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학 문제 해설, 군무원 7급 2022
Q 1. 한 해 동안의 국민소득이 국내총생산(GDP)으로 측정된다고 할 때, 다음의 설명 중 가장 옳지 않은 것은?
① 몇 년 전에 생산된 재고 제품이 올해 판매되는 경우 판매액은 올해 국민소득을 증가시키지 않는다.
② 주식유통시장에서의 주식거래액은 국민소득에 포함되지 않는다.
③ 중간재 생산활동으로부터 발생한 부가가치는 국민소득에 포함되지 않는다.
④ 국내 생산활동에 참여한 외국인 노동자의 소득은 국민소득에 포함된다.
【해설】 정답 ③
① 과거에 생산된 재고 제품이 올해 판매되는 경우 재고투자가 감소하고 그만큼 다른 항목이 증가(해외 수출 등)하여 국민소득은 불변이다.
② 당해 새롭게 생산된 최종재가 아니기 때문에 국민소득에 포함되지 않는다.
③ 중간재의 가치가 포함되지 않는 것이지 중간재 자체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부가가치는 포함된다.
④ GDP는 국민이 아닌 국가를 기준으로 하므로 국내 생산이면 외국인이 했더라도 포함된다.
Q 2. 다음 중 인플레이션이 초래하는 사회적 비용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① 예상된 인플레이션은 메뉴비용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② 구두창비용은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화폐보유량을 줄일수록 더 커진다.
③ 고전학파의 이분법이 성립한다면 인플레이션은 실질소득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④ 예상치 못한 인플레이션은 채권자의 구매력을ㅠ채무자에게로 이전시킨다.
【해설】 정답 ①
① 메뉴비용은 예상된 인플레이션의 경우에도 발생한다.
② 구두창비용은 보유한 화폐의 가치 하락을 피하기 위해 현금 보유를 줄이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거래비용이므로 화폐보유량이 적을수록 거래가 많아지기 때문에 구두창비용도 증가한다.
③ 고전학파의 이분법에 의하면 실질변수와 명목변수는 분리되어 있고, 명목변수는 실질변수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④ 채권채무는 일정 금액으로 나타나는데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면 그 실질가치가 감소하게 되므로 채권자의 구매력을 채무자에게 이전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Q 3. 다음 중 생산과정에서의 기업의 의사결정과관련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① 가격이 평균가변비용보다 크지만 평균비용보다는 작은 경우, 이 기업은 단기적으로 조업을 하며 이때 양(+)의 크기의 이윤이 달성된다.
② 기업의 이윤극대화 조건은 한계수입과 한계비용을 일치시키는 점에서 달성된다.
③ 기업은 생산비용을 극소화하기 위하여 생산요소간 한계기술대체율과 요소비용의 비율을 일치시킨다.
④ 장기평균비용곡선의 각점에서는 그 점에 접하는 단기평균비용곡선이 장기평균비용곡선의 위쪽에 존재한다.
【해설】 정답 ①
① 가격이 평균비용보다 작은 경우 이윤은 음(-)이다.
② 이윤극대화 1계조건은 한계수입과 한계비용이 같아지는 것이다.
③ 비용극소화 1계조건은 한계기술대체율과 요소상대가격이 같아지는 것이다.
④ 장기평균비용곡선은 단기평균비용곡선을 아래에서 감싸는 포락선의 형태를 띠므로 단기평균비용곡선이 항상 위쪽에 위치한다.
Q 4. 인구와 기술수준이 불변인 AK모형이 AK로 주어졌다. 와 는 각각 총생산량과 총자본량이며총소득의60%가저축된다. 감가상각액은 총자본량의 8%이며, 자본의 순한계생산물이 0.12이라면, 1인당 소득 증가율은 얼마인가?
① 2%
② 4%
③ 6.5%
④ 7%
【해설】 정답 ②
Q 5. 요구불예금과 현금통화의 합인 M1(협의통화)을 통화량으로 정의할 때, 통화량대비현금통화 비율은 20%, 요구불예금 대비 법정지급준비율과 초과지급준비율은 각각 15%와 10%이다. 통화량을 25조원 증가시키는 데 필요한 본원통화 증가액은
얼마인가?
① 5조원
② 7.5조원
③ 10조원
④ 12.5조원
【해설】 정답 ③
Q 6. 다음 중 자연독점과 관련된 주장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① 평균비용곡선이 U자 형태가 되지 못하며, 생산량 증가에 따라 평균비용이 계속 하락하는 형태를 가진다.
