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 과학 Natural Science/생명 Life sciences

광합성, 엽록체, 암반응 ,캘빈 회로, 명반응

Jobs9 2024. 5. 7. 16:52
반응형

광합성

 

光合,光合作用, Photosynthesis
광합성은 생물이 빛을 이용하여 양분을 스스로 만드는 과정으로, 물과 이산화탄소를 재료로 포도당과 산소를 생성한다.

암반응 (캘빈 회로

⑴ 개요

① 광합성 생물 : 박테리아, 조류, 식물에 해당

○ 종류 1. 박테리아 : 홍세균, 황세균, 남세균

○ 종류 1-1. 홍세균

○ 870 nm 파장 흡수. 광계 1개

○ 순환적 광인산화 only

○ H2S가 전자 공여

○ 역전자전달 ( 집광을 하지 못함)

○ 종류 1-2. 황세균

○ 840 nm 파장 흡수. 광계 2개

○ 순환적 광인산화 + 원시적 비순환적 광인산화

○ H2S가 전자공여

○ 종류 1-3. 남세균 : 엽록체의 조상

○ 670 nm 파장 흡수. 광계 2개

○ 순환적 광인산화 + 비순환적 광인산화

○ H2O가 전자공여

○ 종류 2. 조류

○ 홍조류 : 엽록소 a, d

○ 규조류 : 엽록소 a, c

○ 갈조류 : 엽록소 a, c

○ 녹조류 : 엽록소 a, b

○ 종류 3. 선태식물, 양치식물, 겉씨식물, 속씨식물

○ 선태식물 : 물질교환을 확산으로 함, 엽록소 a, b

○ 양치식물, 겉씨식물, 속씨식물 : 엽록소 a, b

○ 음지식물 : 카로티노이드계 색소가 없음

 

② 반응식 : 6 CO2 + 12 H2O + 빛 → 포도당(C6H12O6)+ 6O2 + 6H2O (ΔG = 686 kcal / mol)

○ 세포호흡의 반대 결과를 달성

○ 광합성 반응식의 추적

 

광합성 반응을 방사성 동위원소로 표지한 실험 결과

 

 

○ 닐의 연구 : 황세균을 이용하여 광합성 산물인 산소의 기원이 물임을 밝혀냄

○ 루벤의 연구 : 방사성 동위원소 18O를 이용하여 닐의 가설을 증명

 

③ 광합성 실험

○ 엥겔만(Engelmann) 실험

○ 해캄과 호기성 세균을 이용한 광합성 효율 실험

○ 엽록소는 400 ~ 500 nm 파장과 600 ~ 700 nm 파장의 빛을 잘 흡수하나 500 ~ 600 nm 파장의 빛은 아님

○ 즉, 청자색과 적황색 파장의 빛에서 광합성이 효율적으로 일어남

○ Emerson experiment - Emerson red drop

○ 파장 대 양자 수율에 대한 그래프를 제시

○ 양자수율 : 흡수 스펙트럼과 광합성 효율에 대한 함수

○ 흡수 스펙트럼이 680 nm에서 피크이고 700 nm 이후 급감 : 광계 Ⅱ가 작동하지 않아 광합성 효율이 감소해서

○ Emerson experiment - Emerson enhancement effect

○ Duysens' experiment

○ 벤슨의 실험

 

④ 광합성 원리

○ CO2와 O2는 기공을 통해서 운반

○ 명반응(광의존성 반응)

○ 빛 에너지를 이용하여 전자전달

○ 환원반응 : NADP+ → NADPH, ADP → ATP

○ 물 분해, 산소 방출

○ 암반응(광비의존성 반응)

○ CO2를 환원하여 C6H12O6을 생성

○ 산화반응 : NADPH → NADP+, ATP → ADP

 

⑤ 광합성 요인

○ 최소량의 법칙

○ 식물의 성장은 넘치는 것이 아니라 가장 부족한 필수 영양소에 의해 좌우된다는 법칙

○ 1840년 독일의 식물학자 유스투스 리비히가 주장

○ 종속변인 : CO2

○ 조작변인 1. 빛 : 광포화점 有

 

빛의 세기와 광합성

 

