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침실로
이상화
‘마돈나’ 지금은 밤도 모든 목거지에 다니노라 피곤하여 돌아가려는도다.
아, 너도 먼동이 트기 전으로 수밀도(水蜜桃)의 네 가슴에 이슬이 맺도록 달려오너라.
‘마돈나’ 오려무나. 네 집에서 눈으로 유전(遺傳)하던 진주(眞珠)는 다 두고 몸만 오너라.
빨리 가자, 우리는 밝음이 오면 어덴지 모르게 숨는 두 별이어라.
‘마돈나’ 구석지고도 어둔 마음의 거리에서 나는 두려워 떨며 기다리노라.
아, 어느덧 첫닭이 울고 ─ 뭇 개가 짓도다, 나의 아씨여, 너도 듣느냐.
‘마돈나’ 지난밤이 새도록 내 손수 닦아 둔 침실로 가자, 침실로!
낡은 달은 빠지려는데 내 귀가 듣는 발자욱 ─ 오, 너의 것이냐?
‘마돈나’ 짧은 심지를 더우잡고 눈물도 없이 하소연하는 내 마음의 촉(燭)불을 봐라.
양털 같은 바람결에도 질식(窒息)이 되어, 얕푸른 연기로 꺼지려는도다.
‘마돈나’ 오너라, 가자 앞산 그리메가 도깨비처럼 발도 없이 이곳 가까이 오도다.
아, 행여나 누가 볼는지 ─ 가슴이 뛰누나, 나의 아씨여, 너를 부른다.
‘마돈나’ 날이 새련다. 빨리 오려무나, 사원(寺院)의 쇠북이 우리를 비웃기 전에.
네 손에 내 목을 안아라, 우리도 이 밤과 같이 오랜 나라로 가고 말자.
‘마돈나’ 뉘우침과 두려움의 외나무다리 건너 있는 내 침실, 열 이도 없으니!
아, 바람이 불도다, 그와 같이 가볍게 오려무나, 나의 아씨여, 네가 오느냐?
‘마돈나’ 가엾어라, 나는 미치고 말았는가, 없는 소리를 내 귀가 들음은…….
내 몸에 피란 피 ─ 가슴의 샘이 말라 버린 듯 마음과 몸이 타려는도다.
‘마돈나’ 언젠들 안 갈 수 있으랴, 갈 테면 가자, 끄을려 가지 말고!
너는 내 말을 믿는 ‘마리아’ ─ 내 침실이 부활(復活)의 동굴(洞窟)임을 네야 알련만…….
‘마돈나’ 밤이 주는 꿈, 우리가 얽는 꿈, 사람이 안고 궁그는 목숨의 꿈이 다르지 않으니.
아, 어린애 가슴처럼 세월 모르는 나의 침실로 가자, 아름답고 오랜 거기로.
‘마돈나’ 별들의 웃음도 흐려지려 하고, 어둔 밤 물결도 잦아지려는도다.
아, 안개가 사라지기 전으로 네가 와야지, 나의 아씨여, 너를 부른다.
개관
아름답고 영원한 안식처를 희구하고 동경하는 시적 화자의 모습을 그린 작품으로서, 3·1 운동의 실패로 실의에 빠진 당대 지식인들의 의식 구조와 1920년대 감상적 낭만주의의 전형적 모습을 잘 보여 주는 작품이다.
* 갈래 : 자유시, 서정시
* 성격 : 낭만적, 감상적, 격정적, 현실 도피적, 퇴폐적
* 제재 : 침실, 마돈나
* 주제 : 아름답고 영원한 안식처에 대한 갈망
* 의의 : 1920년대 감상적 낭만주의의 대표작
* 특징
① 2행, 1연의 구조로, 총 12연으로 구성되어 있음.
② 영탄과 청유의 반복으로 간절함을 표현함.
③ 각 연의 첫 부분에 ‘마돈나’를 반복하여 통일감을 부여함.
* 출전 : “백조”(1923)
시어 풀이
* 마돈나 : 귀부인이나 애인을 높여 부르는 말이면서 성모 마리아를 의미하기도 함. 구원의 힘을 지닌 절대적 존재.
* 목거지 : 모임, 잔치 등의 뜻으로 쓰이는 ‘모꼬지’의 방언.
* 더우잡고 : 높은 곳에 오르려고 무엇을 끌어안고. ‘더위잡다’의 방언.