② 가격을 한계비용과 일치시킬 경우 손실이 발생한다.
③ 한계비용곡선이 항상 평균비용곡선 아래에 있다.
④ 경제적 총잉여를 극대화하기 위해서 한계수입과 한계비용이 같아지는 점에서 생산, 공급한다.
【해설】 정답 ④
① 평균비용이 계속 하락하기 때문에 기존 기업은 생산량 증가를 통해 가격을 낮춰 신규 진입을 저지시킬 수 있다.
② 평균비용이 계속 하락하는 것은 한계비용이 평균비용보다 낮기 때문이다. 이 경우 가격을 한계비용에 맞추면 가격이 평균비용보다 적어 손실을 본다.
③ 평균비용이 계속 하락하려면 한계비용이 평균비용보다 낮아야 한다.
④ 경제적 총잉여보다 자신의 이윤을 극대화하기 위한 결과이다.
Q 7. 다음 중 소득분배에 관련된 주장으로 가장 옳은 것은?
① 지니계수가 0에 가까울수록 불평등도가심화된다.
② 두 나라의 지니계수가 같다고 하더라도소득5분위 배율 값은 다를 수 있다.
③ 최하위 20%의 소득에 대한 최상위 20%의소득의 비율을 나타내는 소득 5분위 배율의값이 커질수록 불평등도가 개선된다.
④ 두 나라의 지니계수가 같다면 로렌츠곡선의형태는 동일하다.
【해설】 정답 ②
① 1에 가까울수록 불평등하다.
② 지니계수는 구체적인 소득분포에 대해서는 알 수 없다. 따라서 상위 20% 소득에서 하위 20% 소득을 나눈 값인 5분위 배율이 다를 수 있다.
③ 값이 커질수록 불평등하다.
④ 지니계수가 같아도 로렌츠곡선이 다를 수 있다.
Q 8. 현재 국채시장에서 유통되는 만기별 국채 이자율과 유동성 프리미엄이 아래 표와 같다. 유동성프리미엄 이론에 따르면, 2년 후 시점에서 형성될 1년 만기 국채이자율에 대한 시장의 예상치는 얼마인가?
① 2%
② 3%
③ 4%
④ 5%
【해설】 정답 ①
Q 9. 소비는 가처분소득과 실질이자율의 함수이며, 투자는 실질이자율의 함수이다. 생산, 정부지출, 조세는 외생적으로 주어지는 것으로 가정한다. 아래 그림과 같은 폐쇄경제 하에서, 고전학파의 대부자금시장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옳은 것은?
① 생산량의 외생적 증가는 균형실질이자율을 상승시킨다.
② 정부의 증세정책으로 인한 조세의 외생적 증가는 균형실질이자율을 상승시킨다.
③ 정부의 재정사업으로 인한 정부지출의 외생적 증가는 균형투자량을 감소시킨다.
④ 기업가정신 개선에 따른 투자의 외생적(또는 독립적) 증가는 균형저축량을 감소시킨다.
【해설】 정답 ③
① 생산량의 증가는 저축의 증가를 통해 이자율을 하락시킨다.
② 조세의 증가는 저축의 증가를 통해 이자율을 하락시킨다.
③ 정부지출의 증가는 이자율 상승을 통해 투자량을 감소시킨다.
④ 투자의 증가는 이자율 상승을 통해 저축량을 증가시킨다.
Q 10. 생산함수 ZK L를 가정하자.(Y, Z, K, L는 각각 총생산, 총요소생산성, 자본투입량, 노동투입량을 의미한다.) 총생산증가율이 6%이며, 자본투입증가율과 노동투입증가율은 각각 5%와 4%이다. 노동소득분배율은 60%라고 가정하고, 솔로우 잔차(Solow residual)가 의미하는 기술진보율은 얼마인가?
① 1.4%
② 1.6%
③ 2.0%
④ 2.4%
【해설】 정답 ② 총생산증가율 = 기술진보율 + 자본소득분배율×자본증가율 + 노동소득분배율×노동증가율 6 = x + 0.4×5 + 0.6×4 x = 1.6
Q 11. 국제거시분야의 불가능한 삼각정리 또는정책트릴레마(trilemma)의 통화금융정책에 대한주장으로 가장 옳은 것은?
