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학

기능이론, 구조기능이론(structural functional theory), 합의이론(consensus theory), 질서모형(order model), 평형모형(equilibrium model)

Jobs 9 2020. 11. 22. 21:05
반응형

1. 기능이론의 의의

1) 기능이론의 명칭 : 기능이론 이외에 구조기능이론(structural functional theory), 합의이론(consensus theory), 질서모형(order model), 평형모형(equilibrium model)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2) 기능주의의 전개

① 기능이론은 사회학의 아버지로 불리우는 꽁트(A. Comte)와 사회유기체설을 주장한 스펜서(H. Spencer)에 의하여 기초가 형성된 뒤에 뒤르껨(Drukheim), 이태리의 사회학자 빠레토(V. Pareto), 인류학자 마리노우스키(B. Malinowski) 등에 의해 다양하게 발전되었다.

② 기능이론은 파슨스(Talcott Parsons)에 이르러 매우 포괄적인 사회학이론으로 정립되었다.

③ 뒤르껨과 파슨스의 지적 전통은 드리븐(Dreeben), 하그리브스(D. Hargreaves) 등의 연구로 이어졌으며, 1960년대 이후에는 기능이론에 토대를 둔 기술기능이론, 인간자본론, 근대화론 등이 하위이론으로 등장하였다.

 

 

2. 기능주의의 사회이론

- 사회가 유기체와 같다고 보는 기능주의는 다음과 같은 가정에 근거하고 있다.

1) 부분은 전체의 유지에 기여 : 사회의 각 부분은 전체의 존속을 위해 필요한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며, 그렇게 함으로써 자체의 생존도 보장받는다.

2) 부분간의 상호의존성 : 사회의 각 부분은 상호의존적이며, 한 요소의 변화는 다른 요소 및 전체의 변화를 초래한다.

3) 안정성 : 사회는 항상 안정을 유지하려는 속성을 지니고 있으며, 어떤 충격에 의하여 안정이 깨뜨려지면 이를 회복하기 위해 노력한다. 따라서 급진적이거나 갑작스러운 변화에 반대한다.

4) 합의 : 사회의 유지와 안정에 관계되는 중요한 가치나 신념체계에 대해 기본적으로 합의가 이루어져 있다.

5) 부분간 우열은 없다 : 사회를 구성하는 각 부분간에는 우열이 있을 수 없으며, 각기 수행하는 기능상의 차이만 있을 뿐이다.

6) 사회계층은 차등적 보상의 결과 : 따라서 사회계층은 기능의 차이에 바탕을 둔 차등적 보상체제의 결과일 뿐이다.

7) 각 부분의 자율성 : 사회의 각 부분은 자율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교육 또한 독립적이고 자율적이다.

 

3. 기능이론의 교육관

1) 교육의 사회적 기능 : 교육은 사회화와 선발을 통해 사회의 유지와 발전에 기여한다.

2) 사회화의 기능

① 사회화란 개인이 사회적 존재로 살아가는데 필요한 지식과 기능, 및 사회적 규범을 개인에게 내면화시키는 것을 말한다.

② 사회화는 개인이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회의 유지와 발전에 기여한다.

3) 선발의 기능

① 학습자에 대한 진단기능 : 선발은 학생들을 능력의 종류와 수준에 따라 분류함으로써 학습자에 대한 진단기능을 한다.

② 직업세계에 대한 분류 기능 : 학교는 선발을 통해 학생들의 능력에 따라 다른 교육적 경험을 부여하고 이를 토대로 사회진출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직업세계가 필요로 하는 사람들을 분류하는 여과기능을 한다.

③ 개인적 능력의 극대화 : 선발은 능력과 성취에 따라 사회적 지위와 소득을 배분함으로써 개인적으로는 능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하며, 이를 통해 사회의 평등에 기여한다.

④ 인력활용의 극대화 : 선발은 사회적 성취에 따라 사회경제적 지위를 배분함으로써 사회적으로는 인력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게 해준다.

 

4. 능력주의

1) 능력주의란 사회적 지위와 소득 배분의 기준을 개인의 능력과 성취에 두는 원리를 말하는 것으로 ‘업적주의’라고도 한다.

2) 이는 개인의 신분과 계급에 따라 지위가 배분되던 중세의 ‘귀속주의’의 대안으로 제시된 것이다.

3) 기능이론은 개인의 신분이 아니라 능력과 업적에 따라 교육의 기회와 사회적 신분이 제공되는 능력주의(업적주의)를 정당한 것으로 본다.

4) 따라서 능력의 차이에 따라 차등적 보상이 주어지고 이의 결과로 사회계층이 분화되는 것을 정당한 것으로 여긴다.

 

5. 기능이론에 대한 비판

1) 교육의 규격화․획일화 초래 : 사회에는 성질이 상반되는 가치들이 존재하는 데도, 기능이론은 사회의 가치에 대해 합의가 이루어져 있다고 가정함으로써 학교교육의 규격화와 획일화를 부채질하였다.

2) 기존질서의 정당화 : 기능이론은 교육의 순기능에만 지나치게 치중하고 역기능에는 거의 주의를 기울이지 않아, 결과적으로 기존질서를 정당화하는 데 기여했다.

3) 거시적 입장에만 치중 : 기능이론은 거시적 입장에서만 사회와 교육을 파악하여, 사회가 그 속에 살고 있는 인간을 지배한다고 본다. 그래서 교육활동에 참여하는 행위자에 의해 교육의 성격이 변화될 수 있음을 무시하고 있다.

6. 신기능이론

1) 기능이론의 근본적인 결점을 극복하고자 제기된 것으로 알렉산더(Alexander)가 대표적인 인물이다.

2) 신기능주의는 사회기능의 분화를 사회유지와 발전의 입장에서 긍정적인 것으로 판단했던 기능주의와는 달리 분화된 구조가 더 효율적이라는 가정을 거부한다.

3) 그리고 교육구조를 만드는데 있어 집단간의 합의를 전제했던 기능주의와는 달리 집단간의 갈등이 존재하고 있음을 인정한다.

4) 신기능이론은 교육팽창을 생태학적 세계체제 이론의 관점에서 국제경쟁에 대한 각 사회의 적응과정으로 해석한다. 신기능주의의 이러한 설명방식은 세계화시대의 교육현상 설명에 유용할 것으로 보인다.



공무원 두문자 암기

스마트폰 공무원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