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암 박은식 (1859~ 1925)
신채호와 함께 2대 민족주의 사학자로 국사의 중요성 강조
이승만 위임통치 청원서 비판
임시정부 2대 대통령 역임.
한국통사에서 신이 존재하여 불멸하면 형은 때 맞추어 불활한다는 혼사상 강조
한국통사(1915) - 일본의 한국 침략과정을 밝힌 최초의 한국근대사 저술
한국독립운동지혈사 - 3.1운동 등 우리민족의 독립운동 저술
양명학 연구 심화 - 유교구신론, 왕양명실기 저술
위인전 저술 - 안중근전, 연개소문전
박은식 두문자 암기
1910 독립운동 중국본토-"상하이동 신박 귀염 청년"
상하이 임시정부
동 동제사 : 독립후원 상회
신규식 : 위장 점원 등록
박은식
귀 김규식 : 파리강화회의
여 여운형 당수
청년 신한청년당
계몽사학 - 박혼식 지혈(이) 통(안돼)
박 박은식
혼 혼백
식 혼식
지혈 한국독립운동 지혈사
통 한국통사
● 양명학 박은식
양명학은 성리학을 비판
양명학이란 주관적·실천적인 유학체계로서 주기론적 입장. 지행합일
전습록을 이황이 전습록변에서 비판하고 정제두가 변퇴계전습록변에서 전습록변을 비판
성리학의 사상적 한계로서 비판, 16C 중엽~17C 에 이르러 일부학자 관심
(남언경, 이요, 자유, 최명길, 이수광, 허요)
18C최 정제두에 의해 학파 형성
강화 중심의 강화학파(성호학파가 아님)
남인, 소론학자+불우한 종친출신 학자
양명학의 교지는 선행후지, 지행합일, 치양지➜이기이원론 부인
이건창·박은식 등에 의해 계승·연구됨
일제 식민치하에서 박은식의 유교구신론으로 계승
● 국학자와 사학자
국문법연구: 유길준(조선문전, 최초의 문법서)
국문연구소➜조선어연구회(1921, 한글날제정)➜조선어학회(1931, 표준어제정, 맞춤법통일안
, 우리말큰사전편찬착수)➜조선어학회사건(1942, 치안유지법)
진단학회~유물사관, 민족주의사관을 모두 거부, 청구학회에 반발, 실증사학 도입
※신민족주의 사학~사회경제사학을 수용, 계급협조와 계급공생을 목표, 균등과 단결을 중시
민립대학설치운동(1922) 일제는 이에 경성제국대학을 설치하여 응수
조선학운동~비타협적민족주의자들이 일제의 동화정책에 저항하려는 소극적 민족운동가, 우리문화의 고유성
신채호~낭가사상, 민족주의 사학자
박은식~유교구신론, 혼 사상
정인보~얼 사상
문일평~심 사상 강조
최남선~밝 사상, 최초의 잡지인 소년 창간
Q 다음 글을 쓴 인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이른바 3대 문제는 무엇인가. 첫째는 유교계의 정신이 오로지 제왕측에 있고, 인민 사회에 보급할 정신이 부족함이오, 둘째는 여러 나라를 돌아다니면서 천하를 변혁하려 하는 정신을 강구하지 않고, 내가 동몽(童蒙)을 찾는 것이 아니라 동몽이 나를 찾는다는 생각을 간직함이오, 셋째는 우리 대한의 유가에서 쉽고 정확한 법문을 구하지 아니하고 질질 끌고 되어 가는 대로 내버려 두는 공부만을 숭상함이다. |
① ‘조선심’의 개념을 중시하고 한글을 그 결정체로 보았다.
② ‘5천년간 조선의 얼’이라는 글을 써서 민족 정신을 고취하였다.
③ 실천적인 새로운 유교 정신을 강조하는 유교구신론을 주장하였다.
④ 3.1운동 때 민족 대표 33인의 한 사람이며, 일제의 사찰령에 반대하였다.
【해설】 정답 ③
사료는 1909년 서북 학회 월보에 실린 박은식의 유교구신론에서 일부 내용을 발췌한 것이다. ③ 박은식은 새로운 시대에 맞게 유교를 전승시키려면 양명학을 보급하여 한다고 주장하였고, 여기에 유교의 실천 윤리적 측면을 강조한 유교구신론을 제창하였다.
① 문일평은 민족정신을 조선심으로 보았으며, 근대 대외 관계사를 중심으로 민족 문제를 인식하여 『대미 관계 50년사』를 서술하였다.
② 정인보는 1930년대에 동아일보에 ‘5천년간 조선의 얼’을 연재하여 민족정신을 고취하였으며, 이것이 이후 『조선사연구』로 편찬되었다.
④ 승려였던 한용운은 3.1 운동 당시 민족대표 33인 중 한명으로 독립선언서를 보완한 공약 3장을 작성하기도 하였으며, 총독부에 사찰령의 폐지를 요구하였다.
잡스9급 PDF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 유튜브 강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