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한자 3

영화(映畵), 영화(榮華), 한자, 비출 영(映), 영화 영(榮), 그림자 영(影), 꽃부리 영(英), 경영할 영(營), 맞을 영(迎), 읊을 영(詠), 헤엄칠 영(泳)

영화(映畵) 비출 영(映)에 그림 화(畵) 그림이 움직이는 영상(映像)에 나타나는 것 영(映)은 태양(日)이 하늘 중앙(央)에서 비추는 형상 화(畵)는 붓(聿)으로 밭(田)의 둘레를 긋는다는 뜻 영화(榮華) 꽃 영(榮). 영화 영(榮) 비출 영(映) 日: 날(해) 일 央: 가운데 앙 해(日)가 가운데(央)에 빛을 ‘비춤’ 조영(照映: 밝게 비춤), 영상(映像), 영화(映畫) 영화 영(榮) 찬란하게 나무가 변하는 ‘꽃핌’ 영화(榮華: 꽃핌, 세상에 빛남), 영광(榮光), 번영(繁榮) 그림자 영(影) 景: 볕 경 彡: 터럭(무늬) 삼 볕(景)이 가려질 때 생기는 무늬(彡)는 ‘그림자’ 음영(陰影: 그림자), 투영(投影), 잔영(殘影) 꽃부리 영(英) 艹: 풀 초 央: 가운데 앙 풀(艹)의 가운데(央)에서 피..

미국, 한자, 美國, 米國, 중국어 발음 메이궈, 어~메리칸

미국을 한자로 표기할 때 우리나라와 중국은 미국(美國)이라 쓰고 일본은 미국(米國)이라고 한다. 영어권에서 미국인을 이를 때 ‘아메리칸’(American)을 사용한다. 또 미국의 정식 형용사는 ‘United States’이지만, ‘America’나 ‘U.S.’가 가장 흔히 미국을 일컫는 형용사다. 우리나라 등 중국언어권에서 쓰는 ‘미국’(美國)이라는 명칭은 청나라 시대 중국인들이 ‘아메리칸’을 중국어 발음에 가깝게 적은 음역인 ‘美利堅’에서 왔다. 당시 청나라 시대 중국인들은 ‘아메리칸’을 ‘메리칸’으로 들었고, 가까운 중국어 발음인 ‘메이리지안(美利堅)’이라고 했다. 이를 줄여 ‘메이궈’(美國)로도 표기하였고, 당시 조선인들이 이를 한국어식 한자음으로 읽어 ‘미리견(美利堅)’, ‘미국’(美國)으로 읽고..

한자, 한문 차이

漢字(한:자)와 漢文(한:문) 한자는 낱낱의 글자 그 자체를 말하며, 한문은 여러 한자로 이루어진 文章(문장, sentence)을 말한다. 한자는 그 자체로 하나의 낱말(word)이 되기도 하고, 다른 글자와 더불어 새로운 낱말을 구성하는, 즉 낱말의 구성 요소로 쓰이기도 한다. 이를테면 ‘山’이라는 글자는 그 자체로 ‘뫼’(mountain)라는 낱말이 되는가 하면, ‘脈’(맥)이라는 글자와 더불어 ‘山脈’(산맥, mountain range)이라는 또 하나의 낱말을 구성하기도 한다. 한문은 한자로 이루어진 문장을 말한다. 예를 들어보기로 하자. 知行合一說(지행합일설)을 주장한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 명나라 때의 철학자 王陽明(왕양명)이 쓴 책인 ≪傳習錄≫(전습록)의 上卷(상권)에 유명한 구절이 있다. ..

반응형