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김일성 4

조-소 양국 간의 경제적 및 군사적 협조에 관한 협정, 1949년, 김일성, 스탈린, 모스크바

1949년 3월 김일성과 스탈린의 모스크바 협상에서 체결된 경제문화협정. 개설 건국 직후 북한 정부대표단은 모스크바를 방문하여 스탈린, 소련 정부대표단과 회담을 갖고 경제문화교류 협정을 비롯한 기타 부속 비밀협정을 체결했다. 주목할 사항 중의 하나는 북소 지도자 사이에 무력에 의한 남북통일 문제가 논의되었다는 것이다. 따라서 1949년 3월의 김일성과 스탈린의 협상은 경제적 문화적 교류와 군사적 협력이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진행되었다. 김일성이 스탈린에 요구한 경제적, 문화적, 군사적 원조 가운데 가장 핵심적인 것은 4천만 달러 상당의 차관이었다. 이 차관은 경제적이며, 동시에 군사적 성격의 차관이었다. 스탈린은 김일성이 요구한 지원 요청에 대부분 전면적으로 수용하는 태도를 보였고, 소련은 북한의 후견국..

보천보전투,1937년,함경남도 갑산,양강도,김일성

1937년 6월 4일 항일 유격대가 함경남도 갑산군 보천면 보천보(현재 북한의 행정구역상 양강도 보천군 보천읍)를 습격하여 승리했다는 전투. 북한의 주장에 따르면, 이 전투는 1937년 3월 서강회의에서 조선인민혁명군(동북항일연군)이 국내 진공작전을 펴기로 결정함에 따라 김일성(金日成) 지휘 하에 수행된 것으로, 작전은 최현(崔賢)의 인솔 하에 한 부대를 무산 방향으로 진출시키고, 또 다른 한 부대를 국경 지대인 임강·장백으로 진출시켜 일본군 군사력을 분산시키는 것으로 부터 시작되었다. 1937년 5월 하순 김일성이 주력 부대를 편성, 보천보 일대를 정찰하고 공격 준비를 마쳤을 때, 무산 지역에 진출한 부대가 적의 공격으로 포위될 상황이 되자 당초 예정된 작전 개시일을 앞당겨 보천보에 있는 일본군을 공격..

반종파투쟁(反縱波鬪爭),김일성,연안파,반김일성운동,숙청,박헌영,윤공흠

김일성 개인숭배와 1당 독재체제의 폐해에 비판하는 세력을 반당·반혁명적인 종파주의자로 매도하면서 이들을 제거하고자 무자비하게 전개한 정치투쟁. 1956년 소련공산당 제20차 대회 이후 스탈린 격하운동이 시작되자, 그 여파를 두려워한 김일성과 그 추종세력은 오히려 김일성 개인숭배와 1당 독재정권 수립을 더욱 강화하기 위하여 반대파들을 종파주의자로 몰아세우고, “반당·반혁명적 음모책동을 폭로 분쇄하며 그 사상여독을 뿌리빼기 위한 투쟁”이라며 국내파 거물인 박헌영을 필두로 연안파·소련파 거두들을 철저히 제거하는 무자비한 숙청을 단행했다. 역사적 배경 1956년 2월에 개최된 소련공산당 제20차 대회 이후 소련을 비롯한 동구 공산권 내에서 개인숭배에 대한 비판과 스탈린 격하운동이 진행되었다. 북한에서도 반김일성..

남북연석회의(南北連席會議). 남북 정치지도자, 통일정부 수립,평양,김구,김규식,김두봉,김일성,남북조선제정당사회단체지도자협의회

남북연석회의(南北連席會議) 1948년 4월 남북의 정치지도자들이 통일정부 수립을 목표로 평양에서 개최한 정치회담. 1945년 8월 해방 이후 한반도는 미국과 소련에 의해 분할 점령되었다. 동년 12월 연합국을 대표한 미국, 영국 그리고 소련의 외무상들이 모스크바에 모여 한반도의 통일정부 수립 문제를 논의하였다(모스크바 3상회의). 이 회의의 결정에 따라 1946년 한반도에 미소공동위원회가 설치되었고, 미국과 소련의 대표들과 남북의 정치·사회단체 대표들은 이 위원회에서 통일정부 수립 방안을 논의하게 되었다. 그러나 미국과 소련은 참가단체의 자격 문제를 둘러싸고 끊임없이 대립하였고, 국내의 단체들 간에도 정치적 이견을 좁히지 못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미국은 1947년 9월 한반도 문제의 유엔 상정을 주장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