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학

문화변화와 교육, 문화전계(文化傳繼, enculturation), 문화접변(文化接變, acculuration), 문화지체(文化遲滯, cultural lag), 문화실조(文化失調, cultural deprivation)

Jobs 9 2020. 11. 23. 15:44
반응형

1. 문화의 교육적 기능

1) 사회적 행동의 표준 제시 : 문화를 구성하는 가치관, 신념, 태도 등은 사회적 행동의 방향과 방법을 제시하는 기능을 한다.

2) 사회의 결속과 동질성 유지 : 문화는 같은 언어, 사고, 감정 등 행동양식과 생활양식을 갖게 하여 사회 구성원으로서 소속감을 갖게 하며 결속력과 응집력을 형성케 한다.

3) 욕구충족 및 발전 수단 제공 : 문화는 인간의 생리적 욕구를 충족하게 하는 방법과 내용 뿐 아니라 성격, 능력 등의 향상을 위한 내용과 방법을 제공해 준다.

 

2. 문화변화와 교육

1) 문화전계(文化傳繼, enculturation)

문화전계란 문화가 한 세대에서 다음 세대로 전달되고 계승되는 것을 뜻하는 것으로, 한 개인이 한 사회의 성원으로서 성장발달하면서 그 문화를 내면화하는 과정이다.

따라서 문화전계는 사회화의 한 측면이라고 할 수 있다.

2) 문화접변(文化接變, acculuration)

문화접변이란 한 문화가 다른 문화와 장기간 접촉하여 한쪽 또는 양쪽이 변하는 경우다.

우리 나라의 경우 미국문화가 유입되면서 전통 음악보다는 서양 음악을, 전통 학문보다는 서구적 학문을 더 중시하고 있는데, 이러한 현상이 문화접변의 예라고 할 수 있다.

3) 화지체(文化遲滯, cultural lag)

오그번(W. F. Ogaburn)사회변동(1966)에서 제시한 개념이다.

문화를 이루는 여러 하위 요인들은 같은 속도로 변화해 나가는 것이 아니라 변화속도나 변화율에 있어 차이가 나는데, 이로 인해 한 요인의 변화가 다른 요인의 변화에 비해 뒤처지게 되는 현상을 문화지체라고 한다.

) 최근 학교의 교수매체의 현대화가 이루어져 멀티미디어가 도입되고 있으나, 일부 선생님들은 이를 사용하는 방법을 몰라 여전히 칠판과 분필에 의존하여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4) 문화실조(文化失調, cultural deprivation)

문화실조란 인간발달에서 있어 유전적 요인보다 환경적인 요인을 더 중시하는 입장에서 나온 것으로, 아동의 발달에서 요구되는 문화적 환경이 결핍되거나 시기적으로 적절치 못해, 아동의 지적사회적인간적 발달에 장애가 생기는 현상을 의미한다.

따라서 문화실조에서 벗어나게 하려면 문화적 환경을 개선해야 한다.

이러한 입장에서 하류층 학생들의 학업성취 격차를 줄이기 위해 실시한 것이 영국과 미국의 보상교육이다.




공무원 두문자 암기

스마트폰 공무원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