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 Humanities/책, 고전, 읽기 Reading, Books

도파민네이션(dopamine nation), 애나 렘키(Anna Lembke), 디지털 약물 주사기

Jobs9 2022. 10. 2. 21:54
반응형

도파민네이션(dopamine nation)

 

피로사회에서 도파민으로 버텨내는 현대인을 위한 인간, 뇌, 중독 그리고 회복

최신 뇌과학, 신경과학 그리고 풍부한 임상 사례로 풀어낸, 탐닉의 시대에서 균형 찾는 법 

도파민네이션(dopamine nation)

과학자들은 중독 가능성을 측정하는 보편적인 척도로서 도파민을 사용한다. 뇌의 보상 경로에 도파민이 많을수록 중독성은 더 커진다. 과거에는 도파민을 자극하는 대상을 구하기 힘들었다. 그러나 인간이 세상을 결핍의 공간에서 풍요가 넘치는 공간으로 바꾸면서 중독의 법칙이 바뀌었다.  

중독성 물질, 음식, 뉴스, 도박, 쇼핑, 게임, 채팅, 음란 문자,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유튜브, 트위터… 오늘날 큰 보상을 약속하는 자극들은 양, 종류, 효능 등 모든 측면에서 과거와 비교할 수 없을 만큼 증가했다. 디지털 세상의 등장은 이런 자극들에 날개를 달아주었다. 스마트폰은 컴퓨터 세대에게 쉴 새 없이 디지털 도파민을 전달하는 현대판 피하주사침이 됐다. 우리는 도파민, 자본주의, 디지털이 결합된 탐닉의 사회, 도파민네이션에 살고 있다. 이제 누구도 중독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약물, 술, 도박, SNS 등 중독 문제를 두고 우리는 흔히 개개인의 약한 의지나 타락한 도덕성을 원인으로 든다. 중독을 개인의 일탈로 보았지 사회적 차원에서 접근하지 않았다. 따라서 중독 치료는 약물 처방, 심리 치료 또는 도덕적 각성을 통해 해결할 수 있다고 믿어 왔다.  

그런데 2021년 미국에서 출간돼 지금까지 뜨거운 논쟁을 일으키고 있는 『도파민네이션』은 인간이 중독에 빠지는 이유를 의지, 도덕성의 결핍이 아니라 쾌락과 고통을 지휘하는 신경물질, 도파민에서 찾고 있다. 또한 중독성 물질, 자본주의, 디지털이 결합된 현실 때문에 중독은 더 이상 개인의 문제가 아닌 모두의 문제, 사회 전체의 관점에서 바라봐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 책의 저자 애나 렘키 박사는 스탠퍼드대학교 의과대학 교수이자 스탠퍼드대학 중독치료 센터를 이끄는 정신과 의사이다. 미국 행정부와 의회의 의료 정책을 만드는데 참여하고 있으며 100여 편이 넘는 글과 논문을 발표한 학자이기도 하다. 그러나 엘리트 코스만을 밟아온 이력과 달리 그녀는 이 책에서 어릴 때부터 우울증을 앓아왔고 의사가 된 후에도 에로티즘 소설에 중독된 적이 있었다고 고백한다. 그녀는 한마디로 중독에 관해서는 ‘전문가’인 동시에 ‘내부고발자’인 셈이다.  

『도파민네이션』은 최신 뇌과학, 신경과학 연구와 자신이 20년 동안 만난 수 만 명의 임상사례를 통해 인간, 뇌, 중독 그리고 회복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한다. 무엇보다 중독에서 벗어나 삶의 균형을 찾기 위해서는 약물 치료에 의존하기보다는 도파민의 법칙을 이해하고 고통과 화해하는 법을 익혀야 한다고 말한다.  

*The New York Times bestseller*

All around us people are looking at their phones too much, eating too much, drinking too much. Our world is addicted to fleeting distracting pleasures that get us nowhere. Dr Anna Lembke provides a clear way back to a balanced life.   

This book is about pleasure. It's also about pain. Most importantly, it's about how to find the delicate balance between the two, and why now more than ever finding balance is essential. We're living in a time of unprecedented access to high-reward, high-dopamine stimuli: drugs, food, news, gambling, shopping, gaming, texting, sexting, Facebooking, Instagramming, YouTubing, tweeting... The increased numbers, variety, and potency is staggering. The smartphone is the modern-day hypodermic needle, delivering digital dopamine 24/7 for a wired generation. As such we've all become vulnerable to compulsive overconsumption.  

In Dopamine Nation, Dr. Anna Lembke, psychiatrist and author, explores the exciting new scientific discoveries that explain why the relentless pursuit of pleasure leads to pain... and what to do about it. Condensing complex neuroscience into easy-to-understand metaphors, Lembke illustrates how finding contentment and connectedness means keeping dopamine in check. The lived experiences of her patients are the gripping fabric of her narrative. Their riveting stories of suffering and redemption give us all hope for managing our consumption and transforming our lives. In essence, Dopamine Nation shows that the secret to finding balance is combining the science of desire with the wisdom of recovery.  

