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스 행정학/행정학 용어

상황적응이론(狀況適應理論, contingency theory)-중범위이론, 전략적 선택이론

Jobs 9 2020. 10. 10. 08:15
반응형

상황적응이론(狀況適應理論, contingency theory)이란 개방체제로서의 조직은 상황이나 환경에 부합되도록 형성되고 관리될 때 효과적이라는 전제하에, 조직의 설계 및 관리방식에 있어서 유일 최선의 방법은 없으며, 상황적 조건에 적합할 때 효과적이라는 관점의 이론을 말한다. 따라서 상황적 조건이 조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파악하는 데 연구의 초점이 있으며, 구체적인 상황에 부합되는 조직설계 및 관리방법을 탐구한다. 1960년대부터 조직연구에 널리 보급․중시되고 있다.

 특징: 상황적응이론은 첫째,보편적 일반이론이나 원칙․법칙을 배격하며, 행정연구에 있어서 상황적 요인을 중시한다. 고전적 행정이론에서는 모든 상황에서 가장 좋은 성과를 나타낼 수 있는 일반적 관리원칙이 존재한다고 인식하였으나, 상황이론에서는 유일 최선의 조직구조의 설계 및 인간관리의 방법은 없다고 보며, 상황적 조건에 따라 그에 적합한 조직화의 방법을 탐구한다. 둘째,조직과 환경과의 관계를 중시하며, 특히 조직의 설계에 관한 결정이 주로 환경적 요인에 의존한다는 결정론(determinism)적 시각이다. 셋째, 인간관은 복잡인관의 관점이다. 인간은 고도의 변이성과 욕구의 다양성을 지닌 복잡한 존재이므로 상황에 부합되는 관리가 요구된다는 것이다. 넷째, 상황적응이론은중범위이론(middle range theory)을 지향한다. 즉 특정 상황이나 환경에 부합되는 조직의 유형은 무엇인가 또는 특정의 상황적 조건에 맞는 조직군은 무엇인가 등을 탐구한다. 즉 일반체제이론의 거시적 관점을 실용화하기 위하여 고찰변수를 한정하고 상황적 조건들의 유형론을 발전시켜 ‘제한된 범위 내에서의 일반성과 규칙성’을 발견하는 데 중점을 두는 중범위이론을 지향한다. 대체로, 상황적응이론에 의하면, 안정된 상황, 목표,수단이 획일적인 상황, 일상적 업무, 정형적 의사결정의 상황에서는 폐쇄적,기계적,정태적인 관료제조직이 적합하다. 이에 비하여 불안정적인 상황, 목표가 다양하고 기술이 복잡하며, 쇄신성,창의성이 요구되는 업무, 비정형적 의사결정의 상황에서는 개방적,유기적,동태적 조직이 적합하다고 본다.

 

주요이론
1) Joan Woodward의 이론: 우드워드는 상황적응이론을 처음 주창한 여류학자이다. 그녀는 영국의 기업을 대상으로 생산기술유형과 조직구조특성간의 직접적인 관계를 비교,연구하였다. 그 결과 단위소량생산체계에서 대량생산체계, 연속공정체계로 기술적 복잡성이 높아질수록 일련의 조직구조적인 특성인 조직 내의 계층수, 경영자의 관리의 폭, 비감독자에 대한 관리, 감독자의 비율, 관리업무부문의 규모, 직접노동자에 대한 간접노동자의 비율 등이 증가함을 발견하였다. 또한 대량생산체계는 공식적인 절차나 규칙에 의한 관리, 문서에 의한 의사소통이 주를 이루는 반면, 단위소량생산체계나 연속공정체계는 생산통제를 숙련노동자의 노하우에 의존하거나 생산공정 자체가 자동적으로 통제되며, 이에 따라 공식적인 절차보다는 구두에 의한 의사소통이나 유기적인 관리체계를 보유한다고 설명하고 있다. 즉 조직의 성공도는 기술과 그에 적합한 구조유형의 부합도에 의존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는데, 예컨대, 고전적 조직원리에 따른 구조는 대량생산체제와 결합될 때 효과적이었다.

