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인(送人)
정지상(鄭知常)
雨歇長堤草色多(우헐장제초색다)
送君南浦動悲歌(송군남포동비가)
大同江水何時盡(대동강수하시진)
別淚年年添綠波(별루년년첨록파)
비 개인 긴 언덕에는 풀빛이 푸른데,
그대를 남포에서 보내며 슬픈 노래 부르네
대동강 물은 그 언제 다할 것인가,
이별의 눈물 해마다 푸른 물결에 더하는 것을.
<파한집(破閑集)>
* 送人(송인) : 사람을 떠나 보냄
* 雨歇(우헐) : 비가 그치다
* 長堤(장제) : 긴 언덕, 둑
* 草色多(초색다) : 풀빛이 짙다. ‘풀빛이 선명함’의 뜻으로 여기서 ‘多’는 ‘짙다, 푸르다, 선명하다’로 풀이됨
* 送君(송군) : 친구를 보냄
* 南浦(남포) : 대동강 하구에 진남포. 이별의 장소
* 動悲歌(동비가) : 슬픈 이별의 노래가 울리다
* 何時盡(하시진) : 어느 때 다하리(마르리)
* 別淚(별루) : 이별의 눈물
* 添綠波(첨록파) : 푸른 물결에 보태다
핵심정리
* 갈래: 한시. 7언 절구
* 성격: 서정적, 송별시(送別詩, 이별을 노래한 걸작)
* 형식: 7언 절구(압운자 : 다.多, 가.歌, 파.波)
* 표현기교: 대조법(제1구와 제2구), 도치법, 과장법
* 주제: 이별의 슬픔
* 의의: 별리(別離)를 주제로 한 한시의 걸작이며, 당나라의 왕유(王維)의 시 ‘송원이사안서(宋元二使安西)’와 함께 이별시의 압권(壓卷)이라 칭송한다.
감상
* 제1구: 비온 뒤 정경(희망, 밝음):비 갠 다음 소생하는 봄날의 싱그러움은 오히려 이별의 정한을 대조적으로 애절하게 한다. ‘草色多’는 시각적 표현의 한계를 벗어나 이별의 슬픔을 전신적 감각으로 확대시킨 기교이다.
* 제2구: 이별 (슬픔, 어둠):임을 보내는 애절한 정한으로서 기구의 시상을 이어 받았다. 이별도 슬프지만, 풀빛이 푸르게 소생하는 봄날의 언덕에서 임을 떠나 보내니 감정은 더욱 슬퍼지는데, 그 슬픈 마음에 서글픈 노래가 흘러나오지 않을 수 없다
* 제3구: 무정하기만 한 대동강: 쉼 없이 흐르는 강물은 이별의 서글픈 정을 한없이 짙게 만든다. 비 온 뒤 대동강 물은 한층 더 유유히 흐르고 있거니와, 해마다 보내고 떠나는 이들의 이별의 눈물은 쌓이고 쌓여서 강물이 마를 날이 없다.
* 제4구: 임을 보내는 깊은 슬픔: 이별은 슬픈 감정 그대로이지 그 이상의 말이 없다. 전구에서 반전하여 이별의 한을 고조시킨 뒤, 결국에서 별한(別恨)의 극치를 이루고 있다. 이별의 슬픔이 자신에게만 있는 것은 아닐 것이다. 떠나고 보내는 사람들이 흘리는 이별의 눈물이 대동강 물결에 보태진다는 뜻과 내가 임을 그리워하여 흘리는 눈물이 대동강 물에 보태진다는 뜻도 함께 담긴 중의적 표현으로, 신운(神韻)이 감도는 한(恨)의 극단을 이루고 있다.
정지상(鄭知常 ?-1135)
고려 시대의 문인. 호는 남호(南湖). 좌사간(左司諫) 등의 벼슬을 지냈고, 서경 천도와 금나라의 정벌을 주장했다. 묘청의 난이 일어나자 김부식에게 참살되었다. 시에 뛰어나 고려 시대를 대표하는 시인의 한 사람으로 꼽혔다. 저서에 <정사간집(鄭司諫集)>이 있다.
해설 1
정지상의 「송인(送人)」은 우리나라 한시 중 송별시(送別詩)의 최고작이다. 님이 떠나지 못하도록 계속 와야 할 비도 개고 말았다. 항구의 긴 둑엔 비에 씻긴 풀들이 푸르름을 더하고 있으니 이별의 애달픔이 더 고조된다. 전구(轉句)에서 시상은 전환되어 대동강물이 이별의 눈물로 마를 날이 없다고 했다. 자기의 사연을 일반화하면서 동시에 대동강의 사정을 그려 일방적인 자기 슬픔의 토로에서 벗어났다.
해설 2
이 작품은 고려 시대 한시의 대표작으로서 지금까지도 널리 애송되고 있는 이별가이다. 임을 보내는 정한이 담긴 칠언 절구의 한시로서 대동강 남쪽 나룻가의 풀빛 짙은 언덕을 배경으로 임을 떠나 보내는 애절한 마음을 자연에 대비시켰다. 특히 이 시는 강변의 푸른 언덕과 파란 강물의 아름다운 색조를 대비적으로 그려내고 있으며, 이별의 슬픔과 별리의 눈물을 강물의 비교하는 것도 인상적이다. 특히, 대조, 도치, 과장법에 이어 대동강변의 남포라는 지명은 이 시의 구체성과 함께 향토적인 정서를 환기시켜 준다. 민족의 보편적 정서를 절절하게 담은 이별시의 백미이다.
역대의 논평
1. 김만중 <서포만필(西浦漫筆)> 중
고려 정사간의 ‘남포' 절구는 곧 해동의 위성삼첩이다. 끝구의 ‘별루년년첨작파(別淚年年添作派)'를 ‘첨록파'라 하기도 하는데, 익재(이제현의 호)는 마땅히 ‘녹파(綠波)'를 좇을 것이라 했고, 사가는 ‘작(作)'자가 낫다고 했다. 생각건대 심휴문의 <별부>에 이르기를 '春草碧色 春水綠波 送君南浦 像如之何''라 했으니, 정사간의 시가 바로 심휴문의 말을 썼으므로 ‘녹파'로 바꿀 수가 없다.
2. 허균 <성수시화>
정사간 지상의 ‘서경시(西京詩)'는 지금토록 절창이다. 누선(樓船)의 제영(題詠)들은 조사(詔使)가 올 때마다 철거하고 이 시만을 남겨둔다.
3. 이인로 <파한집>
서도는 고구려의 서울이었다. 산을 끼고 강을 둘러 기상이 수이하여 예로부터 기인(奇人)이 많이 났다. 예왕 때에 정성을 가진 이름모를 준재가 있었는데, 소년 때에 ‘송인'을 지었다. ····· 그말이 표일(飄逸: 뛰어나게 훌륭함)하고 속세를 벗어난 것이 다 이와 비슷하다.
잡스9급 PDF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