○ 순광합성량 : 외관상 광합성량

○ 총광합성량 : 실제 광합성에 사용된 모든 CO2 양

○ 호흡량 = 총광합성량 - 순광합성량

○ 보상점(B) : 총광합성량과 호흡량이 같아질 때의 빛의 세기

○ 광포화점(D) : 광합성량이 최대가 되기 시작하는 빛의 세기

○ 양지식물은 더 크고 물질대사가 활발하므로 음지식물보다 광포화점과 보상점이 높음

○ 양지식물은 카로티노이드가 있어 광포화점이 큼

○ 조작변인 2. 온도 : 최적온도 有

 

⑵ 엽록체

엽록체(葉綠體, chloroplast)는 진핵생물에서 광합성을 하는 세포 소기관

 

⑶ 색소

① 광합성 색소 분리 실험 : 종이 크로마토그래피 (톨루엔 용매)

② 엽록소 : 엽록소 a와 엽록소 b로 구분, 적색광과 청색광 흡수

○ 포르피린 고리

○ 방향족성이 있어 색소로 기능

○ 구조 마그네슘 보결족 + 테트라피롤(pyrrole) + 피톨

○ 탄화수소 꼬리(피톨) : 엽록체의 틸라코이드막 내에 위치하는 단백질(광계 등)의 소수성 부분과 상호작용 

○ 엽록소 a : 메틸기

○ 엽록소 b : 알데히드기

③ 카로티노이드 : 보조색소. 녹색광 흡수. 엽록소보다 광합성 효율은 떨어짐. 양지식물에게만 존재

○ 기능 1. 스펙트럼 확장

○ 기능 2. 강한 빛으로부터 광합성 기구 보호

○ β-카로틴 : 카로티노이드의 한 종류

○ 400 ~ 500 nm의 빛을 주로 흡수하지만 녹색광도 흡수

○ 비타민 A로 전환 가능 

○ 비타민 A의 유도체인 레티날은 망막의 간상체와 추상체에서 시각 색소의 구성 성분으로 이용 

④ 크산토필

⑤ 피코빌린 : 홍세균(870 nm), 황세균(840 nm), 남세균(670 nm)의 색소 분자

 

⑷ 광계

① 반응중심 : 틸라코이드막에서 빛에너지가 화학에너지로 바뀌는 장소

○ 엽록소 a 2개, 1차 전자수용체, 단백질 등으로 구성

○ 광계 Ⅰ : 700 nm 파장을 흡수. 스트로마에 노출되어 역사적으로 먼저 발견

○ 광계 Ⅱ : 680 nm의 파장을 흡수. 스트로마로부터 가려져 역사적으로 늦게 발견

○ 엽록소 a가 충분한 에너지 흡수 → 들뜬 전자의 궤도 이탈 → 고에너지 전자는 전자전달계로 전달

② 집광복합체(안테나) : 반응중심 주변부, 엽록소 a, 엽록소 b, 카로티노이드, 크산토필 등 존재

 

⑸ 명반응 : 엽록소 분자로 덮인 원반형 막 구조인 틸라코이드(thylakoid) 막에서 일어난다.

① 1st. 안테나 : 광자는 색소 분자에 흡수되고 RET(resonance energy transfer)에 의해 인접 색소분자로 광자 이동

○ RET : 두 분자가 가까이 붙어 있으면 형광 기작이 아닌 보다 직접적인 방법으로 광자가 전달되는 현상

② 2nd. 반응중심 : 전자는 색소 분자로 옮겨 다니다가 광계 Ⅱ의 P680 또는 광계 Ⅰ의 P700으로 이동

○ P680은 680 nm에서 최대 흡광도를, P700은 700 nm에서 최대 흡광도를 보임

③ 3rd. 광계 Ⅱ의 P680이 P680+로 산화돼 1차 전자 수용체(primary acceptor)로 전달

○ 1차 전자 수용체를 페오피틴(pheophytin)이라고도 함

○ P680+은 지구상에서 가장 강한 산화제

④ 4th. P680은 페오피틴의 중심에 Mn이 있는 구조로, 산화된 P680+는 H2O을 산화시켜 전자를 획득 (O2 생성)

○ 물의 광분해는 틸라코이드 내부에서 일어남

 

페오피틴과 물의 광분해

 

⑤ 5th. 1차 전자 수용체로 이동한 전자는 PQ(plastoquinone), ATP 합성효소(cytochrome b0f complex, CF0CF1 complex), PC(plasto cyanine)를 거쳐 P700에 도달 

○ 이 과정에서 3H+가 이동하여 1 ATP 생성

○ ATP 합성효소는 양성자의 촉진확산을 수행하는 CF0 채널과 ATP 합성효소를 포함하는 CF1으로 구성되어 미토콘드리아의 F0F1과 같은 화학삼투 인산화 방법으로 ATP 생성

