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유일당 운동
"신간이지1927"
● 좌우합작운동
신간회, 민족유일당 운동, 전국연합진선협회, 건국동맹, 조선청년동맹, 조선민흥회, 근우회, 북경촉성회, 상해촉성회
● 신간회
좌우합작, 민족유일당. 최대 합법 조직(치안유지법), 이상재, 홍명희
● 신간회 강령 '경단기'
경 정치 경제적 각성촉구
단 민족 단결
기 기회주의자 배격
● 신민회 & 신간회 '민비간청'
신민회 : 비밀결사 대성오산
신간회 : 좌우합작 청여형(청년운동,여성운동,형평운동)
● 신민회 & 신간회
신민회(1907)~대성학교(평양), 오산학교(정주), 태극서관, 자기회사, 공화주의 정치 주장
신간회(1927~1931)~자진해산, 자치운동에 반대하는 우익세력(좌파)+좌익세력, 광주학생운동 지원
참정권은 주장하지 않았다.
신간회의 중앙조직은 비타협적 민족주의 세력이 우세, 지회조직은 사회주의 세력이 우세
※입헌군주제~초기개화파➜갑신정변➜갑오개혁➜독립협회➜헌정연구회
좌우합작 민족유일당 운동
● 민족 유일당 운동(사회주의계+민족주의계)
사회주의계와 민족주의계가 민족 유일당 운동할 수 있었던 것은 공통의 목적인 일제로부터의 자유, 독립
● 배경:
1. 자치운동론(1923) : 이광수, 최린 (위기 의식으로 작용)
2. 중국의 제1차 국공합작(1924) : 국민당과 공산당 합작되네?? 민족 유일당 할 수 있겠어
3. 북경촉성회 창립(1926) : 안창호 + 원세훈(북경의 유력자), 대독립당조직북경촉성회
4. 6.10 만세운동(1926) : 학생 + 사회주의계 + 민족주의계 = 공감대 형성
5. 조선 민흥회 조직(1926.7) : 서울 청년회(사회주의계) + 조선물산장려회(민족주의계 자본가)
6. 정우회 선언(1926.11) : 사회주의계 정우회가 경제투쟁 → 정치 투쟁의로 전환하면서
비타협적 민족주의계와의 제휴를 모색함
● 신간회 창립(1927~1931)
- 사회주의계 + 민족주의계의 공통의 적은 자치운동론을 주장하는 자들
- 신간회 의의: 신간회는 3.1운동 이후 민족주의와 사회주의가 연합 전선을 구축한 최초의 민족 유일당 운동
● 신간회의 조직
- 6·10 만세운동 다음해인 1927년에 민족주의자와 사회주의자가 공동전선을 펴서 조직
- 일본은 문화정치 표방과 한국 민족운동의 내막 파악위해 합법적인 기관으로 인정함(치안유지법 25)
- 신간회의 강령
우리는 정치적·경제적 각성을 촉진함
우리는 단결을 공고히 함
우리는 기회주의를 일체 부인함
- 일본 경찰의 심한 감시가 있었지만, 전국에 많은 지회가 설립되고 회원도 3만에 이름
- 여성단체인 근우회가 방계단체로 신간회의 활동에 동조
- 신간회는 광주학생운동 때 조사단을 파견하고 민중대회를 계획함
- 만주사변이 일어나던 1931년에 사회주의 계열의 주장에 의하여 해산됨
● 신간회의 해소
- 배경 : 광주 학생 항일 운동 때의 민중 대회 사건과 일제의 탄압, 내부의 이념 대립, 계급성을 강조하는 코민테른의 노선 변화
- 신간회 해소 과정
신간회 새 집행부가 일부 타협적인 합법 운동 강조 → 각 지회의 반발 → 전체 대회에서 해소안 가결 → 신간회 해체(1931)
Q 다음과 같은 주장을 한 단체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창립 당시는 소위 민족적 단일한 정치 투쟁 단체로 이 회가 필요했지만 그 후 본회의 통일적 운동의 발자취를 돌아보면 너무나 막연하여 종잡을 수 없음을 통감하지 않을 수 없다. 따라서 최근 본회의 근본 정신인 비타협주의를 무시하고 합법 운동으로 방향을 전환하려는 민족적 개량주의자가 발호해 온 것이 심히 유감된 일이며, 이는 본회의 근본적 모순으로부터 온 당연한 귀결이라고 할 수 있지 않겠는가. 그렇다면 우리들은 이 같은 불순한 도정을 따라온 회의 존립을 그대로 용인할 수 없으므로 첨예한 계급 단체를 조직하고 본회를 해소하는 것은 당연하다고 생각한다. |
①6․10 만세 운동을 주도하였다.
②3․1 운동을 전국으로 확산시켰다.
③보안법에 의해 강제로 해산되었다.
④광주 학생 항일 운동에 조사단을 파견하였다.
【해설】 정답 ④
신간회 해소를 주장하는 글
④ 신간회는 광주 학생 항일 운동에 조사단을 파견하였다.
① 광주학생들은 6‧10 만세 운동을 주도하였다.
② 학생, 농민, 노동자에 의하여 3‧1운동이 전국으로 확대되었다.
③ 대한 자강회는 보안법에 의해 강제 해산되었다.
․보안회
- 광무 8년(1904)에 송수만 등이 조직
- 일본의 황무지 개척권 요구에 반대운동을 일으켜, 일본으로 하여금 철회케 하는데 성공
- 이상설을 회장으로 하는 협동회로 발전 → 일본의 탄압으로 해산
․공진회
- 광무 8년(1904)에 독립협회 계통의 인사들로 조직
- ” 9년(1905)에 헌정연구회로 발전
․정치·사회 단체의 활동은 정부·일본의 탄압으로 사회문화 운동으로 변화
․대한자강회
- 광무 10년(1906)에 헌정연구회의 후신으로 조직됨
- 헤이그 밀사사건으로 일본이 고종의 퇴위를 강요하자 반대운동 전개
- 통감부에 의해 강제 해산되었으나, 대한협회로 이름바꾸고 계몽운동 전개
․국채보상운동
- 광무 11년(1907)에 국채보상기성회 조직
- 간사인 양기탁의 구속으로 더 이상 진전없이 좌절
․신민회
- 통감부의 감시속에서 정치·사회 운동이 많은 제약을 받자 조직된 비밀단체
- 광무 11년(1907)에 윤치호·안창호·양기탁·전덕기·이동휘·이갑·이승훈 등이 조직
- 산업을 위하여 자기회사 세우고, 교육을 위하여 학교설립, 출판활동을 위하여 서점을 경영
- 무장활동을 목표로 한 준비도 하고 있었으나, 1911년에 105인 사건으로 활동 중지
․신간회
- 6·10 만세운동 다음해인 1927년에 민족주의자와 사회주의자가 공동전선을 펴서 조직
- 일본은 문화정치 표방과 한국 민족운동의 내막 파악위해 합법적인 기관으로 인정함
- 신간회의 강령 - 우리는 정치적·경제적 각성을 촉진함 경단기
- 우리는 단결을 공고히 함
- 우리는 기회주의를 일체 부인함
- 일본 경찰의 심한 감시가 있었지만, 전국에 많은 지회가 설립되고 회원도 3만에 이름
- 여성단체인 근우회가 방계단체로 신간회의 활동에 동조
- 신간회는 광주학생운동 때 조사단을 파견하고 민중대회를 계획함
- 만주사변이 일어나던 1931년에 사회주의 계열의 주장에 의하여 해산됨
공무원 두문자 암기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