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조선의 역사 : '부준위한' 부왕 → 준왕(기자조선) → 위만 → 한침공, 한4군 설치 |
연대 암기
고조선 이천상 세상 BC 2333
철은비싸 BC 4세기 400
위만조선 BC 194
예 투항, 창해군 BC 128
사신 섭하 살해 BC 111
고조선멸망 백팔번뇌 BC 108
두문자 암기
● 고조선 세력범위 - 송파 거북(이)
송 미송리식 토기
파 비파형 동검
거 거친무늬 거울
북 북방식 고인돌/돌넘무덤(석관묘)
● 법률8조법 - 살사 상곡 절노
살 살인죄
사 사형
상 상해죄
곡 곡식배상
절 절도죄
노 노비50만 배상
● 고조선 성장과 발전
BC 4~3 C |
|
BC 2 C |
|
BC 108년 |
|
● 고조선 정치와 사회 모습
▶ 정치: 왕 밑에 상, 대부 등의 관직 설치, 군의 우두머리는 장군
▶ 8조의 법: 현재 3개 조항만 전해짐
8조의 법 |
사회 모습 |
|
|
|
|
|
|
● 고조선 문화권
랴오닝 지방을 중심으로 만주와 한반도 서북부 지역까지 진출 → 비파형 동검, 탁자식 고인돌, 미송리식 토기의 분포를 통해 짐작
● 청동기 / 초기철기
청동기
벼농사(잉여 생산물) → 계급 사회 발생 → 고조선 건국
다양한 형태의 지상가옥
선민사상 : 단군 신화 (신앙)
반달돌칼(석기) , 비파형 동검(제사), 민무늬, 미송리식 토기(손잡이),
고인돌(지배계급), 거친무늬 거움
초기 철기
전쟁급증, 철기제작, 고대국가 성립
바위 그림( 고래, 거북이)
울산 반구대, 고령양전동
거푸집, 잔무늬 거울, 세형동검, 널무덤, 독무덤, 명도전(중국과 무역활발)
고조선
삼국유사, 2333년, 단국왕검(제사장, 군장) → 제정일치사회
왕검성, 홍익인간, 삼각교역 ( 고조선 - 한- 진)
8조법, 토테미즘 - 선민사상 - 단군신화
고조선의 역사 : '부준위한'
부왕 → 준왕(기자조선) → 위만 → 한침공, 한4군 설치
Q 다음 역사적 사건을 발생한 순서대로 가장 적절하게 나열한 것은?
㉠ 우거왕이 살해되고, 왕검성이 함락되었다.
㉡ 위만이 고조선의 준왕을 축출하고 스스로 왕이 되었다.
㉢ 한(漢)은 고조선 영토에 네 개의 군현을 설치하였다.
㉣ 예(濊)의 남려가 28만여 명의 주민을 이끌고 한(漢)에 투항하였다.
㉤ 고조선이 군대를 보내 요동도위 섭하를 살해하였다.
① ㉡ → ㉠ → ㉤ → ㉣ → ㉢ ② ㉡ → ㉣ → ㉤ → ㉠ → ㉢
③ ㉡ → ㉤ → ㉣ → ㉠ → ㉢ ④ ㉤ → ㉡ → ㉢ → ㉠ → ㉣
【해설】 정답 ②
㉠ 고조선 멸망은 기원전 108년이다.
㉡ 위만 조선 성립은 기원전 194년이다.
㉢ 한 4군은 고조선 멸망 이후에 설치되었다.
㉣ 예(濊)의 투항과 창해군 설치는 기원전 128년이다.
㉤ 사신 섭하 살해 사건은 기원전 111년이다.
고조선 이천상 세상 BC 2333
철은비싸 BC 4세기 400
위만조선 BC 194
예 투항, 창해군 BC 128
사신 섭하 살해 BC 111
고조선멸망 백팔번뇌 BC 108
한사군
Q 다음 중 고조선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① 중국 측 기록인 '관자'나 '산해경' 등에는 고조선과 관련된 기록이 등장한다.