 

CF 0 CF 1   complex의 구조

 

 

⑥ 6th. ②와 ⑤에 의해 전자를 받은 P700은 들뜬 상태인 P700*가 됨, 그 뒤 전자는 1차 전자 수용체(primary accepter)로 전달

○ 1차 전자 수용체를 필로퀴논(phylloquinone)이라고도 함

○ P700*는 세상에서 가장 강한 환원제

⑦ 7th. 전자가 필로퀴논에서 페레독신(ferredoxin)으로 전달

⑧ 8th - 1st. 순환적 광인산화 : 전자가 페레독신에서 시토크롬 복합체로 이동하는 경우. 1 ATP 생성

○ 산물 : ATP

⑨ 8th - 2nd. 비순환적 광인산화 : 페레독신은 ferredoxin-NADP+로 전자 전달

○ ferredoxin-NADP+의 환원작용으로 인해 1 ATP + 1 NADPH 생성

○ 산물 : ATP, NADPH, O2

○ NADP+가 최종 전자수용체

 

순환적 광인산화, 비순환적 광인산화

 

 

명반응의 표준환원전위

 

 ⑨ 억제제

○ 광계 Ⅰ 억제제 : 파라쿼트

○ 광계 Ⅱ 억제제 : DCMU

 

⑹ 암반응 (캘빈 회로, Calvin Cycle)

① 스트로마 : 엽록체의 기질. 암반응 장소

○ 포도당으로 설탕을 합성하는 반응은 세포질에서 일어남

② 캘빈회로(Calvin Cycle) : ATP와 NADPH를 사용하여 CO2를 환원하여 탄수화물 합성 (12 NADPH, 18 ATP)

○ 포도당 신생합성 과정의 일부를 진행 : 3PGA → 1,3-BPG → G3P

 

캘빈회로 PGA는 3PG, DPGA는 1,3-BPG, PGAL은 G3P로 이해

 

③ Rubisco(ribulose-1,5-bisphosphate carboxylase oxygenase)

○ 잎 전체 단백질의 50%, 지구상에 가장 풍부한 단백질

○ 이산화탄소  카르복실화 효소 작용, 산소  산소화 효소 작용

④ G3P : 스트로마에서 녹말이 되거나 엽육세포 세포질에서 sugar가 됨

⑤ 암반응 효소들은 광조건에서 더 효율적으로 기능

○ Rubisco

○광조건 → 스트로마 알칼리화 → 루비스코 활성 증가

○ 명반응으로 인한 pH 변화가 틸라코이드 내강에 저장된 Mg2+를 스트로마로 이동 → Rubisco 활성화

 

⑺ C3, C4 및 CAM 식물

① C3 식물 : 일반적인 식물(예 : 장미, 벼 등 대부분의 온대식물)

○ 최초 탄소고정 산물 : 3-PGA (3C)

○ 높은 온도에서의 반응

○ 공변세포 : 기공의 개폐 조절과 증산작용

○ 열린 기공 : 이산화탄소 확보 가능, 물 손실

○ 온도↑ → 기공닫힘 → CO2 부족 → 광합성률 감소

○ 온도  기공 닫힘 → CO2 부족 → 산소과다로 광호흡 발생

② 광호흡(Photorespiration)

 

광호흡

 

○ 루비스코는 이산화탄소를 기질로 할 수도 있고, 산소를 기질로 할 수도 있음

○ Rubisco가 산소화효소로 작용

○ 1st. RuBP + O2 → 3PG + 글리콜산(2C)

○ 2nd. 3PG + 글리콜산(2C) + ATP  RuBP + CO2

○ 글리콜산은 분해되어 탄소원을 잃어버림

○ 광호흡 과정에서 엽록체, 퍼옥시좀, 미토콘드리아가 관여

○ 광호흡은 에너지를 사용하므로, 광호흡 환경(높은 온도)에서 순환적 광인산화 우세

○ 글리신세린이 중간체로 관여

③ C4 식물 : 열대·아열대 식물(예 : 옥수수, 사탕수수, 수수 등 열대식물)

○ 광계 Ⅱ가 없음 : 정확하게는 엽육세포는 광계 Ⅰ, Ⅱ가 있으나 유관속 초 세포는 광계 Ⅰ만 있음 (ref)

