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구분 | 고전학파 모형 | 케인즈 단순모형 |
기본가정 | -세이의 법칙(공급이 수요를 견인) -모든 가격변수가 완전신축적 -완전경쟁시장 |
-유효수요의 원리(수요가 공급을 견인) -물가고정 -불완전경쟁시장 |
노동시장 | -노동수요는 실질임금(w/P)의 함수 -노동공급은 실질임금(w/P)의 함수 -명목임금이 완전신축적 -> 실질임금 불변 |
-노동수요는 실질임금(w/P)의 함수 -노동공급은 명목임금(w)의 함수. 노동자는 명목임금이 인상되면 노동을 공급 -명목임금은 하방경직적 |
소비 | -이자율의 감소함수 C=c0 + c1*Y - c2*r |
-소득의 증가함수: 한계소비성향 |
저축 | -이자율의 증가함수 | -소득의 증가함수 :한계저축성향 |
투자 | -이자율과 반비례 | -이자율과 반비례 |
균형국민소득 결정모형 |
-노동시장:노동수요, 노동공금, 실질임금에 의해 Y는 결정. 기술진보가 이루어지거나 자본량이 증가해야만 국민소득이 증가한다. -대부자금시장:실질이자율에 의해 저축과 투자가 결정됨. 실질이자율은 돈의 가격임. |
-AE=Y(45도 라인) -AE=C+I -C=c(Y) -C+S=C+I |
균형국민소득 | -완전고용산출량에서 수직선 (P, Y 그래프) | -고정된 물가에서 수평선 (물가는 변하지 않고 소비에 의해서 생산이 늘어난다고 봄) |
재정정책 | -정부지출은 이자율 상승으로 인한 구축효과 초래(투자감소, 저축증가)하여 국민소득에 영향을 끼지지 못함 -하지만 실물경제에 영향은 미침(투자감소, 저축증가). 중립성이 아니다. |
-정부의 적극적 개입 필요 -정부승수, 투자승수= 1/1-c(1-t) -조세승수= -c/1-c(1-t) -정부승수+조세승수=1:균형재정승수.정부지출만큼(승수=1)만 국민소득증가 |
정책적 의미 |
-공급능력 증가가 필요 (공급주의 경제학) -저축이 미덕, 적약이 미덕 -투자재원이 부족해서 투자못하는 경우 즉, 개발도상국(developing country) |
-유효수요확대가 필요 -소비가 미덕 -절약의 역설: 절약하면 투자할 돈은 많을 수 있으나 투자해봤자 팔리지 않을 것이므로 투자하지 않는다. (developed country) |
경제상황 |
-공급부족, 수요과잉의 상황 -장기 자연적 수렴 상황(보이지 않는 손) |
-수요침체, 공급여력 남는 상황 (수요침체기에는 물가고정) -단기 경제 침체 상황 |
통화량 |
-화폐의 중립성(neutrality of money) -통화량이 증가하여도 물가만 상승할 뿐(통화주의자) 실질이자율은 변하지 않는다(명목이자율 상승) -실질이자율이 변하지 않으므로 대부자금시장에서 저축, 투자 등이 변하지 않는다. -통화량 증가로 물가가 상승하면 명목임금이 즉각 상승하여 실질임금이 변하지 않으므로 국민소득도 변하지 않는다. |
잡스9급 PDF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