'Dr Anna Lembke is a whiz on why we get hooked on things - and how we can enjoy pleasurable things in healthier doses.' - The Guardian 



애나 렘키 (Anna Lembke) 
스탠퍼드대학교 의과대학 정신의학·중독의학 교수, 스탠퍼드 중독치료센터 소장
예일대학교에서 인문학을 전공하고 스탠퍼드대학교 의과대학에서 정신의학을 공부했다. 스탠퍼드대학교 의과대학 교수로 학생들을 가르치며 각종 중독 문제에 시달리는 사람들을 만나고 있다.
정신 질환에 관한 뛰어난 연구, 탁월한 지도, 혁신적 인임상 치료법을 선보인 의학자로 유명하다. 「뉴잉글랜드의학저널」, 「미국의학협회저널」 등 명망 있는 매체에 100여 편의 글과 논문을 발표했다.
수만 건의 풍부한 임상 경험이 있는 의사로서 스탠퍼드 중독치료센터를 이끌며 미국 정부와 상하원의 중독 정책을 자문을 하고 있다. 2016년 처방약 남용을 다룬 『마약상, MD: 어떻게 의사들은 사기를 당하고 환자들은 걸려들며, 왜 그것은 멈추기 어려운가 Drug Dealer, MD』를 출간해 미국 사회에 널리 퍼진 약물 오남용 문제에 경종을 울렸다. 2020년 소셜 미디어의 중독 문제를 정면으로 다룬 넷플릭스 다큐멘터리 「소셜 딜레마」에 출연하기도 했다. 

 

 

 

 

목차
머리말 탐닉의 시대에서 살아가기

1부 쾌락과 고통의 이중주

1장 자위 기계를 만드는 남자
누구나 이중생활을 한다
탐닉, 도파민 그리고 자본주의
인터넷: 디지털 약물 주사기

2장 행복에 중독된 사람들
고통은 나쁜 것일까
고통이 사라지면 행복이 찾아올까
행복과 고통의 역설

3장 뇌는 쾌락과 고통을 어떻게 이해하는가
도파민이 말씀하시되…
쾌락과 고통은 쌍둥이다
뇌과학이 밝혀낸 쾌락-고통 저울
중독은 뇌를 근본적으로 변화시킨다
저울은 비유일 뿐

2부 중독과 구속의 딜레마

4장 DOPAMINE: 나와 중독을 이해하는 7단계
D는 데이터Data: 너 자신을 알라
O는 목적Objectives: 핑계 없는 무덤 없다
P는 문제Problems: 중독의 악영향을 찾아라
A는 절제Abstinence: 30일의 인내
M은 마음챙김Mindfulness: 고통 들여다보기
I는 통찰Insight: 진짜 나와 대면하기
N은 다음 단계Next Steps: 중독 대상과 새로운 관계 맺기
E는 실험Experiment: 중독과 친구가 되는 법

5장 자기 구속: 중독 관리를 위한 3가지 접근법
물리적 자기 구속, 쓰레기통에 버리고 그 쓰레기통마저 버려라
순차적 자기 구속, 시간제한과 결승선
범주적 자기 구속, 넓은 그물을 쳐라
“저는 맥주를 숭배합니다”

