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공무원 국어 5

맞춤법, 띄어쓰기, 기출, 국립국어원, 공무원 국어

맞춤법, 띄어쓰기 기출 포인트 [국립국어원-공무원 국어] 한글 맞춤법의 원리 한글 맞춤법의 원리는 「한글 맞춤법」 총칙 제1항에 나타나 있다. “한글 맞춤법은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함을 원칙으로 한다” 위 조항은 한글 맞춤법의 표기 대상이 표준어임을 분명히 하고 있다. 즉 우리 국민의 공통적인 표준어를 맞춤법 규정의 대상으로 삼는다는 말이다. 따라서 맞춤법은 표준어가 정해지면 이를 어떻게 적을지 결정하는 구실을 한다. 그런데 표준어를 적는 방식에는 두 가지가 있을 수 있다. 하나는 들리는 대로 적는 것이요, 또 하나는 들리는 소리와는 다소 멀어지더라도 의미가 잘 드러나도록 적는 것이다. 표면적으로 보면 이 두 방식이 상충되는 듯하나 한글 맞춤법은 이 두 가지 방식을 적절히 조화시키고 있..

속미인곡(續美人曲), 정철 [고전 운문]

속미인곡(續美人曲) 시어 풀이 : 도가(道家)에서 옥황상제가 산다고 하는 곳. 여기서는 ‘임금이 있는 한양’을 가리킴. 츈한고열(春寒苦熱) : 봄 추위와 여름의 괴로운 더위. 츄일동쳔(秋日冬天) : 가을과 겨울의 날씨. 죽조반(粥早飯) : 아침밥을 먹기 전에 일찍 먹는 죽. 죠셕(朝夕) 뫼 : 아침저녁 밥. 지쳑(咫尺) : 아주 가까운 거리. 어둥졍 : 어수선하게, 어리둥절하게. 모쳠(茅簷) : 초가지붕의 처마. 반벽쳥등(半壁靑燈) : 벽 가운데 걸려 있는 등불. 녁진(力盡) : 힘이 다 함. : 실컷. 오뎐된 : 방정맞은. : 헛된 일. 핵심 정리 ‘사미인곡’의 속편으로 갑녀와 을녀 두 여인이 등장해 임(임금)을 향한 일편단심을 간곡하게 노래한 충신연주지사의 대표작이며, 가사 문학 중 우리말 표현이 가..

고향, 현진건, 일제 강점기, 농민(민중)의 참혹한 생활상 폭로 [현대소설]

현진건, 고향 기차 안에서 만난 조선 유랑민과의 대화를 통해 일제의 수탈로 농토와 고향을 잃은 사람들의 참담한 삶을 형상화하여 일제의 식민지 정책에 대한 작가의 비판 의식을 드러내고 있다. * 갈래 : 단편 소설, 액자 소설 * 성격 : 사실적, 현실 고발적 * 배경 ① 시간 - 일제 강점기 ② 공간 - 대구발 서울행 열차 안 * 시점 : 1인칭 관찰자 시점 * 주제 : 일제 강점기 우리 농민(민중)의 참혹한 생활상의 폭로 * 특징 ① 1920년대 민족 항일기의 시대상을 조명함. ② 농토를 빼앗긴 농민의 참상을 사실적으로 그림. * 출전 : “조선일보”(1926)에 ‘그의 얼굴’로 발표했으나 단편집 “조선의 얼굴”에서 ‘고향’으로 제목을 고침. 어휘 풀이 * 옥양목 : 생목보다 발이 고운 무명. 빛이 썩..

공무원 국어, 수능 국어 비교

● 시간 대비 문제 수 - 수능 국어: 80분 미만으로 45문항 - 공시 국어: 20분 미만으로 20문항 ● 각 출제 영역의 출제 비율 - 수능 국어(45문항): 화작문 15문항 中 문법 5문항 / 비문학 15 / 문학 15 - 공시 국어(20문항): 문법규정 6-7 / 비문학 6-7 / 문학 4 / 어휘한자 3(18년 일행직 기준) ● 지문당 문항 개수 - 수능 국어: 독해 지문 하나에 3~6문항이 출제되는 방식으로, 하나의 지문에 대해 다양한 발문으로 복합적인 평가를 진행한다. - 공시 국어: 독해 지문 하나에 1문항이 출제되는 방식이었으나 2018년부터 1지문에 2문항의 출제가 시도되기 시작했다. ● 선지 개수 - 수능 국어: 5지 선다형 - 공시 국어: 4지 선다형(국회직 제외) ● 수능 국어 문..

홍염(紅焰), 최서해, 사실주의적 신경향파 문학

겨울은 이 가난한―---백두산 서북편 서간도 한 귀퉁이에 있는 이 가난한 촌락 '빼허(白河)'에도 찾아들었다. 겨울이 찾아들면 조그마한 강을 앞에 끼고 큰 산을 등진 빼허는 쓸쓸히 눈 속에 묻혀서 차디찬 좁은 하늘을 쳐다보게 된다. 눈보라는 북국의 특색이라. 빼허의 겨울에도 그러한 특색이 있다. 이것이 빼허의 생령들을 괴롭게 하는 것이다. 오늘도 눈보라가 친다. 북극의 얼음세계나 거쳐 오는 듯한 차디찬 바람이 우― 하고 몰려오는 때면 산봉우리와 엉성한 가지 끝에 쌓였던 눈들이 한꺼번에 휘날려서 이 좁은 산골은 뿌연 눈안개 속에 들게 된다. 어떤 때는 강골 바람으로 빙판에 덮였던 눈이 산봉우리로 불리게 된다. 이렇게 교대적으로 산봉우리의 눈이 들로 내리고 빙판의 눈이 산봉우리로 올리 달려서 서로 엇바뀌는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