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럽
세계 3대 싸이클 대회도 유럽에서 개최되며, 챔피언도 대부분 유럽선수들입니다. 자동차 경주의 발전과 자동차의 발전이 그 궤를 함께 하듯이 자전거도 자전거 경주의 발전과 자전거의 발전이 함께 해왔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자전거 탑 브랜드에는 항상 유럽 브랜드가 차지하게 됩니다. 만약 추천 받으신 자전거가 유럽 브랜드라고 한다면 일단 브랜드 인지도가 높을 것이라고 예상하시면 됩니다. 반대로 생각하면 그만큼 인지도가 높기 때문에 가격이 상대적으로 비싸기도 합니다. 페라리, 람보르기니와 같은 이탈리아 스포츠카가 모두의 로망이듯이 자전거도 역시 이태리 브랜드는 자전거 라이더들의 로망이기도 합니다.(콜라고, 피나렐로, 비앙키, 치넬리, 데로사 등)
- 프랑스 : 타임, LOOK, 라피에르
- 이태리 : 콜라고, 피나렐로, 비앙키, 치넬리, 데로사, 윌리어, 치폴리니, 마지, 바쏘 등
- 독일 : 포커스, 하이바이크, 캐년, CUBE, 고스트, 니콜라이
- 스페인 : Orbea, 몬드래커
- 벨기에 : 리들리, 에디먹스
- 영국 : 보드만, 브롬튼, 스트라이다
- 스위스 : BMC, SCOTT(스캇)
● 미국(캐나다)
미국과 캐나다는 유럽의 영향으로 일찍부터 자전거 문화가 발전하였지만 자전거 제작에 있어서는 유럽 브랜드의 명성에 미치지 못하였습니다. 그러나 미국 특유의 개척정신이 반영이 되어서인지 몰라도 새로운 기술을 도입하는데 적극적이었고 새로운 장르를 개발하는 것에 집중하면서 세계적인 브랜드들을 많이 만들어냈습니다. 어쩌면 후발주자이기 때문에 유럽 브랜드와의 경쟁에서 이기기 위해서 새로운 기술개발에 더욱 노력하기도 하였을 것입니다.
특히 싸이클의 원조가 유럽이라면 산악자전거(MTB)는 미국이 원조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제가 미국 브랜드를 따로 구별하려고 하는 것도 바로 산악자전거 때문입니다. 처음에는 산악자전거라는 장르가 전체 자전거 시장을 좌지우지할 정도는 아니어서 유럽브랜드들이 크게 신경을 안 썼지만 미국 메이커를 중심으로 산악자전거 시장이 엄청나게 성장하면서 이제는 자전거 시장의 양대 축이 되었습니다. 그 사이 산악자전거 시장에서는 미국 메이커가 전체 시장을 장악하면서 산악자전거는 미국 브랜드가 최고의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티타늄 재질로 된 프레임을 수제작하는 브랜드가 아주 유명합니다.
- 트렉, 스페셜라이즈드, 캐논데일(3대 메이저 회사), FELT, GT, 제이스미스, 예티(YETI), 싼타크루즈, 인텐스, 코나, 써벨로(캐나다), 록키마운틴, 팔리, 세븐, 린스키, 라이트스피드, 무츠 등
● 대만
대만은 고급자전거 생산 전세계 점유율 1위 국가입니다. 대부분의 전문자전거에는 'Made in Taiwan' 이라는 스티커가 붙어있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대만은 80년대까지만 해도 자전거 제작 기술이 우리나라(삼천리)보다 뒤떨어진 후발 주자였습니다. 그러다 중국산 저가품이 밀려들기 시작할 때 삼천리는 공장을 중국으로 이전하면서 중국과의 저가 전쟁에 뛰어들었지만 대만의 자이언트는 반대로 '고급화만이 살길이다'라며 기술개발을 통한 고급화 전략을 사용하기 시작하면서 전문 자전거 시장을 장악하기 시작하였습니다. 전세계 고급 자전거를 OEM으로 생산하면서 유럽, 미국 브랜드의 노하우를 얻게되고 이를 자체 브랜드에 접목하면서 가성비가 좋은 자전거라는 평가를 받으며 전세계 시장을 장악하게 됩니다. 이제 대만은 자전거 관련 부품협력사를 아우르는 자전거 생산 생태계를 완성하여 세계 자전거 시장을 움직이는 거대한 국가 브랜드로 발전하였습니다.
- 대만을 대표하는 브랜드는 자이언트(세계 1위), 메리다, 트리곤 등이 있습니다.
● 한국
국내 브랜드는 삼천리에서 만든 고급 브랜드 첼로, 프로코렉스를 만들던 사람들이 만든 창원에 본사가 있는 엘파마, 양궁 활 점유율 세계 1위 기업 윈엔윈(주)에서 만들기 시작한 위아위스 이렇게 3개의 브랜드가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다른 기업들은 아직 규모가 작거나 전국 단위의 판매를 하지는 못하고 있습니다.)
