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 과학 Natural Science/생명 Life sciences

메갈라니아, 신생대, 최고 거대, 육지 도마뱀, 5m, 쿠인카나

Jobs 9 2024. 12. 8. 20:34
반응형

메갈라니아
Megalania

학명
Varanus priscus


뱀목 Squamata

왕도마뱀과 Varanidae

메갈라니아속 Megalania
왕도마뱀속 Varanus
아속
왕도마뱀아속 Varanus

†메갈라니아V. priscus

 

 



신생대 플라이스토세 후기인 200만년 전부터 5만년 전까지 호주에 살았던 지구 역사상 가장 거대한 육지 도마뱀이다. 속명은 '배회하는 거대한 자'라는 뜻으로 붙여진 것이다.


지금은 왕도마뱀속의 한 종으로 분류되었다. 이는 메갈라니아가 페런티에나 알거스왕도마뱀 등 현재 호주에 서식하는 여러 왕도마뱀류와 분류계통학적으로 매우 가까운 관계임이 밝혀졌기 때문이다. 이후 호주의 여러 왕도마뱀들이 왕도마뱀속에 분류되어 있는데 이들과 별 차이도 없는 메갈라니아가 별도의 속으로 존재하는 것은 비합리적이라는 지적이 제기되었고, 결국 메갈라니아가 왕도마뱀의 후행이명이 되는 방식으로 통합된 것. 

따라서 공식적인 학명은 바라누스 프리스쿠스종(Varanus priscus)이며, 메갈라니아는 단순히 부르는 별명 정도로 취급된다.

 

 

특징


화석 표본이 워낙 불완전하여 발견 당시에는 몸길이 5~7m에 몸무게 600kg 정도로 추정되었으나, 2002년 재추정이 진행되어 코모도왕도마뱀보다 좀 긴 정도인 3.5m~4.5m 가량의 몸길이에 몸무게는 최대 330kg 남짓한 크기로 줄어들었다. 반면 크기 추정 방식을 달리 적용한 2004년의 연구에서는 일반적인 개체의 꼬리를 제외한 몸길이가 2미터 남짓에 몸무게는 320kg 가량으로 추정되었고, 최대 개체의 경우 꼬리를 제외한 길이가 3.8m에 무게는 거의 2톤으로 추정되었다. 이후 2009년에는 5.5m 정도로 추산하는 결과가 나오기도 했기에 제대로 된 화석이 나오지 않은 이상 정확한 크기는 여전히 불분명하다. 

2012년에 조금 더 정확한 추정치가 나왔는데, 알려진 메갈라니아 표본 중 2개를 가지고 현존하는 모든 왕도마뱀속과 비교하여 꼬리를 제외한 몸길이을 추정한 결과 대략 2미터 내외에 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저자들은 동시에 추정치 결과로 나오지는 않았으나 현생 왕도마뱀속의 최대급 개체들이 일반적인 개체보다 1.5~2배 이상 큰 경우가 있다는 것을 감안하여 꼬리를 제외한 몸길이가 3미터 이상인 개체도 있을 것이라고 추측하였다. 그 외에 2003년의 연구에서 나이가 16살 정도 된 개체의 표본은 꼬리를 제외한 몸길이가 약 2.2미터 정도로 추정되었다.
메갈라니아 게니오르니스 화석
기러기목에 속하는 육상 조류 게니오르니스를 메갈라니아가 추격하는 모습을 묘사한 화석 파노라마.


가까운 왕도마뱀 친척들의 사례를 참고해 달리기 속도를 추정해보니 시속 10km 정도에 불과한 결과가 나왔다. 하지만 당시 호주 생태계에는 이 정도 속도로도 충분히 사냥할 수 있을 정도로 느리고 큰 동물들이 많이 있었기 때문에 포식동물로 사는 데 문제가 없었을 수도 있다. 오늘날 코모도왕도마뱀의 경우, 사체를 처리하는 능력도 뛰어나지만 날카로운 이빨과 독이라는 강력한 무기를 바탕으로 인도네시아 생태계의 최상위 포식자로 군림하고 있다.


