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르디외(P. Bourdieu), 문화자본
문화 자본 | 아비투스(habitus) | 개인에게 내면화(무의식적으로 체질화)되어 있는 문화능력(문화적 취향, 심미 적 태도, 의미체계)으로, 지속성을 지니는 무형(無形)의 신체적 성향이나 습성 |
제도적 문화자본 | ∙교육제도를 통해 공식적 가치를 인정받는 시험성적, 졸업장, 자격증, 학위증서 ∙학업성취도와 관련된 교육결과에 대한 사회적 희소가치 분배의 기준이 되는 문화자본 |
|
객관적 문화자본 | ∙법적 소유권 형태로 존재하는 문화적 재화 (골동품, 고서, 예술작품) ∙교육내용 구성의 원천이 되는 상징재 형식의 문화자본 |
|
상징적 폭력(symbolic violence) | 한 계급이 지닌 특정한 아비투스를 다른 계급이 받아들이게 하는 것 |
Q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것은?
○ 몸에 각인된 행동거지, 말하고 생각하고 행동하는 방식으로 계급적 배경을 반영한다. ○ 문화자본의 일종이다. |
① 아비투스 ② 패러다임
③ 헤게모니 ④ 이데올로기
【해설】 정답 ①
부르디외(P. Bourdieu)는 학교가 지배집단의 문화자본을 재창조하고 정당화하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계급적 불평등을 재생산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그는 현대 사회에서 불평등한 계급구조가 어떻게 재생산되는가를 문화에 관한 분석을 중심으로 피지배계급이 어떻게 지배계급의 지위를 자연스러운 것으로 수용하는지 설명하고 있다. 즉, 아비투스(habitus, 체화된 습성이나 취향으로서의 문화자본)라는 개념을 사용하여, 행위자들의 문화적 취향과 계급구조와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학교는 지배집단의 문화적 취향인 아비투스를 교육과정에 담아 학생들에게 전달하는 상징적 폭력(symbolic violence)을 행사함으로써 계급적 불평등을 재생산한다고 보았다. ②는 토마스 쿤(T. Kuhn)이 「과학혁명의 구조」에서 사용한 개념으로, 사물과 현상을 바라보는 근본적 시각이나 관점, 틀을 말한다. ③은 애플(M. Apple)의 문화적 헤게모니이론에서 사용한 그람시(A. Gramsc i)의 개념으로, ‘학교교육이 교육의 기회를 공정하게 제공하고 능력에 따라 사회계층을 결정하게 한다.’고 믿게 하는 지배력 행사 방식으로, 학교는 교육과정을 통해 지배 이데올로기를 정당화하는 역할을 한다고 보았다.
④는 지배계급의 가치체계를 말하며, ③에 포함
부르디외(P. Bourdieu)의 문화자본
문화 자본 | 아비투스(habitus) | 개인에게 내면화(무의식적으로 체질화)되어 있는 문화능력(문화적 취향, 심미 적 태도, 의미체계)으로, 지속성을 지니는 무형(無形)의 신체적 성향이나 습성 |
제도적 문화자본 | ∙교육제도를 통해 공식적 가치를 인정받는 시험성적, 졸업장, 자격증, 학위증서 ∙학업성취도와 관련된 교육결과에 대한 사회적 희소가치 분배의 기준이 되는 문화자본 |
|
객관적 문화자본 | ∙법적 소유권 형태로 존재하는 문화적 재화 (골동품, 고서, 예술작품) ∙교육내용 구성의 원천이 되는 상징재 형식의 문화자본 |
|
상징적 폭력(symbolic violence) | 한 계급이 지닌 특정한 아비투스를 다른 계급이 받아들이게 하는 것 |
잡스9급 PDF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 유튜브 강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