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용 과학 Applied Science/공학, 건축, 기술 Engineering

무량판 구조 아파트, 없을 무(無), 대들보 량(梁), 무량판 종류, 벽식 구조, 기둥식 구조, 무량판식 구조, 어떤 구조 방식인지 확인 방법

Jobs 9 2023. 8. 6. 12:42
반응형

무량판 구조

건축구조의 한 종류로, 없을 무(無) 자, 대들보 량(梁) 자를 쓴 명칭 그대로 하중을 지탱하고 있는 수평구조 부재인 보(beam)(대들보)가 없고, 건물의 하중을 지탱하는 수직재의 기둥(코어)에 슬래브(slab)가 바로 연결된 형식이다. 건축구조를 건물에 작용하는 힘에 저항하는 방식으로 구분할 때, 축하중에 의한 구조방식 중의 하나이다. 

본래 교량건설에 사용되는 방식으로, 평판바닥구조 또는 플랫슬래브구조라고도 한다. 슬래브란 철근 콘크리트 구조의 바닥을 말하는데, 슬래브에 발생하는 하중이 곧바로 기둥을 통하여 바닥에 전달되어 지반으로 내려가도록 하는 방식이다.

무량판 종류

무량판 구조 아파트

구조 특징
벽식 구조 기둥없이 벽이 천장(슬래브)을 받치는 형태, 과거 대부분 아파트의 구조, 층간소음 있음 
기둥식 구조 보(수평 기둥)와 기둥이 천장(슬래브)을 받치는 구조, 층간 소음이 적으나, 시공비가 비싸고 오래 걸림
무량판식 구조 보(수평기둥)없이 기둥이 바로 천장(슬래브)을 지지하는 구조, 미국에서 주로 사용함, 공간을 넓게 쓸수 있으나 하중을 견디기 위해 기둥 부근의 철근 보강이 필수임

아파트 같은 고층 건물을 지을 때 하중을 견디기 위해 보(Beam)와 기둥(Column) 그리고 슬래브(Slab)로 건물의 뼈대를 구성하는데 이 요소들을 어떻게 구성하느냐에 따라 건축물의 구조 방식이 바뀌게 됩니다. 대한민국의 예전 아파트는 대부분 벽식 구조를 사용했습니다. 벽식 구조는 벽이 하중을 지탱하는 구조로 한 번 시공하고 나면 내부 구조를 바꾸기 어렵고, 바닥을 구성하는 콘크리트 층이 얇아서 층간소음에 취약한 단점이 있습니다. 기둥식 구조는 주상복합 아파트와 대형 단지 아파트에 많이 사용되는 구조로 수평기둥인 보가 천장을 받치고 하중을 견디는 구조입니다. 벽을 철거하고 내부공간을 자유롭게 바꿀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층간소음이 비교적 작다는 장점이 있지만 시공기간이 오래 걸리고, 비용이 많이 든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무량판식 구조는 보없이 기둥이 슬래브를 지지하는 구조로 미국 아파트에서 주로 사용되는 방식입니다. 우리나라에서도 공간을 넓게 쓸 수 있는 장점 때문에 많이 도입되었지만 1995년 삼풍백화점 붕괴 사고 이후 아파트에서는 사용을 많이 하지 않았습니다. 기중과 맞닿는 부분에 하중이 집중되므로 기둥 주변에 철근을 여러 겹 감아 보강해야만 하는 구조입니다. 이번 부실 공사 논란이 있는 아파트들은 이 기중 주변 철강 보강을 충분히 하지 않은 것입니다. 

 

 

아파트가 어떤 구조 방식인지 확인 방법

우리가 살고 있는 아파트가 어떤 구조로 지어졌는지 아는 방법은 각 지역별 부동산 정보 통합 열람을 통해 확인하는 것입니다. 즉, 서울은 서울 부동산 정보 통합 열람, 경기도는 경기도 부동산 정보 통합 열람 그리고 강원도는 강원도 부동산 정보 통합 열람을 검색하시면 바로가기 페이지가 제일 먼저 나오게 됩니다. 각 지역별 부동산 정보 통합 열람 페이지에 들어 간 후 아파트 검색을 도로명으로 바꾼 다음 본인이 살고 있는 아파트 정보를 입력하시면 됩니다. 그러면 각종 정보가 나오는데 그중 가운데에 있는 건축물 정보를 누르면 아래 부분에 층별 현황이 나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런데 여기에 있는 정보는 벽식, 기둥식, 무량판식으로 쓰여 있지 않습니다. 보통 ‘철근콘크리트구조’ 또는 ‘철골철근콘크리트’로 표시되는데, 철근콘크리트 구조가 벽식 구조입니다. 철골철근콘크리트 구조는 기둥식 또는 무량판식 구조인데, 거의 대부분이 무량판식 구조라고 보면 됩니다. 확실히 알기 위해서는 도면을 봐야 하는데, 그게 아니면 관리실에 문의해 보는 방법도 있습니다. 참고로 기둥식 구조는 누구나 알 수 있는 신축 고가 대형 단지들에 적용되어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