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문법의 기능 4

문법의 기능, 피동 표현, 파생적 피동(=단형 피동), 통사적 피동(긴 피동), -어지다, -게 되다

【3절】 문법의 기능과 의미 [4] 피동(被動) 표현 동작이나 행위를 누가 하느냐에 따라 능동문과 피동문으로 나누어지는데, 주어가 동작을 제 힘으로 하는 것은 능동(能動), 주어가 다른 주체에 의해서 동작을 당하게 되는 것을 피동(被動)이라고 한다. 피동법은 파생적 피동과 통사적 피동으로 나뉜다. ※능동문(能動文):능동사가 서술어로 쓰인 문장. '철수가 친구를 업다', '아이가 밥을 먹다', '사냥꾼이 토끼를 잡다' 따위가 있다. ※피동문(被動文):피동사가 서술어로 쓰인 문장. '도둑이 경찰에 잡히었다', '아기가 엄마에게 안기었다' 따위이다. 능동문의 목적어가 주어로 나타나고 능동문의 주어가 사격어(斜格語:oblique)로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사자가 쥐를 먹었다'와 같은 능동문에 대해 '쥐가 사자에..

문법의 기능, 부정 표현, '못' 부정문, '안' 부정문

【3절】문법의 기능과 의미 [3] 부정 표현 (1)부정문의 형식 부정문이란 긍정 표현에 대해 언어 내용의 의미를 부정하는 문법 기능을 말한다. 국어에서는 부정부사 '아니(안), 못'과 부정 보조용언 '아니하다, 못하다'를 사용하여 부정 표현을 만들 수 있다. 명령, 청유문에서는 '말다'가 쓰인다. 부정문은 오직 '안(아니), 못'의 출현 유무(형식상 기준)에 의해서만 판별된다. 따라서 '없다, 모르다' 등 부정적 의미를 가진 어휘가 쓰여도 긍정문이며, 이중부정문도 의미상 긍정문이지만 '안'이 쓰였으므로 부정문이다. 또한 불(不), 비(非), 무(無) 등의 부정적 접두사가 쓰였다고 하더라도 긍정문이다. 부정부사로 된 부정문을 짧은 부정문, 부정 보조용언으로 된 것을 긴 부정문이라고 한다. 짧은 부정문은 부..

문법의 기능, 시간 표현, 시제(時制, tense)

【3절】문법의 기능과 의미 [2]시간 표현 1. 시제(時制, tense) 어떤 사건이나 사실이 일어난 시간 선상의 위치를 표시하는 문법 범주. 과거, 현재, 미래가 있으며 발화시를 기준으로 한 절대시제와 사건시를 기준으로 한 상대시제가 있다. '때매김', '시칭(時稱)'이라고도 한다. 시간 표현은 대개 시제 선어말어미, 관형사형 어미, 시간 부사어 등으로 실현된다. ※발화시:말하는 이가 말하는 시점. 사건시:동작이나 상태가 일어나는 시점. ※시제를 의미하는 'tense'는 라틴어 'temps(시간)'에서 유래되었다. ①시제의 일반성:절대시제와 상대시제 유 형 개 념 위 치 보 기 절대시제 발화시를 기준으로 결정되는 문장의 시제 종결형 나는 어제 삼계탕을 먹었다. 상대시제 주문장의 사건시에 의존하여 상대적..

문법의 기능, 사동 표현, 파생적 사동(=단형 사동), 통사적 사동(=장형 사동)

【3절】문법의 기능과 의미 [5] 사동 표현 문장은 주어가 동작이나 행위를 직접 하느냐 아니면 다른 사람에게 하도록 하느냐에 따라 주동문과 사동문으로 나뉜다. 주어가 동작을 직접 하는 것을 주동(主動)이라 하고, 주어가 남에게 동작으로 하도록 시키는 것을 사동(使動)이라고 한다. 사동은 주로 동사가 나타나는데 형용사가 사동사로 바뀌거나 사동의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국어의 사동법에는 파생적 사동과 통사적 사동이 있다. (1)파생적 사동(=단형 사동) ① '-이-, -히-, -리-, -기-, -우-, -구-, -추-, -으키-, -이키-, -애-' 사동법: 이러한 사동접사를 주동사나 형용사의 어간에 붙여 사동사를 만든다. 타동사, 자동사, 형용사를 사동사로 만들 수 있는데, 사동사는 모두 타동사다. ※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