① 고정환율제 국가가 자유로운 국제자본이동을 허용하면 독립적인 통화정책을 수행할 수 있다.
② 변동환율제 국가가 독립적인 통화정책을 집행하기 위해서는 자유로운 국제자본이동을 허용해야 한다.
③ 변동환율제 국가는 자유로운 국제자본이동을 허용하면 독립적인 통화정책을 수행할 수 없다.
④ 고정환율제 국가가 독립적인 통화정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국제자본이동을 통제해야 한다.
【해설】 정답 ④
① 고정환율제도에서 자본이동이 자유로운 경우 독립적인 통화정책을 할 수 없다.
②③ 변동환율제도는 트릴레마와 무관하다. 다만, 자본이동이 자유로울 때 독립적인 통화정책을 사용하려면 변동환율제도를 채택해야 한다.
④ 고정환율제도에서 독립적인 통화정책을 위해서는 자본이동을 통제해야 한다.
Q 12. 도덕적 해이에 대한 다음의 설명 중 가장 옳지 않은 것은?
① 적절한 유인을 제공함으로써 이것의 발생을 어느 정도 억제할 수 있다.
② 이 현상이 발생하는 결정적인 이유는 대리인의 도덕불감증 때문이다.
③ 보험시장에서 이 현상을 자주 관찰할 수 있다.
④ 대리인이 정보의 비대칭성을 이용해 자신의 이득을 추구할 때 이 현상이 발생한다.
【해설】 정답 ②
① 도덕적 해이를 방지하는 대표적인 방법은 유인 제공이다.
② 대리인이 도덕적으로 문제가 있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은 아니다.
③ 보험시장에서의 도덕적 해이는 보험 계약 이후 가입자가 사고 확률을 높이는 행동을 보이는 경우이다.
④ 도덕적 해이는 정보 비대칭이 있을 때 대리인이 본인이 아닌 대리인 자신의 이득을 추구하여 발생한다.
Q 13. 다음 중 가격규제와 관련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① 시장 균형 수준에 비하여 가격 상한제는 소비자잉여가 감소하고, 가격하한제는 생산자 잉여가 감소한다.
② 농산물가격 지지정책은 초과공급량을 발생시키고 이는 정부에 의해 구매되어야 한다.
③ 가격상한제를 실시하는 경우 초과수요가 발생하여 재화를 할당하는 방식이 필요하다.
④ 시장 균형수준에 비하여 경제적 총 잉여가 감소하여 경제적 순손실이 있다.
【해설】 정답 ①
① 가격상한제는 균형가격보다 낮은 수준에서 가격이 형성되므로 생산자잉여가 감소한다. 가격하한제의 경우 반대로 소비자잉여가 감소한다.
② 균형가격보다 높은 수준에서 가격을 유지하려면 초과공급이 발생하므로 정부가 그만큼 구매해야 한다.
③ 가격상한제의 경우 초과수요가 발생하므로 재화 배분이 필요하다.
④ 어떤 방식이든 규제는 경제적 손실을 가져온다.
Q 14. IS(투자저축)-MP(통화정책) 모형에 기초한 인플레이션율-실질소득 평면 상의 총수요(AD) 곡선과 동일 평면상에서 우상향하는 단기총공급 (AS)곡선, 그리고 수직의 장기총공급(LRAS) 곡선을 가정하자. 초기균형은 장단기균형점이다. AS곡선을 상향이동시키는 충격의 영향에 대한 다음의 설명 중 가장 옳지 않은 것은?
① 단기적으로 스태그플레이션 현상이 나타난다.
② 단기적으로 명목금리와 실질금리는 모두 상승한다.
③ 자기교정적 메카니즘이 작동하는 경우 장기균형점의 인플레이션율은 초기균형보다 높으나 실질소득은 초기균형수준으로 회귀한다.
④ 고용안정을 목적으로 수요관리를 통해 정책당국이 개입하는 경우 인플레이션율은 단기균형점보다 높다.
【해설】 정답 ③
① 총공급 감소는 물가 상승, 소득 감소의 스태그플레이션을 유발한다.
②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면 명목금리를 그보다 더 큰 폭으로 상승시켜 실질금리를 상승시킨다.
③ 자기교정적 메카니즘은 개입을 하지 않는다는 의미이므로 인플레이션율, 실질소득 모두 초기 수준으로 회귀한다.
④ 총공급 감소의 경우 고용 안정을 선택하는 순간 인플레이션의 상승을 감수하는 수밖에 없다.