6장 처방약의 두 얼굴
어느 스탠퍼드 대학생의 중독 연대기
약이 해결책이 될까
나는 우울증을 가진 정신과 의사다
약물 처방의 그림자

3부 탐닉의 시대에서 균형 찾기

7장 고통 마주보기
찬물 목욕은 왜 짜릿할까
호르메시스의 과학
영웅 요법, 고통을 다스리기 위한 고통
고통이 선물하는 쾌락

8장 있는 그대로 말하라
호모 거짓말쟁이
솔직함이 뇌를 치유한다
솔직함이 관계를 개선한다
나는 어떻게 엄마와 화해했는가
솔직함은 전염된다

9장 나를 살리는 수치심
나를 파괴하는 수치심
나를 살리는 수치심
“수치심을 환영합니다”
수치심과 양육



쾌락 과잉 시대에서 균형 찾기 책에서 전하는 중독의 의미는 우리가 삶을 살아가는 과정 속에서 누구나 겪을 수 있는 이야기들을(중독에 빠진 사례자들) 통해서 과연 중독이란 무엇이며, 중독에 우리는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가를 제시한다. 중독이라는 것이 순간의 쾌락을 주지만, 그것의 고통은 평생을 가지고 살아야 할지도 모른다. 왜 우리는 중독에 빠질까라는 질문에 자신은 절대 중독되지 않을 것이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지만, 그것은 결코 쉽지 않다. 그리고 어느 순간 중독되어 있는 자신의 모습을 보게 된다. 어쩌면 우리는 중독되어 있기 때문에 살아가는 것이 아닐까? 알코올과 니코틴처럼 합법적으로 얻을 수 있는 것들과 치료를 위해 사용되는 약들은 우리에게 잠시나마 무언가를 잊을 수 있게 하는 것은 사실이다. 그리고 그것이 필요한 것도 사실이다. 그렇지만, 어느 순간 그것들은 우리의 일부분이 되고, 결국에는 전부가 된다. 그것이 전부가 되는 순간에도 삶을 살아갈 수는 있지만, 그렇게 살아가는 것이 과연 행복한 삶인가를 생각할 여유조차 잃게 될 것이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저자가 말하는 중독이 전하는 쾌락과 고통 사이에서 어떻게 균형을 잡아야 할 것인지를 생각해 봐야 할 것이다. 저자가 전하는 '저울의 교훈'을 통해 중독에 대해 다시 한번 점검할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되었다. 안 좋은 점은 수도 없이 많은 담배를 과연 나는 끊어낼 수 있을까? 



이 책은 피로사회에서 도파민으로 버텨내면서도 그 중독의 심각성을 미처 깨닫지 못하고 있는 현대인들에게 '우리들의 뇌에선 지금 어떤 일이 벌어지고 있는가'를 냉철하게 알려주고, '어떻게 약물에 의존하지 않고 행복에 도달할 수 있는가'를 의학적으로 조언한다. 쾌락을 행복인 양 조급하게 찾아 헤매는 모든 현대인들에게 이 책을 권한다. _정재승 추천사


이 책을 읽기 전, 나는 무엇에도 '중독된 적이 없었다'라고 자신할 수 있었다.
잠들기 전, 책을 읽다가 온라인 서점에 들어가 도서들을 한참 검색하고 장바구니에 몇 권씩 담아둔다. 다시 리디북스에 로그인해 새로 나온 로맨스 소설은 무엇이 있는지 한참 검색하다 자극적인 내용을 발견하게 되면 후기들을 검색해 보다 바로 결제해서 읽기 시작해 3~4시 또는 새벽 5시까지 시간 가는 줄 모르고 읽다가 기절하듯 잠이 들곤 한다. 최근 몇 개월 사이 로맨스 도서를 읽는 빈도가 높아졌는데, 생각해 보면 평소 읽던 소설이나 에세이들이 평이하다는 느낌? 재미를 크게 느끼지 못해서 자극적인 소설을 읽는 빈도가 높아졌다. 이걸 중독이라고 생각하지 않았다. '독서잖아?'  


<도파민네이션>의 저자 역시 나와 비슷한 경험을 했었고 그 과정들이 이 책의 사례들로도 등장하게 되는데, '책을 읽는 거잖아?'라는 생각이 '중독인가?'라는 질문으로 바뀌어 간다. 우리는 왜 중독되고, 우리의 뇌는 어떻게 쾌락과 고통을 조절하는가? 쾌락과 고통의 관계는 왜 중요할까? 를 다양한 사례를 들어 쉽게 이야기하고 있다. 살아가며 끊임없는 쾌락 추구, 고통 회피, 회복을 반복하며 살아가야 한다면 조금 더 잘 알아야 하지 않을까? '나는 아직 무언가에 중독된 적이 없다'고 자신할 수 있을까? 청소년, 현대인들에게 추천하고 싶은 책이다. 


27p. 넓게 봤을 때 중독은 어떤 물질이나 행동(도박, 게임, 섹스)이 자신 그리고/혹은 타인에게 해를 끼침에도 그것을 지속적·강박적으로 소비·활용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53p. 나는 우리가 완충제를 가득 채운 독방 같은 곳에서 아이들을 키우며 유년기를 너무 질병처럼 대하고 과하게 관리하는 건 아닌지 걱정된다. 이러면 아이들은 상처받을 일이야 없겠지만 세상에 대처할 방법도 모르게 된다.
우리가 아이들을 역경으로부터 과보호한 탓에, 아이들이 역경을 그토록 두려워하게 된 건 아닐까? 우리가 아이들의 자존감을 높인 탓에, 아이들이 참을성이 떨어지고 권리만 더 내세우며 자신의 성격적 결함에 무지하게 된 건 아닐까? 우리가 아이들이 원하는 걸 다 들어준 탓에, 새로운 쾌락주의 시대를 조장하게 된 건 아닐까?


278p. 균형을 찾아 유지함으로써 얻어지는 보상은 즉각적이지도 않고 영원하지도 않다. 보상을 얻으려면 인내와 노력이 필요하다. 앞에 무엇이 있을지 불확실한 상황에서도 기꺼이 앞으로 나아가야 한다. 당장 영양가가 없어 보이는 지금의 행동들이 실제로는 긍정적인 방향으로 축적되고, 이것이 미래의 언젠가 나타날 거라는 믿음을 가져야 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