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과학 Social Sciences/사회, 문화 Social, Culture

영포티, X세대, 사초 세대, 1970~1975년생, 마케팅, 새로운 주 소비층, 민주당 지지 4050대 유권자, 개인주의적 기성세대

Jobs 9 2024. 10. 4. 19:15
반응형

 

 

영포티, X세대, 사초 세대, 1970~1975년생, 마케팅, 새로운 주 소비층, 민주당 지지 4050대 유권자, 개인주의적 기성세대

 

영포티


2015년 11월 경부터 마케팅 업계에서 1990년대 X세대붐을 일으킨 1970년대 초반생들이 모두 40대(지금은 50대)가 되자 이들을 새로운 주 소비층으로 주목하면서 유행시킨 신조어. 

본래 의미는 말 그대로 '젊은 감각을 유지하는, 혹은 젊게 살고 싶어 하는 40대'였지만 2020년대에 접어들면서는 '자신이 젊다고 착각하는 철없는 중년'쯤으로 변질되었다. 


유래


‘라이프 트렌드 2016’(부키)을 출간한 트렌드 분석가 김용섭에 의해 "젊게 살려고 하는 40대를 지칭한다"며 단어가 제안되었고 언론들이 적극적으로 수용하며 사용하였다. 이 단어를 만든 김용섭과 수용한 언론에 따르면, 1990년대 초반 X세대의 핵심이었던 1970~1975년생들이 40대가 됨으로써 기존의 기성세대와는 차별화된다고 주장한다. 동아일보는 2016년 2월 기사에서 김용섭의 주장에 화답하여 X세대 열풍을 주도한 1970년대 초중반생들이 당시 40대 초중반임을 주목해 사초 세대라고 명명한 기사를 내기도 했다. 

김용섭이 왜 영포티라는 용어를 제안하고 마케팅적 관심을 기울였는지는 책을 출간한 지 얼마 안 된 후 나온 2016년 1월 한국일보의 인터뷰에 꽤 자세히 실려 있다.  김용섭은 이 단어를 제시한 이유로 전체 인구를 연령순으로 일렬로 세웠을 때 정중앙에 있는 중위연령이 2014년 현재 40.2세인데 1970년대에는 20세 전후였고, 1995년만 해도 30세 정도여서 과거와 비교할 때 40대는 중년이라기엔 너무 젊은 것이라며 인구구조에서 찾고 있다. 즉, 고령화에 따라 중위연령이 계속 높아져 1970년대 중반생들이 40대가 된 2014년엔 중위연령이 처음 40대를 돌파하여 40.2세가 되어 40대가 처음으로 사회에서 젊은 축에 속하게 되었다는 것이 주요한 논거이다.

일본에서도 2008년경부터 아마미 유키같은 배우의 출연작으로 어라운드 40라는 이름으로 아라포(アラフォー)라는 단어를 사용했으나 여성에 한정되었으며 비하용어로 변질되지는 않았다.

 

사어화와 의미 변화
세대화 단어가 다 그렇지만 단순하게 한 단편만을 보고 나타낸 말인 만큼 사어화가 진행되어 홍보성 인터넷 기사(예를 들면 요즘 OO 제품이 OO 세대 사이에서 유행이다. 등)를 제외하면 거의 쓰이지 않는 말이 되었다. 일부 홍보성 기사에서는 아예 35~45세가 영포티라고 주장했다.

X세대론이 처음 등장한 것과 마찬가지로 이 단어는 마케팅계에서 X세대가 경제적 여유가 생기는 연령으로 진입하며 가처분 소득의 증가, 많은 인구수, 고령화와 저출생에 기반하여 이들이 주 소비층이 될거란 기대로 등장했다. 1970년대생들이 과거 1990년대에 X세대 열풍을 일으켰듯이 다시 소비트렌드를 주도할 것이란 기대가 컸다. 그러나 부동산 폭등, 코로나 팬데믹, 이후 인플레이션으로 경제적 혼란이 왔다. 1970년대 중반생들은 처음으로 남성의 평균 혼인 연령이 만 30세를 돌파하여 자녀들이 아직 어리고 그나마도 취업난으로 자녀들의 독립이 늦어지고 있기 때문에 X세대가 이런 기대에 부응하지 못했다. 그래서 이 용어는 사회적으로 그다지 수용되지 못했다. 2021년 마케팅 측면에서 재종합한 이선미의 "영 포티, X세대가 돌아온다 - 밀레니얼 세대보다 지금 그들을 주목해야 하는 이유"#라는 책이 출간되어 업계에서는 영포티 마케팅을 하고 이선미는 각종 TV 프로그램 유튜브 채널에 출연을 하며 잠깐 주목을 받긴 했으나 큰 호응을 얻지 못했다. 그러자 이들이 10대 자녀를 두고 있는데 주목하여 X세대와 그 자녀들인 10대가 일상을 공유하며 소비와 문화를 주도할 것이라면서 엑스틴이란 새로운 포장지를 입히고 있다.

대표적인 특성으로 꼽히던 내집마련에 연연하지 않는다는 말도 2010년대 후반 급격한 집값 상승 등으로 옛말이 된 지 오래다. 결혼 적령기인 에코세대들은 내 집 마련에 신경을 쓰는데# 이는 영포티와 구분되는 특징이라면서 세대를 구분했으나 이런 것도 무의미해진 지 오래다. 현재의 행복을 가장 중요한 가치로 여긴다는 것도 당연함에 가까운 별로 의미있는 사실도 아니며 뉴스에서도 MZ세대의 특징이라고 옮겨 갔다. 

