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스 국어/문법, 어문 규정

받침의 발음법, 대표음화, 겹자음의 홑자음화

Jobs 9 2021. 3. 18. 10:24
반응형

【2절】국어의 음운 현상과 표준 발음

[1] 받침의 발음법

1. 대표음화

음절의 종성에 오는 끝소리가 'ᄀ, ᄂ, ᄃ, ᄅ, ᄆ, ᄇ, ᄋ'의 7개 대표음으로 발음되는 현상을 대표음화라고 한다. 평폐쇄음화와 겹자음의 홑자음화가 있다.

(1)평폐쇄음화

파열음 중 된소리, 거센소리, 마찰음, 파찰음이 평음인 폐쇄음 'ㅂ, ㄷ, ㄱ' 중의 하나로 바뀌는 것.

①ㅍ→[ㅂ] : 잎→[입], 앞→[압], 고→[꼬]

②ㅌ→[ㄷ] : 끝→[끋], 바깥→[바깓]

③ㅅ→[ㄷ], ㅆ→[ㄷ], ㅎ→[ㄷ]: 옷[옫], 고→[꼬], 고→[꼬], 잡다→[자따], 히→[히], 는→[는]→[는]

④ㅈ→[ㄷ], ㅊ→[ㄷ] : 낮→[낟], 고→[꼬], 꽃→[꼳]

⑤ㄲ→[ㄱ], ㅋ→[ㄱ] : 밖→[박], 부→[부], 동→[동]

(2)겹자음의 홑자음화

받침 자리의 겹자음(자음군)은 앞엣것과 뒤엣것 중 하나로만 발음된다.

①ㅄ→[ㅂ], ㄳ→[ㄱ], ㄽ→[ㄹ], ㄾ→[ㄹ], ㄵ→[ㄴ] :앞엣것이 발음되는 겹자음. 값→[갑], 몫→[목], 외곬→[외골], 핥고→[할꼬], 훑지→[훌찌], 앉고→[안꼬]

②ㄻ→[ㅁ], ㄿ→[ㅂ] : 뒤엣것이 발음되는 겹자음. 젊다→[점따], 닮다→[담따], 읊지→[읍찌]

③'ㄺ'의 발음: [ㄱ]으로 발음되는 것이 원칙이지만 용언의 어간 받침 'ㄺ'은 어미 첫소리 'ㄱ' 앞에서 [ㄹ]로 발음된다. ⓐ원칙: 밝다→[박따], 밝지→[박찌], 읽다→[익따], 갉지→[각찌], 흙과→[흑꽈] ⓑ예외: 밝고→[발꼬], 밝게→[발께], 읽게→[일께], 묽고→[물꼬], 얽거나→[얼꺼나]

④'ㄼ'의 발음: [ㄹ]로 발음되는 것이 원칙이지만 '넓다'에서 파생된 두 단어와 '넓다'와 합성된 한 단어, '밟다'의 받침은 예외적으로 [ㅂ]으로 발음된다. ⓐ원칙: 넓다→[널따], 여덟→[여덜], 짧다→[짤따], 떫다→[떨따], 얇다→[얄따] ⓑ예외: 넓적하다→[넙쩌카다], 넓죽하다→[넙쭈카다], 넓둥글다→[넙뚱글다], 밟다→[밥따], 밟소→[밥쏘], 밟지→[밥찌], 밟는→[밥는]→[밤는], 밟게→[밥께]

cf. 넓네→[널레], 짧네→[짤레], 떫네→[떨레], 얇네→[얄레]. [넘네](×), [짬네](×), [떰네](×), [얌네](×)

 

2. 받침 뒤에 모음이 이어진 말의 발음

앞말의 받침이 제 음가대로 뒤 음절 첫소리 자리에 이어서 발음하기도 하고 대표음으로 바꾸어서 발음하기도 한다. 전자를 연음(延音)이라고 하고 후자를 절음(絶音)이라고 한다.

(1)연음(延音)

연음은 한 음이 길게 조음되어 두 개의 음으로 되는 일, 또는 그렇게 된 음이다.

①대표음에 속하는 자음의 연음: 받침이 7대표음에 속하는 자음일 때에는 뒤에 이어지는 말이 형식형태소든 실질형태소든 상관없이 원음대로 이어서 발음한다. <보기> 한국이→[한구기], 한국 안→[한구간], 손톱을→[손토블], 손톱 위→[손토뷔], 낟알→[나달], 일흔으로→[일흐느로], 여름에→[여르메], 서울 안→[서우란]

②대표음에 속하지 않는 홑받침, 쌍받침의 연음: 7대표음 외의 홑받침이나 쌍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된 조사나 어미, 접미사 등의 형식형태소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그 받침을 제 음가대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보기> 깎아→[까까], 부엌을→[부어클], 옷이→[오시], 있어→[이써], 낮이→[나지], 꽂아→[꼬자], 꽃을→[꼬츨], 쫓아→[쪼차], 숯에→[수체], 밭에→[바테], 앞으로→[아프로], 덮이다→[더피다], 무릎에→[무르페]

 

▣주의할 점

㉮한글 자모의 발음: '디귿(ㄷ), 지읒(ㅈ), 치읓(ㅊ), 키읔(ㅋ), 티읕(ㅌ), 피읖(ㅍ), 히읗(ㅎ)' 뒤에 모음으로 된 형식형태소가 이어질 때에는 보편적인 연음과는 달리 예외적으로 발음된다. <보기> 디귿이→[디그시], 디귿을→[디그슬], 디귿에→[디그세], 지읒이→[지으시], 치읓을→[치으슬], 키읔에→[키으게], 티읕이→[티으시], 피읖을→[피으블], 히읗에→[히으세]