○ 오직 순환적 광인산화, 보상점 낮음, 탄소고정이 공간적으로 분리

○ 크란츠 구조(Krantz anatomy) : 유관속 초 세포가 유관속을 둘러싸고, 엽육세포가 다시 그 주위를 둘러싸는 구조

○ 1st. 기공이 거의 닫힌 상태, 기공 인접 세포(엽육세포, mesophyll)에서 CO2에 친화력이 큰 PEP에 탄소고정

○ C4 식물의 엽육세포는 엽록체가 없음

○ 2nd. PEP 카르복실화효소가 PEP(3C)에 CO2를 결합  옥살로아세트산(OAA, 4C) 생산. 최초 탄소고정 산물

 PEP 카르복실화효소는 루비스코보다 이산화탄소 친화력이 높음

○ PEP 카르복실화효소는 유관속 초 세포에 존재하지 않음

○ PEP 카르복실화효소(PEP carboxykinase)

○ 3rd. 옥살로아세트산이 환원된 말산(4C)은 심부(유관속 초 세포, bundle-sheath cell)로 이동 후 CO2 방출

○ 4th. 유관속 초 세포 내 Rubisco는 공급받은 이산화탄소 및 스트로마 내 옥살로아세트산과 함께 켈빈회로

○ Rubisco는 엽육세포에 존재하지 않음

○ 5th. CO2를 방출한 말산은 다시 NADPH를 생성하며 피루브산(3C) 생성 : 광계 Ⅱ가 없어도 되는 이유

○ 6th. 피루브산은 ATP를 사용하여 PEP 생성

○ 7th. PEP는 엽육세포로 이동

○ 다른 경로 : 옥살로아세트산이 말산이 아니라 아스파르트산을 경유

④ CAM 식물 : 초고온·건조 환경의 식물, 다육식물(예 : 돌나무, 선인장, 파인애플 등 사막식물)

○ 광계 Ⅱ가 있으나 광호흡이 잘 일어나는 조건에서 광계 Ⅱ의 활성이 감소함 (ref)

○ 오직 순환적 광인산화, 보상점 낮음, 탄소고정이 시간적으로 분리

○ 1st. 낮에는 기공을 완전히 닫아 수분 보존, 암반응도 일어나나 효율이 떨어짐

○ 2nd. 밤에 기공을 열어 C4 회로에서 CO2를 말산으로 생산

○ 2nd - 1st. PEP 카르복실화효소가 PEP에 CO2를 결합하여 옥살로아세트산 생산. 최초 탄소고정 산물

○ 2nd - 2nd. 옥살로아세트산은 말산으로 환원

○ PEP 카르복실화효소(PEP carboxykinase)

○ 3rd. 생산된 말산은 액포에 저장

○ 4th. 낮 동안 말산을 분해하여 얻은 CO2로 캘빈 회로 작동

○ 4th - 1st. 말산 → CO2 + NADPH + 피루브산(3C)

○ 4th - 2nd. 피루브산(3C)은 ATP를 사용하여 PEP가 되거나 TCA 회로에 사용되어 ATP 생산

○ 4th - 3rd. CO2는 스트로마로 이동하여 옥살로아세트산 및 루비스코와 함께 캘빈회로

 

CAM 식물

 

 

⑤ C3, C4, CAM 식물의 비교

  C3 식물 C4 식물 CAM 식물
1차 CO2 수용체 RuBP PEP PEP
CO2 고정효소 rubisco PEP 카르복실화 효소 PEP 카르복실화효소
최소 CO2 산물 3PGA OAA OAA
최초과정 CO2 + H2O + RuBP → 2PGA CO2 + H2O + PEP → OAA
명반응 엽육세포 엽육세포 엽육세포
켈빈-벤슨회로 엽육세포 유관속초세포 엽육세포
CO2 고정장소 엽육세포 엽육세포 엽육세포
CO2 고정시간
광호흡 강함 약함 약함
1g 광합성 시 필요 물의 양 약 500 g 약 300 g 약 50 g

C3, C4, CAM 식물의 비교

 

 

⑻ 지구온난화와 광합성

① 온도 상승은 C3, C4, CAM 식물의 상대적 비율 및 분포에 영향

② 이산화탄소는 현재 광합성이 제거할 수 있는 것보다 더 빠르게 방출

③ 대기에 추가되는 CO2의 25%는 열대 삼림의 남벌(벌목과 화재)이 원인

④ 식목은 도움이 됨; 어린 나무는 늙은 나무보다 순광합성 속도가 빠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