영포티는 원래 마케팅을 위해 만들어진 단어인 만큼 현실과는 거리가 있다.

 

 

비하용어화
이렇듯 마케팅 단어였던 '영포티'는 2020년대 들어 40대 개새끼론과 결합되어 정서적 차이가 큰데도 젊게 살고 싶어 하는 것에 대한 반발 심리 및 40대들이 자발적으로 만들어낸 단어라는 오해로 인하여 '피터팬 콤플렉스'와 비슷하게 인터넷에서 "청년들의 유행을 잘 이해한다고 착각하는 철없는 중년"을 조롱하는 반어법적 멸칭으로 사용되고는 하였다. 특히 4050대 남성에 대한 적대감이 높은 사이트(주로 보수 성향의 20대 남성이 하는 남초 커뮤니티)에서는 특정 취미, 특정 패션, 마블 코믹스 굿즈나 생활 용품, 골프, 기아 카니발 등 일반화된 이미지가 정립되어 글쓴이가 카니발을 타고 다니거나 마블 관련 굿즈를 모은다고 하면 영포티냐고 묻기도 한다.  

2020년대 이후 점점 심화되어가는 세대 간 혐오에 따라 여기서 또 확장되어 세대 전체를 싸잡아서 조롱하는 표현으로도 자주 쓰이고 있다. 이 경우 영포티란 "철없는 중년"에 한정한 멸칭이 아니라 현 대한민국의 40대 전체에 대한 멸칭, 나아가서 기성세대 전체에 대한 멸칭이 된다. 현 40대·50대는 전 세대 중에 좌파 성향이 가장 강하기 때문에 우파 성향이 강한 20대 남성에겐 정치적으로 맞지 않는 세대라는 점과 사회 전반의 세대 갈등 증폭, 청년층의 부모 세대라는 점이 확산 원인이라고 볼 수 있다. 20대는 대한민국에서 가장 젠더갈등이 강한 세대인데 젊은 남성층은 여성에게 관대한 사회의 부조리가 영포티 세대에게 책임이 있다고 느끼고 있다. 

MZ세대 단어와 마찬가지로 영포티는 대체로 청년층이 60대에 들어선 86세대보다 아래인 기성세대를 구별하여 일반화하는 시선만을 반영하는 쪽으로 오용 및 남용되는 경향을 보인다. 특히 남초 커뮤니티에서는 퐁퐁남과 합쳐 영퐁티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은데 이에 더해 본인이 속한 세대가 이해할 수 없거나 비판하고 싶은 것에 ~퐁티를 덧붙여서 이해하는 척 비웃거나 비꼬는 추세다. MZ처럼 사건 사고의 수식어로서 이 마케팅 용어를 붙임으로서 지나치게 마케팅 대상에 투사하여 세대만의 특성인 것처럼 비판하는 현상이 발생하기도 한다.

MZ세대 단어와 마찬가지로 근본적으로 이런 세대의 분류의 문제점은 외집단 동질성 편향(Outgroup homogenity bias)에 있다. 기성세대가 본인들을 586~686세대라고 칭해지기를 싫어하고 MZ세대에 속하는 젊은 세대가 자신을 MZ세대라 불리기를 꺼리는 것처럼 세대 분류법은 해당 세대의 인원보다는 그밖의 세대에 의해 정의된 것이라서 외집단 동질성 편향에 빠지기 쉽다. 게다가 여러 차례 상술했듯 영포티라는 단어는 매체에서 인위적으로 정의한 억지 밈이라 근본적으로 비하 용어화에 취약했다. 그래서 실생활에서 청년층은 기성세대를 있어보이게 부르는 척 하는 거라며 냉소적으로 보고 40대 입장에서도 '싸잡아서 까기 위해 억지로 만든 단어 아니냐?'며 이러한 용어에 반감을 가지기 대문에 일상생활에서 잘 쓰지 않게 되었다. 게다가 1970년대 초반생은 50대이다. 

정치적 맥락에서는 진보대학생과 비슷한 의미로 민주당계 정당을 지지하는 4050대 유권자를 조롱하는 용어로 쓰인다.

 


영포티라는 단어를 만든 김용섭에 따르면 1990년대 초반 자유와 개성을 중시하며 소비문화의 세례를 처음으로 받은 X세대가 40대가 되면서 “첫 번째 개인주인자들로서 영포티는 더 늦게까지 자기 자신의 꿈을 갖고 있는 세대”라며 “기성세대의 관성으로부터 자유로운 사람들”로 정리하면서 기존의 기성세대와 차별화된다고 한다.# 즉, 한국에서 처음 등장한 개인주의적 기성세대란 말인데 이에 대해서는 찬반이 갈린다. 특히 X세대에 반발이 큰 2020년대 2030들은 이들을 꼰대라 보기에 개인주의적이라고 보지 않고 기존 기성세대와 별반 다르지 않다고 생각하지만## 이들보다 윗세대인 김난도를 비롯한 86세대들은 유달리 개인주의적 기성세대의 탄생이라는 점을 강조한다.  
영포티라는 단어가 만들어진지 10년이 지난 2024년경부터 영포티였던 X세대의 주축 1970년대 초반생들이 50대로 진입하자 김난도를 비롯한 트랜드 분석가들에 의해 "영피프티"가 등장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