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갈등이론의 성립과 전개
1) 갈등이론은 사회를 개인간 및 집단간의 끊임없는 경쟁과 갈등의 연속으로 보는 입장으로, 마르크스(K. Marx)와 베버(Max Weber) 등의 이론과 사상에 그 지적 뿌리를 두고 있다.
2) 마르크스적 갈등이론에서는 계급간의 갈등을 모든 사회집단의 갈등의 원천으로 보는 반면, 베버적 갈등이론에서는 부와 권력 및 지위를 둘러싼 집단간의 갈등을 중시한다.
3) 갈등이론의 기능이론에 대한 도전과 비판적 관점은 신마르크스주의자(Neo-Marxist)들에 의해 활발하게 전개되었는데, 그 이론적 발전은 다렌돌프(R. Darendorf), 밀즈(C. W. Mills), 코저(L. A. Coser) 등에 의해 이루어졌다.
2. 갈등이론의 사회관
1) 갈등과 긴장 : 갈등이론은 한정된 재화를 둘러싼 인간간의 경쟁과 갈등은 불가피한 것이므로, 모든 사회에는 집단간의 갈등과 긴장이 존재한다고 본다.
2) 억압과 강제 : 경제적 권력을 획득한 지배집단은 이를 유지하기 위해 피지배집단을 억압하고 강제한다. 즉, 사회의 가치가 합의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지배집단의 억압과 강제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다.
3) 변화 : 지배집단은 그들의 위치를 위협받지 않기 위해 계속적으로 새로운 사회질서를 창출해 내기 때문에 사회는 계속 변화한다.
3. 마르크스의 교육관
1) 교육은 인간 의식과 인격을 형성하고 변화시키는 과정 : 마르크스는 교육을 인간의식과 인격을 형성하고 변화시키는 과정으로 파악하여, 교육과 학교를 동일시하는 일반적인 교육관을 배격하고, 학습이 이루어지는 모든 상황을 교육으로 간주했다.
2) 교육을 사회개혁의 핵심적인 수단으로 중시 : 교육과 사회개혁을 불가분의 것으로 파악한 그의 교육관은 공산주의사회에서는 교육을 정치적 활동과 동일시하고, 교육의 목적을 사회주의적 인간 형성으로 명시하는 근거가 되었다.
3) 교육과 생산노동의 연결 : 그는 사회의식과 사회적 존재간의 변증법적 관계에 근거하여 교육과 생산노동을 연결시켰다.
4) 교육과정의 이데올로기성 지적 : 그는 교과의 가치중립성에 대한 주장을 배격하고, 자본주의 사회의 교육이 자본주의적 이데올로기를 주입시키고 있다고 비판하였다.
5) 자본주의 사회의 교육 소멸을 역설 : 그는 자본주의사회의 교육은 자본주의 생산양식과 소유관계의 산물이어서, 절대다수의 국민을 기계로 만든다고 비판하고 이를 소멸시켜야 한다고 역설한다.
4. 갈등이론의 교육관
1) 교육내용은 지배계급의 이데올로기 : 교육내용은 자본주의 생산양식과 소유관계의 산물이므로 지배계급의 이데올로기가 담겨 있다.
2) 이데올로기의 주입을 통한 기존질서 정당화 : 학교는 지배계급의 이데올로기가 담겨있는 교육내용을 학생들에게 주입함으로써 기존질서를 정당화한다.
3) 사회경제적 배경이 선발의 결정 요인 : 선발에 있어 가장 결정적 기준이 되는 시험의 내용이 지배계급의 이데올로기가 담긴 지배계급의 문화이므로 선발에 결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은 개인의 능력이 아니라 사회경제적 배경이다.
4) 능력주의에 근거한 선발은 허구 : 따라서 능력주의에 의한 선발은 정당한 것이 아니라 기존질서를 정당화하기 위한 장치에 불과하다.
5) 학교는 사회적 불평등 유지․심화 장치 : 이러한 점들에 근거해 볼 때 학교는 지배집단에 유리한 기존 질서, 즉 사회의 불평등 구조를 유지․심화시키는 데 기여할 뿐이다.
5. 갈등이론의 공헌과 한계
1) 갈등이론의 공헌 : 갈등이론이 현행 학교제도의 문제점을 학교제도 내에서만 찾기보다는 학교와 사회와의 관련 및 사회의 구조적 모순 속에서 찾으려 했다는 점은 높이 살만하다.
2) 갈등이론의 한계 : 그러나 갈등과 세력경쟁을 지나치게 강조한 나머지 교육이 사회결속력을 높이고 사회공동체의식을 높이는데 기여한 점을 과소평가하고 있다.
공무원 두문자 암기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