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스 국어/문학, 비문학-독해

시의 어조, 시의 분류

Jobs9 2024. 9. 28. 17:55
반응형

 시의 어조

  • 시적 대상이나 독자에 대한 시적 화자의 태도, 또는 목소리를 말한다.
  • 어조는 시적 분위기나 정서와 관련이 있으며, 선택되는 시어와 서술어의 어미에서 잘 드러난다.
  • 시의 어조는 대체로 한 작품에서 일관되게 나타나지만 중간에 어조가 달라지는 경우도 있다. 주로 시적 화자의 정서에 변화가 생길 때 어조의 변화가 나타난다. 이를테면 기대감이 실망감으로 바뀐다든지, 체념적 정서가 의지적 정서로 바뀔 때 정서의 변화가 어조에 반영된다.

 

1. 개념

  • 어조란 시적 화자의 목소리로, 대상을 대하는 시적 화자의 태도나 분위기와 관련된다.

 

2. 유형

독백적 자신의 내면세계를 고백하듯이 혼자 말하는 태도
관조적 대상을 관찰하면서 자신의 마음을 비춰 보는 태도
풍자적 대상이 지니고 있는 문제점을 꼬집어 비판하는 태도
해학적 대상을 희화화하여 익살스럽게 바라보는 태도
냉소적 차갑게 비웃으면서 업신여기는 태도

 

● 시의 갈래

1. 내용상 분류

▶ 서정시(抒情詩) : 개인적인 정서를 압축하여 표현하는 형식이다.

▶ 서사시(敍事詩) : 민족적인 사건이나 신화, 전설, 민담 등을 소재로 하여 줄거리를 가진 이야기를 길게 서술한 시를 말한다. 김동환의 '국경의 밤'이 이에 해당한다.

▶ 극시(劇詩) : 극의 중심이 되는 등장인물의 대사를 시적인 형식으로 구성한 것을 말한다. 고대 그리스의 극에서 셰익스피어의 연극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창작되었다.

 

2. 형식상 분류

▶ 정형시

  • 운율을 형성하는 요소가 일정한 규칙성을 지니고 있는 시를 가리킨다. 시조(時調)가 이에 해당한다.
  • 일정한 운율에 의해 쓰인 시. 좁은 의미로는 향가, 시조, 유럽의 소네트(sonnet)처럼 운율뿐만 아니라 작품 전체의 길이·구조 등도 일정한 틀로 정해진 시를 가리킨다.
  • 넓은 의미로는 전체의 형태·구조가 일정하지 않아도 규칙적인 운율을 가진 것이면 정형시라고 부른다.

▶ 자유시

  • 정형적인 운율을 벗어나 내재율을 지니고 있는 시를 가리킨다.
  • 서양에서는 19세기 말에 상징주의자들이 자유시를 주창하였으며, 이후 현대 시의 형식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 우리나라의 경우 최남선이 신체시(新體詩)를 창작하여 정형시에서 벗어나려는 시도를 하였으며, 1910년대 후반 김억, 황석우, 주요한 등이 본격적으로 자유시를 창작하였다.

▶ 산문시 :산문처럼 행을 구분하지 않고 줄글로 붙여서 쓴 시를 가리킨다.

 

3. 목적상 분류

▶ 순수시

  • 예술성을 중시하는 시로, 개인적 정서를 주로 드러낸다.
  • 좁은 뜻으로는 프랑스의 상징주의자들이 말한 '의미가 완전히 배제된 채 순수한 소리의 음악적·암시적 효과만 있는 시'를 가리킨다. 그러나 다른 예술과 달리 시는 말을 통해서 이루어지고, 말은 의미를 완전히 버릴 수 없는 것이므로 이들이 말하는 순수시는 이상에 그칠 뿐이다.
  • 넓은 뜻의 순수시는 '일체의 사회적·현실적 관심을 버리고 오직 아름다운 세계만을 추구하는 시'를 말한다.

▶ 목적시: 역사와 현실적 문제를 다루는 시로, 시를 목적 전달의 수단으로 삼는다.

 

4. 태도상 분류

▶ 주정시(主情詩): 인간적인 감정이나 정서를 중심으로 전개되는 시를 가리킨다.

▶ 주의시(主意詩) : 강렬한 주관적 의지와 정신세계 표현에 중점을 두고 전개되는 시를 가리킨다.

▶ 주지시(主知詩): 인간의 감정보다는 지적인 측면을 중시하여 관념, 의식 등을 드러내며 전개되는 시를 가리킨다.

 


잡스9급
 PDF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유튜브 강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