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

소방학 두문자 암기 #11

Jobs 9 2022. 11. 10. 20:25
반응형

● 건축물 화재의 진행단계(실내화재)

: 초기→ 성장기 → flash over → 최성기→ 감쇠기

화재의 진행 상황

※ 화재 성장의 3요소 : 점화, 화염확산, 연소속도

 

 

● 목조건축물과 내화건축물 화재성상

  목조건축물 내화건축물
화재시간 30~40분 2~3시간
최성기 온도 1100 ~ 1300 900 ~ 1100℃
화재성상 고온단기형 저온장기형
환기 >
플래시오버 현상 빠름 느림

 

 

● 목조건축물의 출화

옥내 출화  가옥구조의 천장 면에서 발염착화 천장 속, 벽 속 등에서 발염착화 불연천장ㆍ벽체는 그 뒷면에서 발염착화 
옥외 출화  외부의 벽, 지붕, 추녀 밑에서 발염착화 창, 출입구 등에서 발염착화

 

 

● 목조건축물의 화재진행과정

 

 

● 내화건축물의 화재진행과정

 

 

● 플래시오버(Flashover)- 성장기
- 가연물의 착화와 열분해 시 생성된 가연성 가스가 천장아래에 축적되고 천장아래에 축적된 연기층의 온도가 상승하고 이로 인해 바닥면의 복사수열량이 증가될때 순간적으로 방전체가 급격하게 타오르는 화재확대현상

- 실내화재 시 천장류에서 방추되는 복사열에 의해 실내에 있는 모든 가연물이 분해되어 가연성 증기를 발생하게 됨으로써 실내 전체가 순간적으로 연소가 확대된다

- 화염이 확대되는 순발적인 연소확대현상이라고도 한다 

- 공간 내 전체 가연물에서 동시에 발화하는 현상

- 일정공간 안에 가연성 가스가 축적된 상태에서 폭발적으로 실 전체가 화염에 휩싸이는 현상 

- 성장기와 최성기의 분기점에 발생한다 

- 플래시오버발생시간(F.O.T)↑ = 피난허용시간↑

- 연소확대 주요인은 연소물 내 복사열 축적이다.

※ 급격한 산소 공급은 백드래프트이다.

※ 실내 선단으로 복사열이 전달되는 것이 아닌 실내 전체에 복사열이 전달되는 것이다.


 

● 플래시오버(Flashover) 영향요소
개구율이 클수록, 개구율이 1/8일 때 발생속도가 가장 느리고 1/2~1/3일 때 가장 빠름

- 내장재의 종류 : 불연재료 < 난연재료 < 가연재료

내장재의 두께가 얇을수록 빨리 발생한다.

- 초기 가연물의 발열량이 클수록 플래시오버는 빨리 발생한다. 

- 열전도율이 작을수록

- 연소실이 작을수록, 층고가 낮을수록

- 연소속도가 빠를수록 발생 가능성이 커짐

벽보다 천장 재료가 플래시오버에 영향을 더 많이 준다.

- 화원의 크기가 작으면 플래시오버에 이르기까지의 시간이 길어진다.

- 실내 산소분압이 높을수록 연소가 용이하여 플래시오버가 쉽게 발생된다.

- 실내온도, 실내압력이 높을수록 발생 용이

- 화재하중이 클수록 실내에 가연물이 많다는 것을 나타내어 플래시오버의 가능성은 커지게 된다.

 

 

● 화재가혹도, 화재하중, 화재강도

 

 

● 화재가혹도
① 발생한 화재가 당해 건물과 그 내부의 수용재산 등을 파괴하거나 손상을 입히는 능력의 정도를 말한다. 

② 즉, 방호공간 안에서 화재의 세기를 나타낸다. 

③ 화재가혹도와 손실은 비례관계로 화재가혹도가 크면 손실은 커진다. 

④ 주요요소에는 화재강도와 화재하중이 있다.

 

 

● 화재하중(Fire Load)

- 건축물이나 구조물 등의 화재에서 화재실의 단위면적당 가연물질의 양 

- 화재 시 예상 가능한 최대 가연물질의 양 

- 단위발열량은 휘발유가 목재보다 더 크다 

- 주어진 지역내 예상 최대가연물질의 양으로서 일반적으로 건물 내에 있는 가연성구조체와 가연성물품의 양을 말하여 단위 바닥면적에 대한 등가가연물의 값을 말한다.

- 화재시 최고온도와 그 때의 지속시간은 화재의 규모를 판단하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 잠재적인 화재가혹도(Fire Severity)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서 정의한다.

Q: 화재하중(kg/㎡)

G: 가연물량(kg)

Ht: 가연물 단위 발열량(㎉/㎏)

Ho: 목재의 단위 발열량(㎉/㎏) ≒ 4500(㎉/㎏)

A : 화재실, 화재구획의 바닥면적(㎡)

Σ : 화재실, 화재구획내의 가연물 전체 발열량 (㎉)

 

 

● 화재하중 감소대책

① 건물의 불연화

㈎ 주요구조부 : 불연재료 사용(콘크리트, 석재, 벽돌, 기와, 석면, 유리 등)

㈏ 내장재 : 불연재, 난연재(벽, 천장 등)

② 가연물 제한과 수납

㈎ 가구, 집기 등은 불연재료화

㈏ 서류보관함, 금고 등 설치

- 화재하중의 주요소는 화재실내에 존재하는 가연물의 양 한가지 뿐이다. 가연물 양이 많을수록 연소 지속시간이 길고 최고온도 지속시간도 길어진다.