첼로(Cello)는 우리나라 1위 기업인 삼천리(참좋은레져)에서 만든 브랜드이다 보니 브랜드 인지도나 판매량에서 선두를 지키고 있으며, 엘파마는 본사가 창원이어서 그런지 경상도 지역에서는 높은 점유율을 보이고 있습니다. 위아위스는 카본프레임을 국내 공장에서 직접 생산을 하고 있어 유일하게 'Made in Korea' 인 제품입니다.
국내 브랜드는 수입 브랜드에 비해 브랜드 인지도는 낮으나 가격이 착하여 가성비 면에서는 가장 뛰어난 브랜드라고 보시면 됩니다. 그리고 본사가 국내에 있다보니 A/S가 편하고 심지어는 위아위스의 경우에는 고객이 요구한 디자인으로 주문생산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
유럽 브랜드 |
미국 브랜드 |
대만브랜드 |
국내브랜드 |
브랜드 인지도(Road) |
1 |
2 |
3 |
4 |
브랜드 인지도(MTB) |
4 |
1 |
2 |
3 |
가격 |
1 |
2 |
3 |
4 |
A/S의 편리함 |
4 |
2 |
2 |
1 |
가성비 |
4 |
3 |
1 |
2 |
특징(장/단점) |
- 오래된 역사와 전통 - 높은 브랜드 인지도 - 비싼 가격 |
- MTB의 원조 - 한국 지사 설립 (서비스 용이) |
- 가성비가 가장 좋음 - 세계 자전거 시장 선도 - 한국 지사 설립(서비스 용이) |
- 가격이 가장 착함 - 본사가 국내에 위치하여 서비스가 가장 좋음 - 브랜드 인지도가 가장 낮음 |
● 유럽 브랜드는 가성비 보다는 브랜드 인지도가 높고 가격은 비싼 브랜드라고 보시면 됩니다. 가성비가 낮기 때문에 비슷한 등급(비슷한 성능)의 부품으로 구성된 모델을 비교한다면 유럽브랜드는 대만/국내브랜드에 비해 소비자 가격이 많이 높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다르게 표현하면 만약 소비자 가격이 똑같이 150만원한다면 유럽브랜드의 모델이 좀더 낮은 등급의 부품으로 조립되어 있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반대로 자전거를 입문 후 상급이상으로 업그레이드 하시려는 분들은 유럽브랜드를 가장 선호하십니다. 가격은 비싸더라도 오랫동안 세계대회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두면서 쌓아온 이미지와 검증된 성능 때문에 자전거에 비싼 돈을 투자한만큼 얻을 수 있는 만족감이 크기 때문입니다. 다만 MTB의 브랜드 인지도를 제가 가장 낮게 책정한 것은 MTB의 경우 특정 브랜드를 좋아하시는 분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미국/대만 브랜드를 선택하시기 때문입니다.(단, '스캇'은 유럽 브랜드 이지만 미국브랜드와 비슷한 위치를 차지합니다.)
→ 상급 이상의 싸이클을 구매 하시려는 분들이 주로 선택
● 미국 브랜드는 미국에서 성장한 기업답게 회사 규모가 크다보니 스포츠 마케팅에 투자를 많이 하고 자체 브랜드의 의류, 용품, 부품들을 보유하고 있어서 대중들에게 많이 알려져 있습니다. 그래서 싸이클과 MTB 모두 높은 브랜드 인지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결국 전문 자전거 시장의 거의 모든 부분에 걸쳐 베스트셀러와 스태디셀러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특히 MTB의 원조다 보니 MTB를 타시는 분들은 당연하게 미국 브랜드의 상급자전거를 선택하게 됩니다.
→ 브랜드 인지도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입문자, 중/상급자 모두에게 사랑받는 브랜드
● 대만 브랜드 : 브랜드 인지도가 유럽, 미국브랜드에 비해 떨어지지만 사실 자전거 라이더를 제외하고는 자전거에 대만 브랜드가 있다는 것조차 모르시는 분들이 대부분일 것입니다. 더군다나 유럽/미국 브랜드 제품이 거의 대부분 대만에서 생산이 되고 있기 때문에 유럽/미국 브랜드에 비해 인지도만 떨어질 뿐 자전거 자체의 성능과 품질은 세계 최고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가격은 국내 브랜드보다 약간 비쌀 수 있지만 성능은 보장되었기 때문에 가성비가 가장 높다고 할 수 있습니다. 다만 브랜드 인지도 때문에 상급/최상급으로 업그레이드 하시는 분들은 별로 선호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 가성비가 가장 좋아서 전문 자전거를 처음 구매하시는 분들이 가장 많이 찾는 브랜드
● 국내 브랜드 : 가격이 가장 착하지만 수입 브랜드와 비교해서 성능이 검증되었다고 보기 힘들기 때문에 가격대비 성능에서 대만 브랜드보다 낮게 책정했습다. 그렇지만 가격이 워낙 착하고 대부분 국내에서 조립 되기 때문에 고객이 원하는 사양으로 조립이 가능하여 점점 점유율을 높여가고 있습니다. 또한 한국인의 체형에 맞는 작은 다양한 사이즈의 자전거를 판매하고 있다는 것과 국내에 본사가 있어서 AS가 편하다는 것이 장점입니다.
→ 가성비, 가격을 최우선으로 고려하는 분들에게 추천하는 브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