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학

효과성(유효성), effectiveness, 효율성, efficiency

Jobs 9 2022. 10. 4. 15:22
반응형
효율이라는 것은 "일을 옳게 하였는가", 효과라는 것은 "옳은 일을 하였는가"에 대한 대답이다.   - 피터 드러커

 

● 효과성(유효성), effectiveness

 경영목표의 달성 정도를 말하는 것으로 개별적 성과의 종합이며,

 환경과의 적합성도 포함하고 결과를 중시한다(어떻게든 도달하면 됨).

 

● 효율성, efficiency

생산과정에서 생산증가분과 투입자원과의 비율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과정을 중시하며 유한 자원의 활용정도이다.

자원의 활용도가 높다는 것은 효율성이 높다고 볼 수 있다.

 

'잘했는지'를 판단하는 방법은 투입된 비용과 진행 속도, 산출된 양으로 비교하는 방법이 가장 일반적
속도 - 얼마나 빨리 했는지
비용 - 얼마나 적은 비용으로 했는지
양 - 얼마나 많은 양을 산출했는지

어떤 제품이나 서비스를 산출하는데 투입된 자원에 비해 더 많은 산출물을 생산하는 경우에 효율성이 증가

즉,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최소의 비용으로 최대의 효과를 추구해야 하며 결과적으로 Low Cost를 지향한다고 볼 수 있다.  
원가를 최소화시킨다는 것이 바로 효율성을 높인다, 효율성을 제고한다라고 하는 것이다.
이처럼 효율성은 희소한 자원을 얼마나 잘 활용하였는가를 나타내는 개념
바람직한 목표를 달성하는 데 가장 확률이 높은 수단을 우선적으로 선택하고 그 수단을 갖고 최소의 비용으로 최대의 성과를 낼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 효율성을 높이는 방법

효과성과 효율성은 서로 상호 관계되어 있지 않다.
효과가 좋다고 효율이 좋은 것은 아니며 반대로 효율이 좋다고 해서 효과가 좋다고도 말할 수 없다.
다만 대부분의 경우 효율이 좋으면 효과성이 뛰어난 경우가 일반적인 경우라 개인과 조직, 기업과 관공서에서는 성과를 높이기 위해 효과성보다는 효율성을 높이려는 노력과 시도가 많은 것이 사실

 

효율성(능률성)(생산성) 효과성(유효성)
① 투입과 산출의 관
② 어떻게 수행하는가(수단)에 관한 것
③ doing the thing right으로 표현
① 경영목표가 달성된 정도
② 무엇을 수행하는(결과)에 관한 것
③ doing the right thing으로 표현

 

 



 Q 
어떤 기업이 매출목표 달성을 위해 신기술을 도입하였다. 그 결과 전년 대비 생산량이 증가하고 생산원가는 감소하였으나 제품이 소비자의 관심을 끌지 못하여 매출목표를 달성하지 못하였다. 신기술 도입의 효과성과 효율성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한 것은? 

 

① 효과적이고 효율적이다.
② 효과적이지 않지만 효율적이다.
③ 효과적이지만 효율적이지 않다.
④ 효과적이지 않고 효율적이지도 않다.

【해설】 정답 

경영학의 원리인 효과성과 효율성에 대한 문제로서 비용 및 생산적 측면에서 효율성은 달성하고 있으나, 목표의 달성적 측면에서 효과성은 달성하고 있지 않은 상황

효율성(efficiency)과 효과성(effectiveness)

효율성(능률성)(생산성) 효과성(유효성)
① 투입과 산출의 관
② 어떻게 수행하는가(수단)에 관한 것
③ doing the thing right으로 표현
① 경영목표가 달성된 정도
② 무엇을 수행하는(결과)에 관한 것
③ doing the right thing으로 표현

 

 

잡스9급 PDF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