메갈라니, 쿠인카나

메갈라니아(왼쪽)와 쿠인카나(오른쪽)의 모습



육상 악어인 쿠인카나와 서식지가 겹치며, 이 동물도 서로 6~7m의 거대한 덩치와 긴 다리까지 갖춘 당시 호주의 상위 포식자였다. 따라서 둘의 충돌이 꽤 잦았을 수도 있다. 하지만 메갈라니아는 주로 초원 지대에, 쿠인카나는 습지대에 서식하여 경쟁이 그리 극심하진 않았을 것이란 시각도 크다.

팔루디렉스 바다악어 메갈라니아


왼쪽부터 팔루디렉스, 바다악어, 메갈라니아.
한편 호주의 물가에는 팔루디렉스(Paludirex)라는 크기가 4~5m에 달하는 대형 악어도 살고 있었으며, 육지에는 주머니사자라는 포식성 유대류도 살았다. 이들도 마찬가지로 메갈라니아와 충돌했을 가능성이 있다. 그리고 호주 북부에서 코모도왕도마뱀의 화석이 발견되어 한 때 코모도왕도마뱀과도 경쟁 관계였으나 코모도왕도마뱀이 현재의 인도네시아로 서식지를 옮겼기 때문에 메갈라니아가 경쟁구도에서 우위를 점했음을 알 수 있다.  

 

 

멸종
이 녀석 역시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들이 처음 호주에 정착했을 때만 해도 아직 살아있었다. 기후변화로 설명하기엔 300만년전부터 시작해 20번 넘게 발생한 빙하기 속에서도 생존에 성공했으니 설득력이 부족한데다 호모 사피엔스, 즉 현생 인류가 도착하자마자 다른 대형동물과 같이 멸종해 버렸으니 인류의 과도한 사냥 및 서식지 파괴가 더 설득력이 있다. 

이에 대해 활도 없었던 원주민들이 어떻게 대형 동물들을 멸종시킬 수 있냐'며 회의적인 입장을 보일 수도 있겠지만, 이들이 처음부터 투척 무기를 갖고 있지 않았던 것은 아니다. 애시당초 호주는 빙하기 때에도 아시아 대륙과 수백km는 떨어져 있었던 만큼 배가 없이는 이주를 못하는 땅이기 때문에 인류가 나타나고도 수백만년 동안 호주는 그 영향권에서 자유로웠다. 하지만 5만년 전 현생 인류는 언어의 발달에 힘입어 활과 석기, 작살같은 각종 도구들을 만들어 활용하기 시작하는 등 급격한 기술개발에 성공했고, 이후 아프리카를 출발해 대대적으로 이주를 하기 시작했다.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들은 정황상 동남아시아 해변가에서 어로 생활을 하던 수렵민들이 건너온 것이 분명한 만큼 배는 물론이고, 활 및 화살 같은 각종 기구들도 사용했을 것이며, 실제로 원주민 유적지 발굴 결과 돌화살촉 및 투창촉 등이 발견되었다. 

 

 

 

Megalania prisca
Scientific name: Megalania prisca


Classification
Genus Megalania Species prisca Family Varanidae Suborder Lacertilia Infraorder Anguimorpha Order Squamata Superorder Lepidosauria Infraclass Lepidosauromorpha Subclass Diapsida Class Sauropsida Series Amniota Super Class Tetrapoda Subphylum Vertebrata Phylum Chordata Kingdom Animalia 
Size Range 
3.5-5m long (head to tail)


Introduction
Megalania prisca, the largest terrestrial lizard known, was a giant goanna (monitor lizard). First described from the Darling Downs in Queensland by Sir Richard Owen in 1859, Megalania lived in a variety of eastern Australian Pleistocene habitats - open forests, woodlands and perhaps grasslands. Megalania would have been a formidable reptilian predator like its relative the Komodo Dragon of Indonesia, and may have eaten large mammals, snakes, other reptiles and birds. 

