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무신정권 권력기구
정경이최최 / 중도중도서
연대 암기
무신마 천한직공 1170
중부포위망 총싸 1174
전관(예우) 빨리승 1182
효심에 이의있삼 1193
똘끼충만 광수구이 1198 1217
천일구박 만적의난 1198
몽고놈 이리새이 1231
금속활자 순서대로 1234
나란히 태어난 연년생칠 우정 1237
삼별초 천리침공 1270
일본태풍 이리치사 1274
두문자 암기
정방 / 중방 / 도방 / 서방 / 응방
● 중방
- 고려 중앙군 '2군 6위' 의 정/부 지휘관인 상장군/대장군의 합좌기구
- 무신정권에서 국가 중추 기구로 발전
● 도방
- 경대승이 정중부를 제거한 뒤, 자신의 사병 집단으로 설치
- 이후 최충헌 집권기에 재설치되어, 그 규모가 더욱 확대
● 정방
- 무신집권기에 최우가 자기 집에 설치하고, 모든 관직에 대한 인사권을 장악
- 이에 왕권이 약화되는 계기
- 원 간섭기부터는 국가 기관으로 변모하였으며 충렬왕-공민왕 대 등 일시적으로 폐지
- 이성계의 위화도 회군(1388) 이후, 완전히 폐지
● 서방
- 서방 역시 최우가 자신의 집에 설치한, 문인 숙위 기구
- 사실상 문관 등용의 업무를 담당
- 최우정권에서 특징적인 것은 무신집권기이나, 문신도 등용
● 응방
- 고려/조선 시기 매의 사냥과 사육을 위해 두었던 관청
- 몽골이 고려 복속 후, 조공품으로 요구하는 해동청(사냥매)를 잡고 길러서 몽골에 보내기 위해 설치
잡스9급 PDF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