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급과 계층
계급 : 막스, 경제적 요인에 의해 서열화된 위치의 집단(일원론적 관점)
계층 : 베버, 다양한 요인에 의해 서열화되어 있는 집단(다원론적 관점) → 지위 불일치 현상 발생
-
마르크스(Marx, K.)에 의하면, 계급은 주로 경제적 요소(생산 수단의 소유 여부)에 따라 서열화된 위치의 집단을 말하며, 이 집단들은 지배와 피지배의 관계에 있기 때문에 서로 갈등과 대립이 불가피함
-
반면, 베버(Weber, M.)는 사회 계층의 기초로서 계급, 지위, 권력의 세 차원을 고려해야 한다고 보고 있음
▶ 소설 <양반전> 속의 지위 불일치 현상
정선군에 어질고 글 읽는 것을 좋아하는 양반이 살았다. 그러나 이 양반은 몹시 가난하여 해마다 관청의 환곡을 빌려 먹은 것이 천 석(千 石)이나 되어 결국 감옥에 들어가게 되었다. 이때 이러한 사정을 알게된 그 고을의 서민 부자가 양반을 찾아가서 환곡을 대신 갚아주기로 하고 양반을 샀다. 이 사실을 알게된 군수는 고을 백성을 관아에 모아 놓고 군수 자신이 매매 증서를 작성했다. 첫 번째 증서는 '더워도 버선을 벗지 말고 밥을 먹을 땐 맨 상투로 밥상에 앉지 말고 …….' 등 양반으로서 지켜야 할 수많은 행동 지침을 열거한 것이었다. |
-
위 소설에서의 양반의 경우처럼 각 측면의 불평등이 언제나 함께 나타나는 것은 아님
-
양반이기에 사회적 지위는 높으나 경제적 지위가 낮은 이러한 현상을 지위 불일치라 하는데, 그 예로 땅 투기를 하여 벼락부자가 된 사람이 재산은 많지만 사회적 명성을 얻지 못하거나, 청렴한 성직자가 사회에서 존경을 받기는 하지만 부와 권력을 갖지 못한 경우를 들 수 있음
-
한편, 경제적으로 부유한 사람은 가난한 사람보다 정치적·사회적 지위를 높이기에 유리하며, 정치 권력을 가진 사람은 부를 획득하기에 유리할 수 있는데, 이처럼 각 측면의 불평등은 서로 밀접한 관계가 있음
1. 기능론적 관점과 갈등론적 관점
구분 |
기능론적 관점 |
갈등론적 관점 |
계층 발생 원인 |
|
|
사회 불평등에 |
|
|
자원 배분의 |
|
|
|
사회적 희소가치의 차등분배가 사회 불평등의 원인 : 기능론적 관점과 갈등론적 관점이 모두 동의 그러나 기능론적 관점이 희소 자원의 분배 기준이나 절 차가 사회 구성원 전체의 합의에 기초해 이뤄진 것이라고 보는 데 반해, 갈등론적 관점은 특정 집단(여기서 말하는 특정 집단은 소수의 기득권 집단)이 자신들에게 유리하도 록 희소가치의 분배 기준을 설정하고 절차를 조작한 것이라고 본다. |
|
사회 계층 현상의 |
|
|
직업관 |
|
|
|
-
갑은 의사의 진료 행위가 환경 미화원의 청소 업무보다 더 전문 능력이 있어야 하고 중요하므로 더 많은 보상이 주어져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는데 이는 사회 계층 현상을 기능론적 관점에서 바라보는 것임
-
반면, 을은 환경 미화원의 청소 업무가 의사의 진료 행위 못지않게 사회적으로 중요한 기능을 하고 있음에도 낮은 대우를 받는 것은 지배 집단의 가치가 반영되어 있고 불공정한 분배 방식에 따라 이루어진다고 주장하고 있는데 이는 사회 계층 현상을 갈등론적 관점에서 바라보는 것임
2. 기능론, 갈등론의 균형적·비판적 이해
▶ 기능론적 관점과 갈등론적 관점에서 각각 의미 있는 통찰력과 시사점을 찾아 사회 불평등 현상의 개선 방안을 모색해야 함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