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스 한국사/현대

임시정부, 국민대표회의

Jobs 9 2022. 12. 11. 11:01
반응형

 

● 대한민국 임시 정부 수립

1. 배경

  • 3·1 운동 후 독립운동을 조직적으로 이끌어 갈 지도부의 필요성 대두

 

2. 임시 정부의 수립

정부 명칭 대한 국민 의회 대한민국 임시 정부 한성 정부
위치 블라디보스토크 상하이 서울
설립 시기 1919. 3. 1919. 4. 1919. 4.
정부 수반 대통령 손병희 국무총리 이승만 집정관 총재 이승만
특징 전로 한족회 중앙 총회를 확대 개편 신한 청년당 중심 13도 대표 명의로 수립

 

3. 임시 정부의 통합(1919. 9.)

  • 한성 정부의 정통 계승 → 상하이의 대한민국 임시 정부와 대한 국민 의회 통합 → 상하이에 대한민국 임시 정부 탄생(1919. 9.)
  • 대통령은 이승만, 국무총리는 이동휘로 하는 삼권 분립의 민주 공화 정부 수립

  • 3∙1 운동을 계기로 등장한 여러 임시 정부는 결국 한성 정부의 정통을 계승하면서 상하이의 대한민국 임시 정부로 통합

 

4. 통합 과정의 문제점

  • 임시 정부의 위치를 놓고 외교론자와 무장 투쟁론자 대립

 

 

● 임시 정부의 조직과 활동

1. 중앙 조직

  • 의정원(입법부), 국무원(행정부), 법원(사법부, 2차 개헌시 삭제, 5차 개헌시 부활)

2. 지방 조직 : 연통제와 교통국

  • 연통제:국내 도·군·면에 설치된 비밀 행정 조직망, 군자금 조달·정부 문서와 명령 전달·정보 보고 등의 임무 수행
  • 교통국:통신 기관, 정보의 수집·분석·교환, 군자금 마련, 연락 업무 담당

3. 외교 활동

  • 파리 강화 회의에 파견된 신한 청년당의 김규식을 외무총장으로 임명 → 독립 청원서 제출
  • 외교 위원부 설치:독립 문제에 대한 국제 여론 조성 노력, 워싱턴 회의·국제 연맹·극동 인민 대표 회의 등에 독립 지원 호소

4. 문화 활동

  • 독립신문 발행, 사료 편찬소를 두어 한·일 관계 사료집 발간

5. 군사 활동

  • 군무부 설치, 직할 부대 편성(광복군 사령부, 광복군 총영, 육군 주만 참의부), 군부부 산하에 서로 군정서, 북로 군정서 등을 편재

 

 

● 국민대표 회의 개최

1. 배경

  • 연통제와 교통국 붕괴(1921), 외교 활동의 성과 미약 → 신채호, 박용만 등이 이승만의 위임 통치 청원 제출 사실을 들어 임시 정부 해산과 국민대표 회의 소집 요구

2. 국민대표 회의(1923) : 창조파와 개조파의 대립

구분 주장 대표자
창조파 임시 정부 해산 → 새 정부 수립, 무력 항쟁 강조 신채호, 박용만, 신숙
개조파 임시 정부를 개편하여 존속, 실력 양성과 외교 강조 안창호
현상 유지파 임시 정부 유지(국민대표 회의 자체 반대) 김구

 

3. 결과

  • 개조파가 대회에서 탈퇴하여 회의 결렬 → 국민대표 회의의 결과에 실망한 많은 민족 운동가들이 임시 정부에서 이탈 → 임시 정부 침체

4. 임시 정부의 개편

  • 이승만 탄핵(1925), 구미 위원부 폐지, 박은식을 2대 대통령으로 추대 → 대통령제를 내각 중심의 국무령제로 개편(1925) → 집단 지도 체제로 개헌(1927)

  • 국민대표 회의가 결렬된 후 임시 정부의 위상은 크게 위축되었다가 1940년 충칭에 자리를 잡으면서 다시 활발한 활동을 하게 되었음

 





 Q  
다음 발의로 개최된 ㉠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베이징 방면의 인사는 분열을 통탄하며 통일을 촉진하는 단체를 출현시키고 상하이 일대의 인사는 이를 고려하여 개혁을 제창하고 있다. …(중략)… 근본적 대해결로써 통일적 재조를 꾀하여 독립운동의 신국면을 타개하려고 함에는 다만 민의뿐이므로 이에 ㉠ 의 소집을 제창한다.


① 창조파와 개조파 등의 주장이 대립되었다.  
② 한국국민당을 통한 정당정치 실시가 결정되었다.  
③ 삼균주의를 바탕으로 한 건국강령이 채택되었다.  
④ 파리강화회의에 김규식을 파견하는 것이 논의되었다.  