 

 

 

● 화재강도 주요요소

- 화재시 최고온도 → 열축적률(단위시간당 축적되는 열의 양)이 크다 → 화재 강도가 크다.

- 화재실의 열방출률이 클수록 화재강도는 증가한다 

- 화재실내 연소열이 큰 물질이 존재할수록 발열량도 커지므로 화재강도가 커진다.

공기공급이 원활할수록 소진율 및 열발생률이 커져 화재강도가 커진다. 공기의 유입은 창문 등 개구부의 크기, 개수, 위치에 좌우된다. 

- 비표면적이 크면 공기(산소)와의 접촉면적이 크게 되어 가연물의 타는 속도, 소진율이 커지므로 화재강도가 커짐.

 

 

● 건축물의 방화 및 방재 계획 시 기본사항[공대도회]
① 간적 대응 - 항성, 피성, 피성
② 설비적 대응 - 제연설비, 자탐, S/P 등

 

 

● 내화구조
① 화재 시 일정시간동안 건물의 강도ㆍ성능 유지가능 구조
② 내장재가 전소되더라도 다시 수리 사용할 수 있는 구조
③ 철근콘크리트조, 철골철근콘크리트조, 연화조, 석조
④ 화재 최성기의 화재저항을 나타낸다.


● 건축물의 주요구조부(=건물의 구조내력상 주요한 부분)[내,기.바.보.주.지]
① 내력벽
② 기둥(사이기둥 제외)
③ 바닥(최하층 바닥 제외)
④ 보(작은 보 제외)
⑤ 주계단(옥외계단 제외)
⑥ 지붕틀( 차양 제외)

반응형

 

● 내화구조의 기준

모든 벽  철근콘크리트조 또는 철골철근콘크리트조 (두께 10cm이상)
ㆍ골구-철골조(그 양면을 두께 4cm 이상의 철망모르타르 또는 5cm 이상의 콘크리트블록ㆍ벽돌ㆍ석재로 덮은 것)
ㆍ철재로 보강된 콘크리트블록조
ㆍ벽돌조ㆍ석조 (두께 5cm이상) ㆍ벽돌조(두께 19cm 이상)
ㆍ고온ㆍ고압의 증기로 양생된 콘크리트패널 또는 경량기포 콘크리트블록조(두께10cm 이상)
외벽 중
비내력벽
철근콘크리트조 또는 철골철근콘크리트조 (두께 7cm이상)
ㆍ골구-철골조(그 양면을 두께 3cm 이상의 철망모르타르 또는 4cm 이상의 콘크리트블록ㆍ벽돌ㆍ석재로 덮은 것)
ㆍ철재로 보강된 콘크리트블록조ㆍ벽돌조ㆍ석조 (두께 4cm이상)
ㆍ무근콘크리트조ㆍ콘크리트블록조ㆍ벽돌조ㆍ석조(두께 4cm이상)
지붕 ㆍ철근콘크리트조 또는 철골철근콘크리트조
ㆍ철재로 보강된 콘크리트블록조 ㆍ벽돌조ㆍ석조 ㆍ철재로 보강된 유리블록 또는 망입유리로 된 것
계단 ㆍ철근콘크리트조 또는 철골철근콘크리트조
ㆍ무근콘크리트조ㆍ콘크리트블록조ㆍ벽돌조ㆍ석조
ㆍ철재로 보강된 콘크리트블록조 ㆍ벽돌조ㆍ석조
ㆍ철골조
기둥 ㆍ철근콘크리트조 또는 철골철근콘크리트조
ㆍ철골을 두께 5cm이상의 콘크리트로 덮은 것
ㆍ철골을 두께 6cm(경량골재 5cm)이상의 철망모르타르 또는 두께 7cm 이상의 콘크리트블록ㆍ벽돌 또는 석재로 덮은 것
바닥 철근콘크리트조 또는 철골철근콘크리트조 (두께 10cm이상)
ㆍ철재로 보강된 콘크리트블록조ㆍ벽돌조ㆍ석조 (두께 5cm이상)
ㆍ철재의 양면을 두께 5cm 이상의 철망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로 덮은 것
ㆍ철근콘크리트조 또는 철골철근콘크리트조
ㆍ철골을 두께 6cm(경량골재 5cm)이상의 철망모르타르 또는 두께 5cm 이상의 콘크리트로 덮은 것
ㆍ철골조의 지붕틀(바닥으로부터 높이가 4m 이상인 것에 한함)로, 그 바로 아래에 반자가 없거나 불연재료로 된 반자가 있는 것

 

 

잡스9급 PDF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