Q 15. 아래 그림과 같은 IS(투자저축)-MP(통화정책) 모형과 이로부터 도출되는 인플레이션율(수직축)-실질소득(수평축) 평면상의 총수요(AD)곡선과 관련된 다음의 설명 중 가장 옳은 것은?
(단, 언급되지 않은 다른 요인들은 일정하다고 가정한다.)
① 외생적인 정부지출 증가는 주어진 인플레이션 수준에서 총수요를 감소시킨다.
② 중앙은행의 목표인플레이션율 인상은 주어진 인플레이션 수준에서 총수요를 증가시킨다.
③ 디스인플레이션(disinflation)이 발생하면 총수요는 감소한다.
④ 금융마찰은 IS곡선의 좌측이동과 총수요곡선의 우측이동을 초래한다.
【해설】 정답 ②
① 총수요를 증가시킨다.
② 목표인플레이션율 인상은 인플레이션 상승을 감수한다는 것이므로 확장적 정책을 의미한다. 따라서 총수요가 증가한다.
③ 총수요곡선은 인플레이션율-실질소득 평면에서 우하향하므로 인플레이션율을 낮추면 총수요는 증가한다.
④ 금융마찰로 인해 소비나 투자가 감소하면 총수요곡선도 좌측이동한다.
Q 17. 완전경쟁시장 하의 폐쇄경제이며 균형재정을 유지하고 있는 한 국가의 생산함수와 소비함수가 아래와 같다. 국민소득계정의 3면 등가관계와 기업의 이윤극대화 조건이 성립하고, 생산량과 정부지출이 각각 100과 10이라면, (a)투자량과 (b)자본소득의 조합으로 가장 옳은 것은?
① (a)36, (b)30
② (a)46, (b)30
③ (a)36, (b)35
④ (a)46, (b)35
【해설】 정답 ①
C=0.6(Y-T)=54, G=10이므로 투자는 I=Y-C-G=36이다. 한편, 주어진 생산함수의 경우 자본소득이 0.3, 노동소득이 0.7의 비중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자본소득은 100×0.3=30이다.
Q 18. 중앙은행은 다음과 같은 테일러 준칙을 이용하여 명목정책금리를 결정한다고 할 때, 다음의 설명 중 가장 옳지 않은 것은?
① 명목정책금리의 상승은 긴축통화정책기조를 의미한다.
② 준칙에 기반한 통화정책의 대표적 사례이다.
③ 인플레이션율이 상승하면 실질정책금리를 인상한다.
④ 중립실질금리는 2%이다.
【해설】 정답 ①
① 명목금리가 상승하여 결과적으로 실질금리가 상승하는지가 중요하다.
② 테일러 준칙은 대표적인 준칙에 기반한 정책이다.
③ 인플레이션율이 1%p 상승하면 명목금리는 1.5%p 상승한다. 피셔방정식에 의하면 실질금리는 명목금리에서 인플레이션율을 뺀 값이므로 0.5%p 상승한다.
④ 중립 상태라면 인플레이션 갭, GDP 갭 모두 0이므로 명목금리는 π+2이다. 피셔방정식에 의하면 실질금리는 명목금리에서 인플레이션율을 뺀 값이므로 2%이다.
Q 19. 어떤 사람이 그의 모든 소득을 노트와 라면을 구입하는데 지출한다고 하자. 다음 중 이 사람의 합리적인 최적선택과 관련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단, 언급되지 않은 다른 요인들은 일정하다고 가정한다.)
① 라면 가격이 상승하였을 경우, 라면 소비를 반드시 감소시킬 것이다.
② 라면 가격이 상승하였을 경우, 노트 소비를 반드시 증가시킬 것이다.
③ 노트와 라면의 가격이 이전에 비하여 동일한 비율로 상승하였을 경우, 반드시 두 재화 모두 소비를 감소시킬 것이다.
④ 소득이 증가하였을 경우, 반드시 적어도 한 재화의 소비는 증가할 것이다.
【해설】 정답 ④
① 기펜재라면 증가할 수도 있다.
② 대체효과는 노트 소비를 증가시키지만 소득효과가 어떻게 나타날지 불확실하다.
③ 동일한 비율로 가격이 상승한 것은 소득이 감소한 것과 동일한 결과인데, 한 재화가 열등재라면 오히려 소비가 증가할 수도 있다.
