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중국, 일본 미세먼지를 관찰한 결과
강한 북풍, 동품이 부는 것 외에
아래 패턴이 일반적
환경부 산하 국립환경과학원은 한·중·일 3국의 '동북아 장거리이동 대기오염물질 국제공동연구(LTP)' 결과 보고서에서 중국 배출원이 한국 미세먼지에 미치는 영향은 32%라는 보고서를 냈습니다. 보고서는 한·중·일 연구진이 각국 주요 도시(한국은 서울·대전·부산 3곳)에서 측정·분석해 산출한 도시별 초미세먼지 기여율을 평균낸 값을 담았습니다. 결과를 보면 2017년 한국의 연평균 초미세먼지 기여율은 자체 기여가 51%, 중국이 32%, 일본이 2%였습니다. 같은 해 중국은 자체가 91%, 한국 2%, 일본 1%였구요. 일본은 자체 55%, 한국 8%, 중국 25%로 나왔습니다. 그 외에 러시아, 몽골, 북한 등에서 넘어온 미세먼지가 전체의 15%로 추정됩니다. 편서풍 지역인 동북아 서쪽에 위치한 중국에서 초미세먼지가 발생해 한국과 일본으로 흘러가고 있음을 3국 연구진이 함께 확인한 셈입니다.
중국에서 발생한 초미세먼지가 한국에 상당한 영향을 주는 것은 맞지만, 절대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은 아니라는 입장이기도 합니다. 황사가 불어오는 봄철의 경우 단기적으로 보면 미세먼지의 70% 가량이 중국에서 넘어오는 날도 있지만, 연평균으로 따지면 32%라는 것이죠. 한국 하늘이 맑은 기간을 고려해보면, 중국에서 넘어오는 미세먼지도 적고, 국내에서 발생한 미세먼지도 해외로 잘 빠져나가는 날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인공위성 띄워 증거 추적
책임소재를 명확히 밝히기 어려워 동아시아 지역의 외교문제로까지 번졌던 미세먼지의 이동경로를 실시간으로 추적할 수 있는 길이 열렸습니다. 천리안 2B호에 장착된 환경위성이 하루 평균 8회의 관측영상을 촬영할 수 있게 되면서 미세먼지 등 대기오염물질의 동선을 쫓을 수 있게 됐기 때문입니다.
환경위성은 아시아 전역의 미세먼지(PM), 이산화질소(NO2), 아황산가스(SO2), 오전(O3) 등 대기오염물질을 추적할 계획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