeley Software Distribution)로 만듦
- 1983년 : 버클리 대학에서 4.3 BSC 발표, AT&T가 System V 발표
UNIX의 특징
- 기본적으로 전문 프로그래머용이고 일반 초보자가 사용하기 조금 어려우나, 익숙해지면 상당히 직관적이고 효율적
- 고급언어인 C언어로 작성되었기 때문에 어떤 컴퓨터에서도 사용할 수 있음
- 오픈소스로 배포하였고 다중 사용자 시스템
- 다양한 분야의 도구들이 기본적으로 제공되며 강력한 네트워크 기능을 지원함
- X Window라는 Windows 시스템 기능을 제공, 이를 사용하여 GUI 환경에서 작업 가능
UNIX의 장단점
항목 | 장점 | 단점 |
이식성, 호환성, 공개성 | 개발에 용이함 | 다양한 버전이 존재 |
파일 시스템 | 트리 구조로 사용이 편리 | 처리 속도 지연 |
시분할 방식 | 모든 사용자에게 컴퓨터 자원을 균등 분배 | 업무 우선 순위 결정이 어려움 |
명령어 축약 | 최소로 최대의 효과 | 초보자는 사용이 어려움 |
통신 | 다양한 유틸리티(UUCP, e메일 등) 제공 | |
분산 처리 | 서로 다른 기종 간에도 가능 | |
프로그램 개발 도구 | 다양한 도구 제공 | |
한글 지원 | 자국어 처리 시스템 이용 | |
에러 메시지 | 간단하고 불분명함 |
LINUX 운영체제
- 1991년 대학생이던 리누스 토발즈가 자신이 수강하던 UNIX 과정의 교재를 보고 자신의 PC에서도 써보고자 하는 의도에서 만든 운영체제
- 첫 공식 버전은 1991년 10월에 발표됨
- 스톨만 교수가 주축이 된 GNU(UNIX 형태의 오픈소스 운영체제를 개발하기 위해 1984년부터 시작한 프로젝트 : GNU's Not UNIX) 그룹에서 이 Linux 소스 코드를 가지고 프로젝트를 진행
- 전세계 수많은 개발자들이 Linux의 소스 코드를 받아 자신이 원하는 기능을 추가하고 다시 인터넷에 공개하는 방식으로 발전
- 서버용 소프트웨어를 기본으로 제공
- 누구나 다운 받아 설치할 수 있으며 수많은 배포판이 있음
- (단점) 책임지고 개발하는 사람이 적으며, 컴퓨터에 대한 사전 지식을 요구
- (단점) 문제가 생기면 보통은 스스로 문제점을 찾아 해결해야 함
MacOS
- 매킨토시 : 스티브 잡스가 1984년 애플사에서 만든 개인용 컴퓨터의 이름, Mac OS가 탑제되었음
- 과거에는 모토로라의 CPU를 사용하였지만, 현재는 인텔 코어 CPU를 사용, 일부 모델의 경우 신제품에서 자체 CPU 탑제가 예정됨
- 사용자 입장을 가장 잘 반영한 OS, 복잡한 구조를 감추가 누구나 사용하기 쉽도록 설계
- 다중 사용자 시스템으로 최대 40명까지 사용할 수 있음
- Key Chain을 통해 비밀번호 저장 가능, 자동 업데이트 지원 및 인터넷과 다국어 지원
공무원 두문자 암기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