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스 한국사/조선

군사제도 정리-삼국, 남북국, 고려, 조선 전기, 조선 후기

Jobs 9 2024. 12. 12. 16:14
반응형

● 군사제도

  삼국 남북국 고려 조선 전기 조선 후기
원칙

특징
1)국민개병제
2)국왕이 군사지휘권의
행사(일원적 통치체제)
‧국민개병제 1)국민개병제
2)이원조직
1)양인개병제(현직관리와 학생만 면제,종친,외척,
공신․고급관리의 자제는 고급 특수군에 편입)
2)노비는 원칙적으로 군역의 의무가 없었으나
필요에 따라서 특수군으로 편제
1)모병제,상비군,용병제(직업군인)
2)양인개병제,농병일치제의 붕괴(16세기이후)

중앙군 1)고구려
:대모달,말객 등이 지휘


2)백제
:각 부에 500명의 배치


3)신라
①사자대:특수부대
②위병:수도의 방위
③서당:모병

1)통‧신:9서당(신문왕)
①구성:고구려+백제+신라
+보덕국+말갈족
②특징:이민족의 포함
③목적
㉠민족융합
㉡피지배층의 회유․견제
2)발해:10위
-대장군,장군이 지휘
‧2군 6위
①구성
㉠2군:국왕의 친위부대
㉡6위
-수도의 경비,국경의 방어
-상장군,대장군이 지휘
②자손에게 역의 세습,정치적 성격
③직업군인,군인전의 지급
④무신으로의 신분 상승이 가능
⑤공사에 동원,군인전의 미지급→ 몰락,도망→일반 농민군으로 충원
⑥결원 때 향리,농민,천민,한인의
자제로 보충
*중방
①무관의 합좌기관
→무신정변 이후 권력의 중추기구
②2군 6위의 상․대장군이 참여
1)5위
①문반관료가 지휘 책임
②구성
㉠갑사:간단한 시험으로 선발,직업군인
㉡정군:의무병,5위의 중심
2)특수병


※군역의 편성
1)정군(정병)
①의무병,현역군인,교대로 복무
②서울에서 근무,국경 요충지에 배속
③품계와 녹봉을 받기도 함
2)보인(봉족):정군의 비용 부담
‧5군영
①배경
㉠대립제의 일반화(16세기 이후)
㉡임진왜란의 초기 패전→새로운 군대의 필요성 절감
②성격
㉠일률적으로 편성된 것이 아님(상비병,정군의 번상)
㉡임기응변으로 설치,서인정권의 군사적 기반으로 설치
③구분
㉠훈련도감(1593)
ⓐ왜진왜란 중에 유성룡의 건의로 기효신서를 참조하여 설치
ⓑ중앙의 핵심군영
삼수병으로 편성
-기존의 사수(활),살수(창) 외에 포수(조총으로 무장)를 만듬
-일정한 급료(군포,삼수미세:1결당2.2두)를 받는 상비군
-직업군인(장번급료병)의 성격
㉡총융청(인조,1624):이괄의 난을 계기로 북한산성에 설치
→서울, 경기의 경비 강화
㉢수어청(인조,1626)):남한산성에 설치
→광주와 부근의 제진 정비
㉣어영청(효종,1652):북벌계획에 의해 설치, 정군이 교대로 번상
㉤금위영(숙종,1682)
ⓐ도성의 수비를 위해 정병(기병)과 훈련도감군의 일부를
주축으로 설치
ⓑ어영청과 함께 기병과 보병으로 구성,번상병
지방군 1)백제:방령이 700~1200
명을 지휘
2)신라:정(6정)
①부족적 전통
②군주가 통솔
1)통‧신:10정
①각 주에 1정,한산주에 2정
②골래근정(여주),남천정(이천),
거사물정(임실),미다부리정(나주),
고량부리정(청양),벌력천정(홍천),
이화혜정(청송),삼량화정(달성),
소삼정(함안),음리화정(상주)
2)발해
①농병일치,촌락단위로 조직
②지방관이 지휘
1)주현군(5도)
①정용군,보승군,일품군
②자기의 토지 경작,노역에 동원
③외적의 방어,치안의 유지
2)주진군(양계)
①초군,좌군,우군
②국경의 수비 전담
③도령이 최고 지휘관
3)특징:국방적 성격,의무병
‧영진군
①육군(병영)과 수군(수영)으로 구분
→영, 진에 소속되어 복무
②수군은 힘들고 위험하여 기피
③정군을 기간으로 편성
④일부는 교대로 수도에 복무
→중앙군과 지방군의 교류 가능
⑤지방관이 군사지휘권의 행사
(관찰사:병마․수군절도사의 겸임)

‧속오군
①양반부터 노비까지 편제
→양반이 노비와 함께 편제되는 것을 회피(상민과 노비만 남음)
②경비를 자비로 충당
③신분제의 동요
④농민의 포함→농민의 부담 증가
⑤평상시에는 생업에 종사,적이 침입해 오면 전투에 동원
⑥중앙군에 편입되는 경우도 있음(총융청,수어청)
특수군   1)5주서
2)만보당
1)광군(정종):거란족의 방어
2)별무반(윤관):여진족의 정벌
3)삼별초(최우):최씨정권의 사병
4)연호군:양천혼성부대,농민의 포함
‧잡색군
①예비군의 일종→유사시에 향토방위
②서리,잡학인,신량역천인,노비 등이 소속
(농민은 제외)
 
방위
체제
   

※ 조선전기:교통․통신체계과
아울러 정비→국방과 중앙집권적
행정운영이 수월함
1)봉수제의 정비:군사적인
위급사태의 전달
2)역참의 설치:물자수송과 통신을
위함

1)진관체제(세조 이후)
┊①전국의 군현을 지역단위의 방위체제로 편성
┊②병영(병사가 지휘)→거진(수령이 통제)
┊③대단위 외적의 침입시 방어에 불합리
⇣④행정와 군사의 일원화
2)제승방략체제(16세기 후반) ┈┈┈┈┈┈
①필요한 방어지역에 각 지역의 병력 집결
②중앙에서 파견된 장수가 지휘
③임진왜란 중에 효과를 거두지 못함










⇢진관의 복구
→속오법에 따라 군대를 편제하는 속오군체제의 정비

 

 


 Q  군사제도가 실시된 시기순으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중앙   지방
㉠  9서당   10정
㉡  5위      진관체제
㉢  5군영   속오군
㉣  2군과 6위  주현군과 주진군


① ㉠ → ㉡ → ㉢ → ㉣  ② ㉠ → ㉣ → ㉡ → ㉢
③ ㉡ → ㉠ → ㉢ → ㉣  ④ ㉡ → ㉣ → ㉠ → ㉢ 

【해설】 정답 ②
㉠ 통일 신라 → ㉣ 고려 → ㉡ 조선 전기 → ㉢ 조선 후기

 

PDF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유튜브 강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