【해설】 정답 ① 
내용은 1920년 초반에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관련된 것이다. 3.1 운동이후 임시정부가 수립되었지만 여기에는 일제로부터 독립을 해야 한다는 것은 모두가 한마음이지만, 그 방법에 있어 노선의 차이가 있었다.따라서 창조파 개조파, 중도파 등 많은 갈등이 있었다. 
임시정부 초대 대통령 이승만은 위임통치론을 주장하여 임시정부 사람들에게 많은 반발이 있었다. 그리하여 임시정부의 나아갈 길을 모색하기 위해 1923년 국민대표회의가 소집된 것이다.
여기서 ㉠은 1923의 국민대표회의 
* 위임통치론:이승만은 국제기구 또는 미국이 한반도를 통치하여 달라는 것이다. 이는 당시 많은 약소국이 독립국가로 되는 하나의 과정 중 하나로 꼭 필요하다고 주장하였고, 실제 1차 세계대전 이후 많은 약소국이 이러한 형식으로 하다가 독립국으로 나아갔다. 그러나 많은 임시정부 지도자는 이는 일제에서 미국으로 그 대상만 바뀔 뿐 아무런 의미가 없다고 하였다. 우리의 손으로 직접 독립을 꿈을 꾸었던 것이다.
* 일명 베이징파(창조파) : 창조파는 이승만과 그의 외교노선을 배격하면서 기본적으로 임정의 역할과 위치를 부정하는 입장이었다. 이들은 주로 베이징·노령 지역에 기반을 둔 신숙·문창범· 윤해 등이 중심인물이었다.
* 일명 상해파(개조파) : 여운형·김동삼·안창호 등 임정의 정통성을 인정한 개조파의 대부분은 상하이와 만주 지역을 기반으로 삼고 있었다.
임정의 수립 
 3,1운동 이후 독립 운동의 구심체 역할을 할 수 있는 단체의 필요성 자각 

✽ 블라디보스토크 ; 대한국민의회(최초)<-전노한족회 중앙총회(1917) 
대통령 손병희 국무총리 이승만 
✽ 상하이 : 대한민국 임시정부<-신한청년당(1918) 
국무총리 이승만 
✽ 국내 : 한성정부 : 13도 대표 국민대회 개최 
집정관 총재 이승만 국무총리 이동휘 

✽✽✽ 3개 통합 -대한민국 임시정부 
민주공화정의 정통성 확립 : 한성정부의 법통을 계승 
대한국민의회의 헌법을 계승 
위치는 상하이 대한민국임시정부 계승 
위치 논란 : 독립운동의 방략의 차이(외교,무장투쟁)




 Q 
 다음 사건들이 일어난 시기를 <보기>에서 고르면?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노선과 활동을 재평가하고 분열된 독립운동 전선을 통일하기 위해 상하이에서 국민대표회의가 소집되었다. 그러나 이 모임에서 임시 정부의 조직만 개조하자는 개조파와 완전히 해체한 후 새 정부를 구성하자는 창조파 등이 팽팽하게 맞섰다. 그 후 헌법을 개정하여 국무령 중심의 의원내각제로 바꾸고, 박은식을 제2대 대통령으로, 이상룡을 국무령으로 추대하였다.

<보  기>

 

① (가) ② (나) ③ (다) ④ (라) 

 【해설】 정답 ② 
국민대표회의는 1923년(나)에 소집, 이후 1925년에 국무령 중심의 내각책임제를 골자로 한 2차 개헌 
이팔잃구 삼일일군 제 암 있나 임시일꾼 1919 어린이이 민립이니 안창둘둘 1922 
봉오리빵 청산리빵 조동둘똥 산미 둔방 1920 지진틈새 암태이상 조선혁명드세 
삼봉춘천경유시3미운동 창조개조파 이상대립 형평이상 1923 
청산리고등어천백원 광수뜨네 1924 
자유21 1921 카프리오 치안이다 미쓰리오 편수회들다 신민부들다1925




 Q 
 다음 사건 이후 전개된 대한민국임시정부의 활동으로 옳은 것은? 

대한민국임시정부는 충칭에서 광복군을 창립하였다. 총사령관에는 지청천, 참모장에는 이범석이 임명되었다. 


① 건국강령을 공포하였다. 
② 국무령 중심의 내각책임제를 채택하였다. 
③ 구미위원부를 설치하였다.
④ 국민대표회의를 소집하였다.
⑤ 기관지로 독립신문을 창간하였다.

【해설】 정답 ① 
1940년에 광복군이 창립. 건국강령은 1941년에 공포. 
② 1925년, ③ 1919년, ④ 1923년, ⑤ 1919년의 사실.

 

 

잡스9급 PDF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유튜브 강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