㉯호격조사 '-아, -야'의 발음: 호격조사도 형식형태소이므로 원음대로 연음한다. <보기> 들녘아→[들려카], 햇볕아→[해뼈타], 나뭇잎아→[나문니파], 꽃아→[꼬차], 이웃아→[이우사], 대낮아→[대나자]

㉰받침 'ㅎ' 뒤에 모음으로 된 형식형태소가 이어질 때의 발음: 'ㅎ(ㄶ, ㅀ)' 뒤에 모음으로 시작된 어미나 접미사가 결합되는 경우에는 'ㅎ'을 발음하지 않는다. <보기> 낳은[나은], 놓아[노아], 쌓이다[싸이다], 많아[마나], 않은[아는], 닳아[다라], 싫어도[시러도]

③겹받침의 연음: 겹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된 조사나 어미, 접미사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뒤엣것만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겹자음 끝 'ㅅ'은 된소리로 발음한다. <보기> 닭을→[달글], 흙에서→[흘게서], 앉아→[안자], 얹어→[언저], 읊어→[을퍼], 값이야→[갑씨야], 핥아→[할타], 곬이→[골씨], 넋이→[넉씨], 값을→[갑쓸], 없어→[업써], 삯으로→[삭쓰로], 젊어→[절머], 앎이→[알미], 삶으로→[살므로], 줆으로써→[줄므로써], 놂에→[놀메], 까붊에→[까불메], 매닮에→[매달메]

④받침 'ㄷ, ㅌ'의 발음: 받침 'ㄷ, ㅌ'은 구개모음 '이'나 '이'로 된 형식형태소 앞에서는 경구개음 'ㅈ, ㅊ'으로 발음되는데, 이를 구개음화라고 한다. 한편 '이' 외의 다른 모음으로 된 형식형태소가 이어지면 원음대로 연음한다. <보기> 밭이→[바치], 숱이→[수치], 같이→[가치], 굳이→[구지], 맏이→[마지], 밭을→[바틀], 밭에→[바테], 숱을→[수틀], 숱에→[수테]

※연음법칙(連音法則): 앞 음절의 받침에 모음으로 시작되는 형식형태소가 이어지면, 앞의 받침이 뒤 음절의 첫소리로 발음되는 음운 법칙. '하늘이'가 [하느리]로 소리 나는 것 따위이다.

(2)절음(絶音)

합성어나 단어 사이에서 앞의 받침이 모음을 만날 때, 그 발음이 끊어졌다가 뒤에 오는 모음과 이어지는 소리. ‘겉옷’이 ‘거돋’으로, ‘늪 앞’이 ‘느밥’으로 되는 것 따위이다. '끊음소리'라고도 한다.

7대표음에 속하지 않는 받침 뒤에 모음 'ㅏ, ㅓ, ㅗ, ㅜ, ㅟ'들로 시작되는 실질형태소가 연결되는 경우에는, 받침을 절음하여 대표음으로 바꾼 다음 그것을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보기> 부엌 안→[부어간], 밭 아래→[바다래], 겉옷→[거돋], 무릎 위→[무르뷔], 늪 앞→[느밥], 젖어미→[저더미], 맛없다→[마덥따], 헛웃음→[허두슴], 꽃 위→[꼬뒤], 닭 앞에→[다가페], 넋 없다→[너겁따], 값어치→[가버치], 값있는→[가빈는]

 

▣주의할 점

㉮'멋있다, 맛있다'의 말음: 받침 'ㅅ' 뒤에 실질형태소 '있-'이 이어졌으므로 [머딛따], [마딛따]로 발음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머싣따], [마싣따]를 허용한다.

㉯구개모음이 이어진 말의 발음: 'ㅏ, ㅓ, ㅗ, ㅜ, ㅟ' 외의 구개모음 'ㅑ, ㅕ, ㅠ, ㅣ' 등이 이어질 때에는 'ㄴ'을 첨가하여 발음한다. <보기> 홑이불→[혼니불], 꽃잎→[꼰닙], 삯일→[상닐], 흙일→[흥닐], 헛일→[헌닐]

 

※절음법칙(絶音法則): 합성어나 단어 사이에서 앞의 받침이 모음을 만날 때, 받침이 그 모음 위에 연음되지 아니하고, 끊어져서 대표음으로 발음되는 현상을 가리킨다. ‘꽃 아래’가 [꼬차래]가 아니라 [꼬다래]로 발음되는 것 따위이다. 표준어 규정의 표준 발음법에 따른 받침 발음 규칙이다. 받침 뒤에 'ㅏ, ㅓ, ㅗ, ㅜ, ㅟ'로 시작되는 실질형태소가 연결되는 경우에는 대표음으로 바뀌어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기본적으로 한국어는 연음법칙이 적용돼 홀소리로 시작되는 음절은 앞 음절의 받침을 이어서 소리 내지만, 예외로 받침 뒤에 홀소리로 시작되는 실질형태소가 결합되는 경우는 연음하지 않고 각각의 음절을 끊어 발음한다. 따라서 이 경우는 앞 음절의 받침은 형태주의에 따라 표기된 자음 대신에 7종성법에 따라 대표음으로 소리 나면서 뒤 음절의 모음과 연결된다. <보기> 밭 아래→[바다래], 늪 앞→[느밥], 젖어미→[저더미], 맛없다→[마덥따], 겉옷→[거돋], 헛웃음→[허두슴], 꽃 위→[꼬뒤]









공무원 두문자 암기

스마트폰 공무원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adipoman@gmail.com 문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