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생 - 사체의 분해작용
기생 - 생체의 분해작용
부생식물
saprophyte
腐生植物
동ㆍ식물의 죽은 사체나 배설물 또는 이들이 분해되어 생긴 유기물을 양분으로 하여 살아가는 식물을 말한다. 죽은 식물에 의지하여 살므로 사물기생식물이라고도 한다. 독립적으로 양분을 조달하지 못하는 종속영양식물로써 엽록소가 없어 광합성을 하지 못한다. 부생식물은 고사체 중의 유기물을 이용하여 무기물화하므로 부생식물은 자연계에서 생물공동체의 물질순환상 분해자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고등식물 중에서는 초종용, 개종용, 수정란풀, 구상난풀, 무엽란 등이 있다.
기생식물
parasitic plant
寄生植物
기생생활을 영위하는 식물의 총칭으로 특히 기생생활에 적응된 특별한 분화를 보이는 유관속 식물이다. 예: 새삼, 겨우살이, 더부살이 등.
기생식물
기생식물과 부생식물은 엽록체가 없기때문에 자기스스로 광합성을 하여 유기물을 만들지 못한다
광합성이란
이산화탄소와 물 이두가지 (무기물)을 가지고빛을 만나 탄수화물 (유기물)과 산소를 생성하는데
이과정을 광합성이라 한다.
기생식물은 뿌리를 이용하여 다른 숙주식물의 관다발에서 양분을 흡수
특히 기생식물은 숙주보다 크게 자라 빛을 차단해 숙주를 죽이는 경우가 있으며.
다른식물이 완전한 뿌리를 만드는데 에너지를 많이 쓰는 반면
기생식물은 기생뿌리를 만들어 식물에 기생하는것이 에너지 효율면에서 훨씬 이점이 있다
기생식물 종류
새삼. 실새삼. 초종용. 개종용. 백양더부살이. 야고. 겨우살이(반기생식물: 광합성)
부생식물
기생식물과 마찬가지로 엽록체가 없기 때문에 스스로 유기물을 만들지 못하며.
다른 생물의 유기물을 양분으로 생활하는 식물
죽어있든, 살아있든 숙주에 붙어사는 식물로써 숙주없이는 살지 못하는 식물이며
죽은 동물사체나 곤충사체에서 양분을 흡수하며 광합성을 하지 않는 식물
또한 동물 사체에 기생한다해서 사물 기생 식물
부생식물은 물질순환상 분해자로써의 중요한 역활
일반적으로 부생식물은 뿌리가 빈약하며 땅속 줄기가 없기 때문에 뽑으면 그대로 살짝 뽑힌다.
부생식물 종류
수정란풀. 구상난풀. 애기천마. 애기 석장.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