작품의 구성
[1연] 마돈나와의 만남에 대한 갈망
[2연] 인습을 떨쳐 버린 새 출발의 염원
[3연] 불안 속에서 만남을 갈망
[4연] 침실에서의 만남을 갈망
[5연] 심약해진 자아의 상태
[6연] 불안감의 고조
[7연] 다급한 마음과 상황의 강조
[8연] 침해를 받지 않는 초월적 공간으로서의 침실
[9연] 기다림에 지친 자신에 대한 연민
[10연] 새로운 행동에 대한 결의
[11연] 안식처에서의 재생(부활)의 기약
[12연] 마돈나와의 만남에 대한 갈망
이해와 감상
이 작품은 ‘마돈나’, ‘침실’, ‘수밀도의 네 가슴’ 등의 감각적 시어를 근거로 하여 남녀 간의 애정을 노래한 작품으로 보기도 한다. 하지만 시적 화자가 ‘마돈나’와 함께 가고자 하는 ‘침실’이 마음의 안식과 활력을 부여하는 부활의 장소임을 고려했을 때, 남녀 간의 애정을 소재로 아름답고 영원한 안식처를 갈구하는 내용의 작품임을 알 수 있다.
이 시의 전반부에 해당하는 1~6연에서 시적 화자는 주로 ‘밤’이 지나가는 것에 대한 초조함과 불안감을 드러내고 있다. 이 시에서 ‘밤’은 꿈을 꿀 수 있는 시간이며, 시적 화자가 절대적 구원의 존재인 ‘마돈나’와 만나고자 하는 시간으로 나타난다. 시적 화자가 자신의 정신과 육체가 피폐해질 정도로 간절히 소망하는 이상적 세계가 현실에서 이루어질 수 없다는 인식은 이 작품이 현실 도피적인 성격을 띠고 있음을 보여 준다.
후반부에 해당하는 7~12연은 시적 화자가 지향하는 장소인 ‘침실’의 공간적 의미를 나타낸다. ‘침실’이란 현실의 번민을 극복한 초월의 공간이자, 새로운 희망이 잉태되는 곳이며, 순수함이 남아 있는 부활의 공간이다. 이를 통해 ‘침실’을 향하는 시간인 ‘밤’ 또한 새로운 아침을 기다리는 부활을 위한 시간으로 의미가 확장된다. 시적 화자가 마지막까지 ‘마돈나’를 간절하게 부르는 것은 ‘침실’이 제 의미를 찾기 위해서는 구원의 힘을 지닌 절대적 존재인 ‘마돈나’가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작품 연구실
구원의 여성상인 ‘마돈나’의 의미
시적 화자가 ‘마돈나’를 ‘아씨’, ‘마리아’와 같은 호칭으로 부르는 행위는 ‘마돈나’의 상징적 의미를 확대시키고 있다. ‘마돈나’는 시적 화자가 사랑하는 어느 젊은 여인일 수도 있다. 또한 지시적 의미에 따라 기독교의 성모 마리아, 즉 인류를 구원하는 박애적인 모성을 나타내기도 한다. 시대적 상황을 고려한다면 민족의 해방을 가져다줄 절대적 존재, 해방된 조국을 나타낸다. 이들은 모두 시적 화자에게 부활을 가져다줄 ‘구원의 여성’을 표상하고 있다.
만남에 대한 시적 화자의 간절함과 불안감의 표현
시적 화자는 ‘마돈나’와의 만남에 대한 간절함을 드러내는 동시에, 새벽이 다가오지만 서둘러 오지 않는 마돈나로 인한 초조함과 불안감을 지속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이로 인해 피폐해져 가는 시적 화자의 모습은 오지 않을지도 모르는 ‘마돈나’에 대한 간절한 마음을 효과적으로 형상화하고 있다.
감상적 낭만주의
우리나라에서 감상적인 낭만주의의 시들은 1920년대에 다수 배출된다. 과거의 인습이나 가치들 혹은 도덕관념에 대립되는 개념으로서 개인의 감성과 자유 그리고 개성을 중시한다. 현실을 부정하고 자아의 감정에 중심을 두며, 현실에서 벗어난 미지의 세계를 동경한다. 이는 일제 강점기라는 절망적 상황에서 현실에서는 실현되기 어려운 낭만의 세계를 추구하는 모습으로 나타나며, 병적이고 퇴폐적인 경향을 보이기도 한다.
작가 소개 - 이상화(李相和, 1901 ~ 1943)
시인. 대구 출생. 초기에는 “백조” 동인에 참가하여 탐미적이고 감상적인 시를 썼으나, 1924년 이후로는 민족의식을 바탕으로 한 저항 의식과 향토성을 띤 작품을 썼다. 대표적인 시로 ‘나의 침실로’(1923),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1926) 등이 있다.
잡스9급 PDF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