④ 두 재화의 소비가 모두 감소하면 소득은 늘어나는데 지출액은 감소하여 소득을 남기게 되어 모순이다. 따라서 반드시 적어도 한 재화의 소비는 증가해야 한다.
Q 20. 상이한 환율제도 하에서 자본이동이 자유로운 소국개방경제의 거시경제정책의 소득증대효과에 대한 먼델-플레밍 모형의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① 변동환율제에서 확장재정정책은 통화가치상승으로 인한 순수출 감소를 초래해재정정책의 소득증대효과를 반감시킨다.
② 고정환율제에서 통화가치의 변화가 수반되지 않는 확장재정정책의 소득증대 효과는 매우 크다.
③ 변동환율제에서의 확장통화정책은 통화가치상승으로 인한 순수출 감소를 초래해소득증대효과가 미미하다.
④ 고정환율제에서 환율의 평가절하는 순수출을증가시켜 소득증대효과가 매우 크다.
【해설】 정답 ③
① 변동환율제도에서 확장적 재정정책은 순수출의 감소로 인해 상쇄되어 효과가 없다.
② 고정환율제도에서 확장적 재정정책은 환율 하락 압력에 대한 대응으로 외환 매입, 자국 화폐 매각으로 통화량이 증가하여 더욱 효과가 크다.
③ 변동환율제도에서 확장적 통화정책은 환율 상승으로 인한 순수출 증가로 효과가 더욱 크다.
④ 고정환율제도에서 평가절하는 순수출을 증가시킨다.
먼델-플레밍 (Mundell-Fleming) 모형
특정 환율제도하에서 재정, 금융정책의 효과를 발표하였는데 이들 각자의 연구결과가 동일하여 '먼델-플래밍 모형'이라고 부른다. IS-LM모형의 확장. 작은 개방 경제 하에서 자유로운 자본이동이 가능할 때 거시경제의 균형을 환율정책과 IS-LM-BP 균형으로 설명한 모형. 고정환율제와 변동환율제에서 이자율과 국민소득의 변화를 설명하는 데 성공하였으며 확대재정정책과 확대 금융정책의 효과를 각 환율 정책 하에서 설명할 수 있게 되었다.
삼위일체 불가능성(Unholy Trinity)
고정환율제, 자유로운 자본이동(먼델-플레밍모형), 독립적 통화정책 3가지를 동시에 만족시키는 것이 불가능함을 보였다. 자유로운 자본이동이 가능할 경우 고정환율제에서는 중앙은행이 통화량을 늘려도 이자율과 국민소득이 변화하지 않아 금융정책이 효과가 없게 된다.
Q 21. 기술진보 없이 인구증가만을 가정한 솔로우 모형의 총생산함수는 K5L0.5이다. 저축률, 감가상각률, 인구증가율은 각각 40%, 15%, 5%이다.
솔로우모형에 대한 다음의 설명 중 가장 옳지 않은 것은?
① 안정상태(또는 균제상태)의 1인당 자본량은4이다.
② 안정상태(또는 균제상태)의 1인당 소비는황금률 안정상태 수준보다 낮다.
③ 안정상태(또는 균제상태)의 1인당 자본축적량은 황금률 안정상태 수준보다 높다.
④ 안정상태에서 자본의 한계생산물은 0.25이다.
【해설】 정답 ③
① 맞는 선택지이다.
② 황금률을 달성하지 못하고 있으므로 1인당 소비는 황금률 상태보다 적다.
③ 황금률 상태보다 자본축적이 낮다.
④ k=4이므로 자본의 한계생산은 MPk=0.25이다.
Q 22. 담배 소비에 외부성이 존재하여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주게 된다면, 다음 중 정부 개입이 없을 경우의 시장균형과 사회적 최적 소비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무엇인가?
① 사회적으로 최적인 소비자 지불가격은 시장균형가격보다 낮고, 시장균형 생산량은 사회적 최적균형생산량보다 많다.
② 사회적으로 최적인 소비자 지불가격은 시장균형 가격보다 높고, 시장균형 생산량은 사회적 최적 균형생산량보다 많다.
③ 사회적으로 최적인 소비자 지불가격은 시장균형가격보다 낮고, 시장균형 생산량은 사회적 최적 균형생산량보다 적다.
④ 사회적으로 최적인 소비자 지불가격은 시장균형 가격보다 높고, 시장균형 생산량은 사회적 최적 균형생산량보다 적다.
