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스 한국사/현대

산업화와 사회· 문화의 변화

Jobs 9 2023. 3. 24. 09:41
반응형

 Q  시대별 교육문화의 변화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미군정기 : 미국식 민주주의 교육과 6-3-3 학제가 도입되었다.  
② 1950년대 : 경제적 어려움 속에서도 초등학교 의무교육제가 시행되었다.  
③ 1960년대 : 입시과열을 막기 위해 중학교 무시험 추첨제가 도입되었다.  
④ 1970년대 : 국가주의 이념을 강조한 국민교육헌장이 제정되었다.  

【해설】 정답 ④ 
④ 국민교육헌장은 1968년에 제정되었다.  국민교육팔 68 
[오답체크]  
② 초등학교 의무교육제가 시행된 시기는 1950년대이다. 원래 1950년에 시행하려 했으나 6・25전쟁의 발발로 약간 늦어지게 되었다. 
③ 중학교 무시험 추첨제가 도입된 것은 1968년이다. 

 

 

 

 

● 도시와 농촌 문제

 

1. 산업화와 도시화

  • 1차 산업의 비중 감소, 공업과 서비스업 증가 → 주택, 교통, 공해, 빈곤, 실업, 도시 빈민 문제(광주 대단지 사건)

 

2. 농촌 문제

  • 공업화와 저곡가 정책으로 도시와 농촌의 소득 격차 심화 → 이촌향도 →농촌인구 감소와 고령화

 

3. 새마을 운동(1970년대)

  • 근면·자조·협동을 바탕으로 농촌 환경 개선에 중점을 둔 정부 주도 운동 → 농가 소득 증대 및 농어촌 근대화에 기여, 유신 체제 합리화에 이용되기도 함

 

4. 농민 운동

  • 가톨릭 농민회 결성(1972, 함평 고구마 피해 보상 운동 전개), 1980년대 이후 농산물 시장 개방 압력에 저항

 

산업 구조의 변화 결과

 

 

  • 고도의 경제 성장과 급속한 산업화로 도시화가 빠르게 진행되어 감에 따라 농촌 인구가 급격히 감소하였다. 이촌향도한 젊은이들은 도시에서 가난한 노동자 계층을 형성하게 되었다. 이와 더불어 도시와 농촌 간의 소득 격차는 크게 벌어졌으며, 농촌 인구의 고령화가 심각한 사회 문제로 대두하였음

 

  • 고도성장은 가난에서 벗어나려는 노동자들의 피땀어린 노력의 결과였다. 경제 성장과 함께 명목 임금 지수는 많이 늘어났지만, 실질 임금 지수는 소비자 물가 지수보다 절반 정도만 증가하였음

 

 

 노동 운동과 시민운동

1. 노동 운동

  • 산업화로 인한 노동자 급증 → 저임금·장시간 노동·열악한 노동 환경
1970년대 전태일 분신(1970) 이후 본격적으로 노동 운동 전개, YH 무역 사건(1979)
6월 민주 항쟁 이후 7, 8월 노동자 대투쟁(1987), 대규모 노동 운동 전개 → 민주노총 결성(1995)
외환 위기 이후 노사정 위원회 조직(1998), 비정규직 급증

 

1960~1970년대 노동 현실과 전태일의 분신 원인

존경하는 대통령 각하! …… 저는 서울특별시 쌍문동 208번지 2통 5반에 거주하는 22살의 청년입니다. …… 그러나 저희는 근로 기준법의 혜택을 조금도 못 받으며, 더구나 2만여 명을 넘는 종업원의 90% 이상이 평균 나이 18세의여성입니다. …… 또한, 2만여 명 중 40%를 차지하는 보조공들은 평균 나이 15세의 어린이들입니다. 이들은 전부가 다 영세민들의 자제이며, 굶주림과 어려운 현실을 이기려고 하루에 90원 또는 100원의 급료를 받으며 1일 15시간씩 작업을 합니다. …… 저희의 요구는 1일 15시간의 작업 시간을 10~12시간으로 단축해 주십시오. 1개월 휴일 2일을 늘려서 일요일마다 쉬기를 원합니다. 건강 진단을 정확하게 하여 주십시오. 보조공의 수당을 50% 인상하십시오. 절대 무리한 요구가 아님을 맹세합니다. 인간으로서의 최소한의 요구입니다.전태일, 평화 시장 피복 제품상 종업원 근로 개선 진정서(1970)

→기본적 생존권조차 보장되지 않았던 1960~1970년대 대한민국의 노동 현실이 적나라하게 드러난 글이다. 서울 평화 시장 재단사였던 전태일은 결국 "근로 기준법을 준수하라!", "우리는 기계가 아니다!"라는 구호를 외치며 분신하였다. 이에 큰 자극을 받은 지식인과 학생들이 노동 문제에 관심을 가지면서 노동 운동이 본격적으로 일어났음

 

2. 시민운동

  • 민주화의 진전, 중산층의 성장, 세계화, 지방 자치제의 확산 → 경실련, 참여연대, 환경 운동 연합, 녹색 연합 등 수천 개의 시민 단체가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

 

3. 사회 보장 제도의 발전

  • 의료 보험법(1977) → 도시 자영업자까지 확대(1989) → 국민 건강 보험으로 통합(2000), 국민 연금 제도(1988), 고용 보험 제도(1995), 사회 보장 기본법(1995), 기초 생활 보장법(1999)

 

4. 여성의 지위 향상

  • 남녀 고용 평등법과 남녀 차별 금지법 제정, 여성부 출범, 호주제 폐지

 

 

 교육

1. 교육열

  • 교육 기회의 확대 및 양적·질적 팽창, 교육에 대한 열기 고조(지나친 교육열, 과외 열풍) → 입시 경쟁 과열(무즙 파동, 1964) → 중학교 무시험 제도(1969년 서울부터 단계적 시행), 고교 평준화 실시(1970년대), 과외 전면 금지, 본고사 폐지(1980년대) → 과외 금지 해제

 

2. 군사 교육과 반공 교육

  • 5·16 군사 정변 이후 강화, 국민 교육 헌장, 국적 있는 교육 강조, 학도 호국단 부활
반응형

 

 언론과 문화

1960년대 정부의 언론 규제, 반공 이데올로기 홍보에 이용, TBC∙MBC 방송사 설립, 라디오가 주요 매체, 영화( '오발탄' ∙ '미워도 다시 한번' 등), 문학계(신동엽∙김수영의 시, 최인훈의 "광장" 등)
1970년대 동아일보 기자들의 언론 자유 수호 운동, 텔레비전의 보급, 텔레비전 드라마 때문에 영화 다소 위축, 통기타와 청바지의 청년 문화, 포크송 유행, 일부 가요의 금지곡 지정, 문학계(김지하의 '오적', 조세희의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 최인호 등)
1980년대 신군부에 비판적 언론인 해직, 언론 통폐합, 6월 민주 항쟁 이후 언론의 자유 확대, 정부의 통제와 외국 영화로 영화 산업 침체, 민중 미술의 발달
1990년대 언론∙방송 매체를 통한 대중문화의 확산, 영화 산업 발달, 10대 청소년이 가요 시장의 중심 장악, 2000년대 이후 음악 파일의 불법 유통으로 음반 시장 위축, 한류 열풍

 

 


잡스9급
 PDF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유튜브 강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