② '삼국지' <동이전>에 인용된 '위략'에 따르면 연나라가 강성해져 스스로 왕을 칭하자 조선후가 왕을 자칭
하지 않았다는 기록이 있다.
③ 기원전 2세기 초, 위만은 고조선에 망명해 와 있다가 준왕을 몰아내고 왕이 되었다.
④ 위만조선은 기원전 108년 한나라의 침입에 의해 멸망했고, 이 지역에는 한의 군현이 설치되었다.
【해설】 [정답] ②
② 『삼국지』 <동이전>에서 인용된 『위략』에는 연나라가 강성해져 스스로 강해져서 스스로 왕을 칭하자 조선후가
왕을 자칭하였다고 기록되어있다.
[오답 확인]
① 고조선에 대한 중국 측 기록에는 『관자』(기원전 7세기), 『산해경』?『상서대전』(기자동래설), 『사기『(위만과
한사군),『한서지리지』(8조법) 등이 있다.
② 진.한 교체기(기원전 3세기 말)에 연나라 출신의 위만이 무리를 이끌고 고조선으로 이동하였다.
위만은 고조선의 준왕으로부터 서쪽 경계 지역을 얻어서 거주하다가 기원전 2세기 초에 준왕을 내쫒고 고조선의
왕이 되었다(기원전 194년)
③ 위만조선은 선진적 철기 문화를 수용하고 중국의 한과 한반도 남부의 진 사이에서 중계무역의 이득을 취했다.
이에 한의 무제가 고조선을 침략했으나 1차 침략은 고조선이 패수에서 크게 이겼다. 이후 고조선의 지배층은
주화론(니계상 삼, 조선상 역계경 등)과 주전론(우거왕, 대신 성기)으로 분열되어 갈등을 겪다가 니계상 삼이
우거왕을 암살하고 도주하였다. 결국 한의 2차 침략으로 고조선은 기원전 108년에 멸망하였고, 한은 4개의
군현을 설치하였다.
Q (가), (나) 사이의 시기에 고조선에서 있었던 사실로 가장 옳은 것은?
(가)노관이 한을 배반하고 흉노로 도망한 뒤, 연나라 사람 위만도 망명하여 오랑캐 복장을 하고 동쪽으로 패수를 건너 준에게 항복하였다. - 위략 -
(나)원봉 3년 여름(B.C.108), 니계상 삼이 사람을 시켜서 조선왕 우거를 죽이고 항복했다. …… 이로써 드디어 조선을 평정하고 사군을 삼았다. - 사기 조선전 -
①비파형 동검이 제작되기 시작하였다.
②중국 연(燕)의 침략으로 요서 지역을 잃었다.
③8조에 불과하던 법 조항이 60여 조로 늘어났다.
④중국의 한과 한반도 남부의 진국 사이에서 중계 무역을 하였다.
【해설】 정답 ④
자료의 (가)는 위만 집권 전, 위만이 건너오는 내용이고, (나)는 위만조선의 멸망을 나타내는 것이다.
④ 위만조선은 중국의 한과 한반도 남부의 진국 사이에서 중계 무역을 하였다.
① 비파형 동검은 청동기시대이다.
② 위만 조선 전에 고조선 시기, 연나라 진개의 침입을 받았다.
③ 위만조선이 멸망 이후, 한사군 설치 한 후 8조의 법이 60여조로 늘어났다.
Q (가)시기에 고조선에서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① 부왕에 이어 준왕이 왕위에 올랐다.
② 졸본성에서 국내성으로 도읍을 옮겼다.
③ 전국 7웅의 하나인 연(燕)과 대결하였다.
④ 진(辰)과 한(漢)사이의 중계 무역으로 이익을 얻었다.
【해설】 정답 ④
위만조선은 중국의 한과 남방의 진 사이에서 중계무역으로 막대한 이득을 취하였고, 한 무제가 위만조선 침략한 경제적 이유가 된다.
① BC 3세기 일로, 위만 집권 이전이다.
② 고구려 - 유리왕(서기 3년)
③ BC 4세기 연과 요서를 경계로 대결하였고, BC 3세기 연의 진개의 침입이 있었다.
한국사 두문자 암기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