2) Paul Lawrence와 Jay Lorsch의 이론: 로렌스와 로쉬는 조직구조와 외부환경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밝혀냄으로써 개방체제적 조직이론의 형성에 지대한 공헌을 하였고, 상황적응적시각을 조직이론에 확고히 정착시켰다. 이들의 연구에 의하면 외부환경의 불확실성의 정도가 조직분화의 정도를 결정짓는다고 한다. 즉 어떤 조직의 외부환경이 불확실할수록 그 조직은 환경에 적응하기 위하여 더 높은 정도의 분화를 필요로 한다는 것이다. 문제는 조직의 분화가 심화되면 될수록 그만큼 하부조직 또는 하부시스템간의 의사소통이나 의견조정이 곤란해진다는 것이다. 따라서 조직환경이 불확실할수록 조직은 심한 분화를 경험하게 되고 그만큼 강력한 통합의 필요성이 요청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조직환경과 조직의 분화․통합기능 사이에 적합한 관계가 유지되어야만 조직의 성과를 높일 수 있다는 것이다.

3) T.Burns와 G. Stalker의 이론: 번즈와 스터커의 연구에 의하면, 환경의 안정성이 높으면, 그 환경에 속해 있는 조직구조는 공식화가 높은 기계적인 구조를 갖게 되는 반면, 환경의 안정성이 낮은 경우, 조직은 공식화가 낮은 유기적 조직구조가 효과적이라는 것을 발견하였다.
 
공헌과 한계: 상황적응이론의 장점은 첫째는상황에 적합한 조직 설계에 유용한 지식을 제공하고 특정 상황 아래에서 조직을 진단․관리하는 데에 적절한 정보를 제공한다는 것이다. 둘째는 조직의 효과적인 관리전략을 제공하고 상황에 부합되는 효과적이며 적절한 리더십 유형을 결정하며, 실정에 부합되는 기획․통제, 조직의 개혁을 위한 적절한 수단을 결정하는 데 유용하다는 것이다. 예컨대 리더쉽 연구에 있어서도 보편적인 최선의 리더쉽 스타일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보고, 상황적으로 파악하게 되는데, 리더쉽 행사의 요건은 시간, 장소, 집단의 성격 등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이다. 다만 몇 가지 약점도 있다. 첫째, 상황적응이론은 개념적 명료성과 원칙이 결여되어 있다. 즉 상황적 조건에 따라 조직에 적용하여야 할 지침이나 원리가 수시로 변동한다고 전제하므로 일관성이 없고 실질적 내용이 부족하다. 둘째, 행정조직에 적용의 한계가 있다. 왜냐하면 행정조직은 법적 제약 및 행정의 신뢰성 등이 요구되기 때문에, 상황변동에 따른 조직의 융통성 있는 대응에 한계가 있다. 셋째, 조직의 안정성이 무시될 수 있다. 즉 상황에 부합되는 관리활동 및 개혁을 하게 되면 자연히 조직의 안정성이나 기본목표가 경시되고, 임시방편적인 근시안적 결과를 낳을 수 있다. 상황적응이론에 대한 대표적인 비판이론은 전략적선택이론이다. 즉 전략적선택이론에서는 상황이나 환경을 주어진 조건이 아니라 임의적인 것으로 보며, 상황이란 인간이 구성하고 창조할 수 있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즉 조직을 움직여 나가는 운용주체로서의 인간의 자율성 및 적극적인 환경관리를 강조한다. 즉 전략적선택이론은 상황적응이론이 행정의 역할이나 인간의 자율성을 무시하는 이론이라고 비판하면서, 행정이나 인간을 환경에 대한 종속변수가 아닌 독립변수로 본다. 행정을 환경결정론적으로 이해한다면 행정은 수동적이고 환경에 의존적이 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이러한 비판적인 인식을 토대로 전략적 선택이론에서는 행정이나 인간의 역할을 강조하며, 행정을 통한 환경 내지 상황의 변화가 가능하다고 본다. 그러므로 관리자는 환경변화를 위한 의도를 가지고 주도적으로 조직을 설계할 수 있고,  관리자가 선택한 전략에 따라 조직구조가 결정될 수도 있다고 본다.




공무원 두문자 암기

스마트폰 공무원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