Identification
Megalania prisca was an enormous monitor lizard - up to 5 metres long - with an unusual crest on its snout (a smaller but similar crest is also seen in the perentie, Varanus giganateus and in other Australian species). The teeth of Megalania were sharp and recurved with wrinkled, infolded enamel. Megalania had small bones (osteoderms) embedded in the skin of the snout and nape of the neck. 

Its postcranial skeleton is poorly known, but its proportions were unlike those of other monitors. The humerus (upper arm bone) was unusually wide at its distal (far) end, unlike other varanids, where the distal end is about as wide as the proximal (near) end.

Habitat
Megalania lived in a broad range of Pleistocene habitats, including open forests, woodlands and perhaps grasslands. Fossils have been found in stream and river deposits as well as in caves. It was rare in all localities, and was probably not living on stream banks or in caves.  

Distribution
Megalania was widely distributed across much of eastern Australia although complete fossils are rare. In Queensland, Megalania has been found at Bluff Downs and Wyandotte in the north, Marmor Quarry near Rockhampton on the south coast, and the Darling Downs in the southeastern of the state. In New South Wales, Megalania has been found at Cuddie Springs in north central NSW and at Wellington Caves, central NSW. Victorian Megalania fossils come from the southern coastal region. In South Australia, Megalania has been found in the arid Lake Eyre region (Warburton River, Cooper Creek and Lake Kanunka) and at Naracoorte Caves near the South Australian coast. Megalania is not yet known from Tasmania, Western Australia or New Guinea. 

Related to: The closest relatives of Megalania are other goannas or monitor lizards (Varanidae). Although the Komodo Dragon or ora of Indonesia (Varanus komodoensis) is the largest living goanna, Megalania may be more closely related to the Australian perentie (Varanus giganteus). Proposed relationships between Megalania and the ora are probably based primarily on size. However, Megalania fossils are rare and incomplete, and relationship hypotheses may change with discovery of new fossil material. 

Feeding and diet
Remains of Megalania have often been found with fossils of large animals like kangaroos, suggesting that Megalania may have taken large prey, like the ora or Komodo Dragon. Living oras consume large mammals, including deer, wild pigs and goats. Prior to human arrival on the islands where it lives, it probably preyed on now-extinct pygmy elephants and possibly tortoises. Like other varanids, Megalania may have been an ambush predator/scavenger whose toxic saliva would have caused infection and death to its victims. In spite of its large size, Megalania would have needed much less to eat than a mammalian predator of comparable size. 

Life history cycle
Lizards have formed a large part of the vertebrate fauna of Australia since at least the Miocene. Megalania, a huge varanid lizard, was part of a suite of large Australian Pleistocene reptiles that included giant horned turtles, crocodiles like Pallimnarchus and large snakes like Wonambi naracoortensis. It would have been a top predator, most likely feeding on large vertebrates, during the Australian Pleistocene. However, skeletal remains of Megalania are fragmentary, and much is unknown about its life history. 

Fossils description
No complete skeletons or intact skulls of Megalania are known, and the limited amount of skull material found to date was not associated with postcranial material. Vertebrae and isolated teeth are the most common fossils, and lower jaws and limb bones have also been found. A humerus (upper arm bone) of a very large varanid, probably that of a juvenile Megalania, was found at Naracoorte Caves in South Australia. The skeleton of Megalania was reconstructed by Victorian palaeontologist Dr Tom Rich and is on display at the Museum of Victoria. 

There may be a second species of Megalania, from the Pliocene of the Darling Downs, south east Queensland.

Evolutionary relationships
Varanids are more closely related to snakes rather than to other lizards. Molecular evidence suggests that varanids evolved during the Early Cretaceous (between 140-100 million years ago) although there is no fossil evidence yet for this. Varanids would have arrived in Australia from Asia across 'micro-continents' , which have been in existence between Australia and Asia since the Early Cretaceous.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