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관리사/공동주택시설개론

배수관 청소구 설치 위치, 목적

Jobs 9 2020. 12. 9. 18:29
반응형

배수관 청소구 설치 위치, 목적

 

배수관 청소구 시공 목적

① 배수관이 막혔을 때 이것을 점검 및 수리하기 위하여 설치한다.

② 관경은 배수관경과 동일하게 하며, 배수관경 100mm 이상일 때는 최소 100mm로 한다.

배수관 청소구 설치위치

① 가옥배수관과 부지하수관이 접속하는 곳

② 배관이 45° 이상의 각도로 굴곡진 곳

③ 가옥 배수수평주관의 기점

④ 배수수직관의 최하단부

⑤ 배수수평지관의 최상단부

⑥ 각종 트랩 및 기타 배관상 필요한 곳

청소구 설치거리

① 수평관 관경 100mm 이하 : 직선거리 15m 이내

② 수평관 관경 100mm 초과 : 직선거리 30m 이내

청소구 설치 시 주의사항

① 청소구 설치위치에 공간을 확보하고, 반드시 청소구 바로 아래층에 천장 점검구를 설치하여야 한다.

② 청소구는 배수관 옆에서 토출시켜 45° 곡관을 설치 후 배수배관 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하여야 한다.

③ 오물의 정체 및 막힐 우려가 많은 곳에는 투명 PVC 청소구를 설치한다.

④ 모든 청소구는 배수의 흐름과 반대 또는 직각으로 열 수 있도록 설치한다.

⑤ 청소구의 뚜껑은 공사시공 중 손상을 받지 않게 하고 관 내에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도록 보호한다.

발포존 (Zone)

* 발포존이란 배수관에서 거품이 발생하는 구역을 말한다.

* 세제를 포함한 배수가 공기와 혼합되면 거품이 생기고 특히 지관의 배수와 혼합되면 발포현상은 심해진다.

* 거품은 물보다 가벼워 수평관 또는 45° 이상 옵셋부에 충만해 있어 배수가 유입되면 거품은 봉수를 파괴하며 실내로 유입된다.

* 주로 통기수직관이나 수평관을 통하여 거품이 역류하며 세제가 많을수록 이러한 현상은 심해진다.

* 배수수직관의 압력변동으로 저층부 배수계통의 트랩에서 분출현상이 발생한다.



주택관리사 두문자 암기

스마트폰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