【해설】 정답 ②
소비에 부정적 외부성이 발생하는 경우 SMB<PMB
시장균형은 PMB=PMC일 때, 사회적으로 최적인 상태는 SMB=SMC일 때 달성되므로 사회적으로 최적인 소비자 지불가격은 시장균형가격보다 높고 시장균형생산량은 사회적 최적 균형생산량보다 많다.
Q 23. 피셔의 2기간 소비모형이 다음과 같다. 생애 효용을 극대화하는 소비자의 기간 간 최적소비 결정에 대한 다음의 설명 중 가장 옳지 않은 것은?
① 다른 조건이 일정하다면, 시간선호율이 시장이자율보다 클 때 효용을 극대화하는 미래소비는 현재소비보다 작다.
② 다른 조건이 일정하다면, 시간선호율이 높을수록 미래소비에 비해 현재소비의 생애효용에 대한 상대적인 영향력이 커진다.
③ 다른 조건이 일정하다면, 시장이자율이 상승할수록 효용을 극대화하는 미래소비증가율은 상승한다.
④ 다른 조건이 일정하다면, 시간선호율이 높을수록 현재소비와 미래소비 간의 한계대체율은 낮다.
【해설】 정답 ④
① 시간선호율이 이자율보다 크면 현재소비가 미래소비보다 크다.
② 시간선호율이 클수록 미래소비가 효용에 미치는 영향이 작다.
③ 시장이자율이 높을수록 효용극대화하는 미래소비증가율이 높다.
④ 시간선호율이 높을수록 한계대체율은 높다.
Q 24. 철수는 망고와 쌀, 두 재화 만을 소비한다고 가정하자. 망고는 Kg당 2,000원이며 쌀은 Kg당 1,500원이다. 망고 마지막 소비 단위로부터 계산된 망고 소비 1원당 한계효용은 20 이며, 쌀 마지막 소비 단위로부터 계산된 쌀 소비 1원당 한계효용은 10이라고 한다. 다음 중 철수의 소비 행위에 가장 옳은 설명은 무엇인가?
① 철수는 모든 소득을 소비하지 않고 있다.
② 현재의 소비 조합에서 철수는 효용을 극대화하고 있다.
③ 효용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철수는 쌀을 더 구입하고 망고를 덜 구입해야 한다.
④ 효용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철수는 망고를 더 구입하고 쌀을 덜 구입해야 한다.
【해설】 정답 ④
① 주어진 설명만으로는 알 수 없다.
② 1원당 한계효용이 같아지도록 소비해야 하는데 지금 망고는 20, 쌀은 10이므로 효용이 극대화되지 않는다.
③④ 일반적인 경우를 가정하면 쌀 소비를 줄이고 망고 소비를 늘리면 효용이 증가한다.
Q 25. 총수요-총공급 모형에서 초기 균형은 장단기균형점이라고 가정하자. 단기총공급 곡선의 이론적 배경에 따른 확장적 통화정책의 효과에 대한 다음의 설명 중 가장 옳지 않은 것은?
① 불완전정보모형 하에서 기업들의 물가예상착오로 인한 산출량조정이 클수록 확장적통화정책의 생산증대효과가 크다.
② 불완전정보모형 하에서 기업들의 물가예상착오가 없다면 확장적 통화정책은 생산량변화 없이 물가만 상승시킨다.
③ 경직적 가격모형에서 신축적 가격책정기업이 많을수록 확장적 통화정책에 의한 물가상승은 미미하다.
④ 경직적 가격모형에서 모든 기업이 경직적으로 가격을 책정할수록 확장적 통화정책의 생산증대 효과는 크다.
【해설】 정답 ③
① 불완전정보모형에서 기업의 예상착오가 클수록 총공급곡선이 완만하다. 따라서 확장적 정책에 의한 생산량 증가가 크다.
② 반대로 예상착오가 없는 경우 총공급곡선이 수직선이 되고, 이때 확장적 정책은 물가만 상승시킨다.
③ 경직적 가격모형에서는 가격이 경직적인 기업이 많을수록 총공급곡선이 완만하다. 따라서 신축적인 기업이 많을수록 총공급곡선이 가파르므로 확장적 정책에 의한 물가 상승이 커진다.
④ 모든 기업이 경직적인 경우 총공급곡선은 수평선이 되고, 확장적 정책의 생산량 증가가 크다.
잡스9급 PDF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