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스 국어/현대문학

황혼, 이육사 [현대시]

Jobs 9 2022. 2. 26. 16:43
반응형

황혼

이육사

내 골방의 커튼을 걷고

정성된 마음으로 황혼을 맞아들이노니

바다의 흰 갈매기들같이도

인간은 얼마나 외로운 것이냐.

황혼아, 네 부드러운 손을 힘껏 내밀라

내 뜨거운 입술을 맘대로 맞추어 보련다

그리고 네 품안에 안긴 모든 것에

나의 입술을 보내게 해 다오

저 십이성좌(十二星座)의 반짝이는 별들에게도

종소리 저문 삼림(森林)속 그윽한 수녀(修女)들에게도

쎄멘트 장판 우 그 많은 수인들에게도

의지 가지 없는 그들의 심장이 얼마나 떨고 있는가

고비사막을 걸어가는 낙타 탄 행상대에게나

아프리카 녹음 속 활 쏘는 토인들에게라도

황혼아, 네 부드러운 품안에 안기는 동안이라도

지구의 반쪽만을 나의 타는 입술에 맡겨 다오

내 오월의 골방이 아늑도 하니

황혼아 내일도 또 저 푸른 커튼을 걷게 하겠지

암암(暗暗)히 사라져간 시냇물 소리 같아서

한 번 식어지면 다시는 돌아올 줄 모르나 보다



감상
이 시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선 화자가 처해 있는 배경인 '골방'과 '황혼'의 함축적 의미를 알아야 한다.
'골방'은 화자가 처해 있는 밀실(密室)이지만 도피의 공간이 아니고, 번민과 고뇌를 통하여 지구의 반쪽을 내다볼 수 있는 열린 공간이다.
'황혼'은 스스로는 사라지면서도 더욱 붉은빛으로 모든 것을 품 안에 안을 수 있는 사랑, 평화, 안식의 시간을 뜻한다.

 

- 성격 : 서정적, 상징적
- 어조 : 독백과 기원의 어조
- 특징 : ① 휴머니즘을 바탕으로 함.
② 관념을 이미지화하여 표현함.
- 표현 : 상징과 비유(의인, 직유)
- 구성 : ① 자신과 인간의 처지 인식(제1연)
② 인간에 대한 애정의 갈망(제2연)
③ 애정의 대상 제시(제3,4연)
④ 아쉬움과 내일의 기대(제5연)
- 제재 : 황혼(黃昏)
- 주제 : 따뜻한 인간애(人間愛).(황혼을 통한 자아와 세계의 동일성 추구)

 

감상
시적 발상의 계기는 첫 연과 마지막 연에서 드러난다. 시인은 5월의 어느 날 골방의 커튼을 걷으며 황혼에 젖은 바다와 그 위를 날고 있는 갈매기를 바라본다. 보기에 따라 아주 예사로운 이 정경은 그러나 시인에게 심상치 않은 인생의 기미를 느끼게 해 준다. 
이 시는 육사의 실질적인 등단작으로 '골방'에 있는 화자가 청자인 '황혼'에게 말을 건네는 독특한 화법으로 시상을 전개시키고 있다. 그러므로 이 시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화자가 처해 있는 '골방'과 '황혼'의 함축적 의미를 파악해야 한다. 여기서 '골방'은 20년대 초 {백조} 동인으로 대표되는 감상적 낭만주의 시인들이 일률적으로 추구하던 밀실과 같은 현실 도피의 공간이 아니다. 이 '골방'은 화자인 시인이 번민과 고뇌의 비극적 자기 인식을 하게 되는 공간이며, '황혼'은 식민지 현실 상황의 화자에게 안식과 평화를 가져다주는 세계이다. 그러기에 화자는 커튼을 걷으며 외부와 차단된 고독감 속에서 안식과 평화의 황혼을 맞아들이려고 하는 것이다.
먼저 이 시의 형태는 5연 20행에, 각 연이 4행씩 조금의 변형도 없는 정형적 형태이다. 이로 미루어 육사의 시 의식이 한시나 시조와 같은 전통적인 시 형태를 현대적으로 수용하는 데서 출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5연의 시 형태를 시상에 따라 나누면 다음과 같이 3 단락으로 나눌 수 있다. 1 단락은 1연으로 전제 부분에 해당하며 화자의 독백 형태로 되어 있다. 2 단락은 2·3·4연으로 황혼이라는 대상에 대한 화자의 소망을 기원문 형식을 통해 직접적으로 서술하는 본문 부분이다. 3 단락은 5연으로 다시 화자의 독백 형태로 되어 있으며 해결 부분에 해당한다.
1연에서는 이 시의 핵심적 이미지인 '골방'과 '황혼'의 대립적 관계를 보여 주고 있다. '커튼'은 황혼의 우주와 골방의 중간 위치에 존재하며 '걷고' '맞아들이는' 화자의 행위에 의해 외부 세계를 그의 내면세계와 연결시켜 주는 통로 구실을 한다. 이에 따라온 세상으로 번지고 스며들어 끝없이 확대되는 '황혼'이 '골방'으로 비쳐 들어오게 됨에 따라 '골방'의 폐쇄성은 황혼이 펼쳐진 우주로 개방, 확장될 수 있다.
2연에서는 존재의 외로움을 인식한 화자가 '황혼'의 손에 입을 맞추던 소극적 행위에서 '황혼'이 지니고 있는 '모든 것에게 / 나의 입술을 보내'는 적극적 행위로 변모하게 된다. 이로써 화자는 골방의 폐쇄성에서 벗어나 황혼만큼 확대되게 된다. 그 모든 것이란 바로 3연에서의 '별'·'수녀'·'수인'과, 4연에서의 '행상대'·'토인들'로, 2연에서 막연하고 추상적인 것들이 3·4연에 이르면 확실하고 구체적인 것으로 분명해진다. 이것들은 모두 버림받은 것, 쓸쓸한 것, 외로운 것들로 화자는 그들을 부드럽게 안아 뜨거운 입맞춤을 보낸다. 이렇게 끝없이 확대되는 황혼에 의해 그 외로움이 해소되게 함으로써 화자와 대상 사이에 있는 거리감이 무너지게 되고, 공통된 의미의 동일성으로 화해하게 된다. 여기서 우리는 화자가 자신이 추구하려는 안식과 평화의 세계를 단지 자신에게만 실현시키려는 것이 아니라, 여러 외로운 것들에게까지 확대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포용성이 바로 육사의 조국애, 민족애에서 출발하고 있는 것이며, 나아가 그를 조국의 광복을 위해 처절한 역사 현장 속으로 뛰어들게 한 원동력이 되었음은 말할 것도 없다. 5연에서 우주를 감싸 안은 화자의 포용성과 의지는 황혼의 사라짐, 시간의 유한성에 의해 인간의 꿈과 한계를 일깨워 주고 있다. 황혼이 오늘뿐 아니라 '내일'도 찾아와 주리라는 확신을 가지면서도, '암암히 사라지는 시냇물 소리 같아서 / 한 번 식어지면 다시는 돌아올 줄 모를' 것 같다는 우려를 보이는 것이 바로 그것이다. 그러나 그것은 불안한 현실 상황을 극복하고 안식의 세계로 향하려는 적극적인 저항 의지로 발전함으로써 후일 <절정>, <광야>로 대표되는 항일 저항 문학의 정수를 펼쳐 보이게 되는 것이다. 한편 '지구의 반쪽'이라는 구절은 제국주의의 지배 국가와 피지배 국가로 지구가 양분되어 있던 당시의 국제 정세를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공무원 두문자 암기

스마트폰 공무원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