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학

셀프 모니터링, self-monitoring

Jobs 9 2022. 7. 20. 18:03
반응형

셀프 모니터링

: 자신의 행동을 외부 상황적 요인에 적응시키는 개인의 능력

→ 셀프모니터링 능력 ↑ → 외적 상황에 적응을 잘함

 

 

 

자기 모니터링(셀프 모니터링)이란 사람과 마주하는 대인 상황에서 자신의 행하는 자기제시나 감정 표출을 스스로 주의 깊게 관찰하면서 그것을 조정하고 통제해나가는 것이다. 다른 사람과 마주한 상황에서 자기가 하고 싶은 대로 행동하거나 감정을 그대로 드러낼 수 는 없다. 상대방에 대한 배려 없이는 사회생활 자체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물론 친밀한 관계라면야 자기를 꾸밈없이 드러낼 수 있다. 하지만 사람이 항상 친한 사람만 만나면서 살아갈 수는 없다. 자기가 싫어하는 사람도 만나고 상대하기 거북한 사람도 만나야 하는 것이 바로 우리의 인간관계이다. 따라서 대개의 대인 상황에서는 상대방의 반응을 살펴가며 자기가 하고 싶은 말의 표현 수위를 조절한다든지, 감정 표현의 정도를 조정해 갈 수밖에 없다. 이러려면 상대방을 잘 관찰하여 그 뜻을 헤아려 자기의 행동을 조절해나가야 한다. 

자기 모니터링 경향이 높은 사람(high SM)은 자신이 지금하는 행동이 자기가 마주한 상황에 적절한지 여부에 항상 관심을 가진다. 따라서 그 상황에서 다른 사람이 어떻게 행동하는지를 주의 깊게 관찰한다. 그리고 그것을 지침으로 삼아 자신의 행동을 조정해간다.  high SM은 "이 상황은 내가 어떠한 인간이 되기를 요구할까", "어떻게 행동하면 그러한 인간처럼 보일까", "어떻게 하면 이 자리에 가장 잘 맞는 사람으로 비칠까" 등을 스스로에게 물어가면서 그 해답을 구한다. 그 결과 마주한 상황에서 얻은 세세한 정보를 기초로 하여 그 상황에 적절하다고 생각되는 행동을 선택해간다.

자기 모니터링 경향이 높은 사람은 상황이 변하면 행동도 거기에 맞추어 변화시킨다. 정보와 인상 관리 기술을 활용하여 자신의 미지를 주위 상황에 맞추어간다. 즉, 자신의 생각을 있는 그대로 표현하는 것이 아니라, 그 상황에 적절한 자기의 이미지를 만들어내는 데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말을 하고 행동을 한다.

 

 

잡스9급 PDF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