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직시민행동
: 직접적인 보상이 없어도 조직을 위해 희생하고 자발적으로 열심히 일하려고 하는 것
● 조직시민행동(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Ⅰ. 서론
1. 조직시민행동 의의
조직시민행동은 조직원들이 조직의 원활한 운영을 위해 공식적으로 주어진 임무 외에 구성원들이 자발적으로 수행하는 부차적인 행동을 의미한다.
2. 중요성
조직시민행동은 그 자체로서 조직분위기를 좋게 할 뿐만 아니라 성과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또 조직 내 바람직한 행동을 유도하고 조직몰입을 향상시켜 조직효과성을 제고하여 조직에서 이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Ⅱ. 조직시민행동 이유와 유형
1. 발생이유(공직기)
1) 처우의 공정성
애덤스의 공정성이론에 근거하면, 종업원은 투입-산출비율은 준거대상과 비교해 긴장감을 느끼고 자신이 더 많이 받았다고 지각할 때, OCB를 통해 불균형 상태를 벗어나려 한다.
2) 직무만족
조직시민행동을 이끄는 가장 중요한 원인으로서 종업원이 직무만족을 경험하게 되면 친사회적인 행동이 촉진된다.
3) 기타
조직몰입, 바람직한 리더십, 개인의 성격적 요인 등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게 된다.
2. 유형 (이,예,공,신)
1) 이타적행동
자발적으로 타인을 도와주려는 친사회적이거나, 친밀한 행동을 말한다.
2) 예의행동
다른 사람에 대해 기본적인 배려심을 베푸는 행동으로 타인에 피해가 가지 않도록 하는 행동이다.
3) 공익적행동(성실행동)
조직이나 집단, 팀을 위한 행동으로 책임지고 솔선수범 하는 행동이다.
4) 신사적행동(스포츠맨십)
이는 특정 유형의 행동에 관여하지 않는 것으로 남에 대한 험담이나 흠을 하지 않는 행동을 말한다.
Ⅲ. 시사점
조직시민행동은 관리자의 업무, 심리적부담을 줄여주는 것 외에도 조직효과성 향상과 성과 창출, 건강한 조직문화를 만드는데 기여한다. 조직구성원의 내재적만족이 조직시민행동을 낳는다는 점에서 관리자는 처우의 공정성, 개인의 직무만족을 위한 노력 등의 필요가 더욱 강조된다.
잡스9급 PDF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