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구려 굴식돌방무덤
▪강서대묘(도교, 사신도)
▪무용총(집안, 무용도)
▪쌍영총(서역 영향. 기마도)
▪각저총(씨름, 별자리)
● 백제 고분
한성 시대 | 웅진 시대 | 사비 시대 |
▪(계단식)돌무지무덤 ▪서울 석촌동. 부여 계통 |
▪벽돌무덤(남조 영향) ▪무령왕릉. 벽화 없음. ▪송산리 6호분. 사신도. 일월도 ▪굴식돌방무덤(고구려 영향) ▪공주 송산리 고분군1~5 |
▪굴식돌방무덤 ▪부여 능산리 고분군 ▪연화문, 비운문, 사신도. 상자식 |
● 신라 고분 - 초기
▪돌무지덧널무덤.
▪벽화 없음. 여러 부장품
▪도굴 어려움
▪천마총-천마도(마구 그림), 금관
▪호우총-호우명 그릇(광개토왕의 제례품)
▪황남대총-금관
● 신라 후기(통일 이후) : 굴식돌방무덤
불교발달로 화장, 작고 세련, 둘레 돌, 12지신상
김유신 묘 - 굴식돌방무덤
● 삼국의 고분 특징
▪삼국은 모두 굴식돌방무덤을 축조
▪서울 석촌동 고분은 고구려의 유이민이 백제를 건국한 사실을 입증
▪신라는 돌무지덧널무덤에서 굴식돌방무덤으로 변하였다.
▪12지 신상은 통일신라시대에 시작되어 고려와 조선의 왕릉에 계승 (굴식 돌방무덤)
▪벽돌무덤 "벽무효송" 무령왕릉, 정효공주묘, 송산리6호분
▪신라의 무덤에서는 껴묻거리가 발견될 가능성이 많음.(돌무지덧널무덤)
Q 다음은 어느 유적의 사진과 내부 구조도이다. 이 유적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① 널방 벽에서 사신도(四神圖)가 발견되었다.
② 묘지석이 발굴되어 무덤 주인공이 밝혀졌다.
③ 화강암을 다듬어 쌓은 계단식 돌무지무덤이다.
④ 광개토 대왕 제사 때 쓰인 호우명 그릇이 출토되었다.
【해설】 정답 ③
계단식 돌무지무덤의 모습. 돌을 정밀하게 쌓아 올린 돌무지무덤은 만주의 지안 일대에 1만 2,000여 기가 모여 있다. 화강암을 계단식으로 7층까지 쌓아 올린 장군총은 피라미드의 모습을 하고 있어 동방의 피라미드라 불리기도 한다.
[오답]
①은 굴식돌방무덤, ②는 벽돌무덤(무령왕릉), ④는 돌무지덧널무덤(신라 호우총)
Q 신라의 돌무지덧널무덤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돌로 방을 만들고 외부와 연결되는 통로를 설치하였다.
② 황남대총, 장군총, 천마총 등의 사례가 있다.
③ 무덤 안에 벽돌로 널방을 만들고 그 안에 돌로 덧널을 설치하였다.
④ 무덤 안에서 많은 부장품이 출토되었는데 서봉총 등의 사례가 있다.
【해설】 정답 ④
① 굴식돌방무덤에 대한 설명이다.
② 황남대총과 천마총은 신라의 돌무지덧널무덤이고, 장군총은 고구려의 돌무지무덤이다.
③ 돌무지덧널무덤은 무덤 안에 덧널을 설치하여 관과 부장품을 넣고 덧널 위에 댓돌을 쌓아올린 후, 흙을 덮은 무덤 양식이다.
Q (가)∼(다)는 백제의 수도들이다. (나)를 수도로 삼았던 시기의 문화재로 가장 적절한 것은?
【해설】 정답 ②
(나)는 웅진(공주)으로 문주왕 때 천도한 곳이다. 문진공주
② 무령왕릉은 중국 남조의 영향을 받은 벽돌무덤으로 웅진(공주) 시대에 건립하였다. 무웅담양공주송 벽돌남
① 돌무지무덤은 한성시대 석촌동에 있는 고분으로 고구려 초기 고분과 유사하여 고구려 유이민에 의해 백제 건국을 보여주는 유적이다.
③ 미륵사지 석탑은 무왕 때 익산에 건립한 최고(最古)의 석탑이다. 무서미왕관
④ 정림사지 5층 석탑은 (다)시기 사비(부여) 시대에 제작한 백제 대표적인 석탑이다.
백제천도 웅진천도(475) 문주왕 : 공주 (문중) 땅값이 (싸지요)
사비천도(538) 성왕 : 부여(성) 》(오-쌈빡)해-
Q 다음에 설명한 무덤 양식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돌로 방을 만들고 그것을 통로로 연결한 무덤으로 그 위에 흙으로 덮어 봉분을 만들었다. 일반적으로 앞방과 널방으로 구분하고 벽에 그림을 그려 넣기도 하였다. |
① 쌍영총 ② 무용총 ③ 각저총 ④ 장군총
【해설】 정답 ④
자료의 무덤 양식은 굴식돌방무덤이다. 고구려는 전기의 돌무지무덤 양식에서 후기는 굴식돌방무덤 양식으로 변화했다.
고구려 굴식돌방무덤
▪강서대묘(도교, 사신도)
▪무용총(집안, 무용도)
▪쌍영총(서역 영향. 기마도)
▪각저총(씨름, 별자리)
④ 장군총은 돌무지무덤이다.
Q 다음 자료에 나타난 통일신라시대의 신분층과 연관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그들의) 집에는 녹(祿)이 끊이지 않았다. 노동(奴僮)이 3천 명이며, 비슷한 수의 갑병(甲兵)이 있다. 소, 말, 돼지는 바다 가운데 섬에서 기르다가 필요할 때 활로 쏘아 잡아먹는다. 곡식을 남에게 빌려 주어 늘리는데, 기간 안에 갚지 못하면 노비로 삼아 부린다. 『신당서』 |
① 관등 승진의 상한은 아찬까지였다.
② 도당 유학생의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③ 돌무지덧널무덤을 묘제로 사용하였다.
④ 식읍・전장 등을 경제적 기반으로 하였다.
【해설】 정답 ④
진골 귀족
① 진골 귀족의( X → 6두품) 관등 승진의 상한은 아찬까지였다.
② 진골 귀족은( X → 6두품) 도당 유학생의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③ 통일 이후 진골 귀족은 돌무지덧널무덤을( X → 화장, 소규모 굴식돌방무덤) 묘제로 사용하였다.
신라 후기(통일 이후) : 굴식돌방무덤
불교발달로 화장, 작고 세련, 둘레 돌, 12지신상
PDF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 유튜브 강의
- 공무원 국어 PDF 다운로드
- 공무원 영어 PDF 다운로드
- 공무원 한국사 PDF 다운로드
- 공무원 행정학 PDF 다운로드
- 공무원 행정법 PDF 다운로드
- 헌법, 형법, 형소법, 경찰학 PDF 다운로드
- 소방관계법규, 소방학개론 PDF 다운로드
- 경영학, 경제학, 회계학 PDF 다운로드
- 교육학개론 PDF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